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5bdcd6a91e53e747c58a1da2e3571e4.jpg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

 

정통신앙과 찰스 피니

 

 

장로교 신앙에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웨민신고는 장로교 신앙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권위있게 사용되고 있는 신앙문서이다미국의 개혁신학자들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를 웨스트민스터 스탠다드’(Westminster Standard)라고 부른다말 그대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는 장로교 신앙즉 개혁주의 신앙에 대한 이해와 토론에 있어서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는 '장로교 신앙의 표준문서'인 것이다.

 

미국의 장로교 역사에서 가장 뜨거운 토론의 대상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를 장로교회 신앙의 표준문서로 받을 것인가에 대한 것이었다미국 장로교 역사는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한 일관된 흐름을 보여주었다올바른 참 신앙을 추구하고 실천하려는 사람들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한 거부하지 않았다그러나 바르지 못한 신앙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항상 웨민신고를 거부했다많은 신학논쟁과 장로교단 분열의 과정에는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한 심각한 찬반의 논쟁이 있었다.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가 미국 장로교 신앙의 표준 문서가 되도록 심혈을 기울여서 투쟁한 대표적인 두 사람은 찰스 핫지(Charles Hodge, 1797-1878)와 메이첸(John Gresham Machen, 1881?1937)이다찰스 핫지는 1851년부터 1878년까지 프린스턴 신학교의 교장을 역임하면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이 장로교 신앙의 표준으로 정착되도록 힘을 다하였다.

 

남북 전쟁 후 일어난 분열되었던 남부의 장로교단의 재통합은 양측이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에 동의한다고 서약하는 것을 기초로 이루어졌다찰스 핫지의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한 강력한 주장이 없었다면일어나지 못했을 일이었다찰스 핫지의 신학은 그의 아들 A. A 핫지와 벤자민 워필드에게로 계승되었고그들도 역시 웨민신고가 장로교 신앙의 표준문서로 정착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벤자민 워필드 등에게서 개혁신학을 배운 메이첸이 프린스턴의 신약학 교수가 되었고메이첸은 그 이전의 누구보다 더 강력하게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중요성을 역설했다그는 장로교 신앙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에 기초해야 하고분열된 장로교회의 일치도 오직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강력하게 설파하였다.

 

그래서 메이첸은 프리스턴의 동료 교수 찰스 어드먼이 총회장에 선출되지 못하도록 강력하게 저지하였다왜냐하면 어드먼의 사상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을 추구하지 않는 노선이었기 때문이다.1) 1936년에 메이첸이 미국북장로교로부터 면직당하고 새로운 장로교단을 출범시키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도 근본적으로 메이첸의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에 대한 철저한 자세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할 수 있다.2)

 

어떤 사람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가 오직 장로교 사람들 속에서만 권위있는 신앙의 문서로 인정되었을 뿐이라고 폄하한다사실과 다르다말 그대로 올바른 신앙을 추구하는 많은 사람들이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를 참된 신앙을 위한 중요한 가르침으로 믿고 인정했다.

 

장로교 목사가 아니었으면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하여 장로교 목사 이상의 적극적인 자세를 가졌던 대표적인 사람은 1차 대각성 운동의 지도자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였다에드워즈는 1726년부터 외할아버지 솔로몬 스토다드가 담임하는 회중교회인 노스햄프턴교회에서 부목사로서 목회사역을 했다그리고 1729년 솔로몬 스토다드가 죽자 그 교회의 담임목사가 되었고 이후 두 번의 놀라운 부흥을 경험하였다.

 

에드워즈는 에드워즈는 회중교회의 목회자였음에도 계속하여 많은 장로교회 목사들과 깊은 교제를 유지하였다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장로교 신앙의 표준문서로 자리매김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에 대한 개인적인 확신과 동의가 있었기 때문이었다실제로 에드워즈는 친구 장로교 목사 존 어스킨에게 뵤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웨스트민스터 산앙고백서의 내용에 서명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고 장로교 정체에 서명하는데도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3)

 

교파를 초월하여 올바른 믿음을 추구했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동의하였거나자신의 신앙을 위해 깊이 참고했다올바른 신앙을 추구하는 사람들 가운데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해 조롱하거나 적대감을 보였던 사람은 없었다우리에게 이름이 알려진 사람 가운데 웨민신고에 대해 노골적인 조롱과 적대감을 보인 사람은 찰스 피니였다찰스 피니는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노골적으로 조롱하고 비판하였다.

 

교회를 위해서 의심할 수 없는 하나님의 말씀을 강해한 것이라고 간주되는 권위적인 표준을 만드는 영감을 받지 않은 모든 시도는 그 자체로서 경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교황의 근본교리의 묵시적 억측과도 같다웨스트민스터 총회회원들은 사람의 의견에 대해서 법을 주는 교황의 필요성을 당연하다는 것보다 더한 일을 하였다그들은 불멸의 작품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혹은 차라리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자신들의 신조를 만들고그것을 마치 모든 세대의 교황처럼 지키고 있다.”4)

 

찰스 피니는 장로교회가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를 작성하고 중요한 문서로 여기면서 깊이 참고하는 행위는 교회를 경건하지 못하게 만드는 나쁜 행동이라고 비방한 것이다그리고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를 신앙의 권위있는 문서로 자리매김 시키려는 장로교 신학자들의 노력을 마치 천주교의 교황제도나 그와 관련된 악한 일들과 같은 것이라고 매도했다.

 

혹은 보다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와 이에 맞추어 만든 요리문답서들을 권위있는 기본 교리로서 받아들이는 자들은 교황의 가장 불쾌한 원칙들을 불합리하게 받아들이는 것이다그리고 그들은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서들을 교황의 권좌에 올려놓고 성령의 자리에 두었다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의해서 작성된 도구를 19세기에 교회의 표준문서로 인식하거나 혹은 지적인 산물로 이해하는 것은 놀라울 뿐이다그러나 나는 이것이 매우 우스꽝스러운 것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5)

 

찰스 피니는 장로교가 웨민신고와 요리문답서를 작성하고그것을 중심으로 신자들의 신앙을 지도하고 교회의 신앙을 관리감독하는 행위가 마치 죄악된 천주교가 교황을 높은 자리에 앉히고 성령을 대신하여 교회를 다스리게하는 것과 같은 죄악이라고 비판하였다그리고 17세기에 작성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를 자신이 살았던 19세기의 교회에 적용한다는 것은 참으로 우스꽝스러운 한심한 일이라고 조롱했다.

 

대체 찰스 피니는 모든 올바른 신앙의 사람들이 높이 평가하는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에 대해 이와 같은 자세를 가졌던 것일까그 이유는 간단하다피니의 기독교 이해는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내용과 전적으로 달랐기 때문이었다피니는 원죄자유의지중생회심성화에 대하여 성경과 장로교의 신앙과는 전혀 다른 이해와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6) 한 마디로 피니의 신학은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자유주의 신학의 초기 버전령이었던 것이다그러므로 웨스트민터신앙고백서의 가르침이 찰스 피니에게는 우습게만 보였고한탄 조롱의 대상이었던 것이다.

 

또한 당시 찰스 피니는 부흥에 대한 매우 혁신적이고 새로운 신학을 개척하고 있는 중이었다피니는 부흥이 성령의 주권과 은혜의 역사로 말미암는다고 여기지 않았다대신에 인간이 부흥을 위해 필요한 수단들을 적절하게 사용할 때 나타나는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부흥에 대한 피니의 이런 사상은 전통적인 장로교의 신앙과 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방법이었다.7)

 

각주

 

1) 숀 마이클 루카스,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김찬영 역), (부흥과개혁사, 2014), p. 275. 

2) 앞의 글, p. 277. 

3) 앞의 글, p. 238. 

4 )Charles Finney, Lecture on Systematic Theology (New York: George Doran Company, 1878), xii. 

5) 앞의 글

6) 숀 마이클 루카스,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김찬영 역), (부흥과개혁사, 2014), p. 249. 

7) 앞의 글, p. 248.

 

정이철 목사의 글 일부, <바른신앙>(2018.6.5.)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김세윤 교수의 로마카톨릭 칭의론

      김세윤 교수의 로마카톨릭 칭의론    아래의 글은 기독교사상연구원 리포르만다 주최 학술 세미나에서 발표한 논문 “트렌트공의회 칭의론과 칼빈의 해독문: 김세윤의 로마가톨릭 칭의론과 관련하여” 도입과 개요 소개 내용이다. 유뷰트 동영상으로도 시청할...
    Date2023.08.30 Byreformanda Reply0 Views562 file
    Read More
  2. 김세윤 교수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김세윤 교수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재차 기고문)     신약신학자 김세윤 교수(풀러신학교)는 “행함 있는 믿음으로 구원받는다”고 역설한다. “믿음만으로 구원받는다”는 종교개혁자들의 이론에 결함이 있다고 본다. 자신이 주장하는 새로운 칭의론이 종...
    Date2023.08.30 Byreformanda Reply0 Views947 file
    Read More
  3. 유아세례 비판에 대한 칼빈의 논박

      유아세례, 카타콤 벽화(주후 150년 경)    유아세례 비판에 대한 칼빈의 논박   하나님은 자비하사 세르베투스의 유아세례에 대한 비판들을 개혁교회들을 대표하여 칼빈으로 하여금 잘 반박하게 하셨다.   칼빈은 세르베투스의 유아세례에 대한 견해를 논박...
    Date2023.08.16 Byreformanda Reply0 Views595 file
    Read More
  4. 능동-수동 순종, 머레이와 맥클라우드의 견해

        능동-수동 순종, 머레이와 맥클라우드의 견해     최근 한국교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그리스도의 수동 순종과 능동 순종 논의를 지켜보면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하고 싶다. 그리스도의 두 가지 순종을 찬성하는 분들의 글들을 읽어보면 최근에 이 주...
    Date2023.07.28 Byreformanda Reply0 Views659 file
    Read More
  5.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의 핵심이론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의 핵심이론     기고: <선교와 교회>(Vol. 11, 2023 Spring), 20-44   A. 들어가는 말     종교다원주의(Religious Pluralism)는 현대판 자유주의 신학의 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탈구조주의, 혼합주의, 민족문화 그리고 종교의...
    Date2023.07.08 Byreformanda Reply0 Views1031 file
    Read More
  6. 천상어전회의, 하나님의 뜻

          천상어전회의, 하나님의 뜻   창세기는 창조자 하나님이 인간을 만들 때의 기록을 단수가 아닌 복수로 표현한다.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가 아니라 "우리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사람을 만들고"로 기록한다.  "하나님이 이르시...
    Date2023.05.04 Byreformanda Reply0 Views1113 file
    Read More
  7. 만유구원론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만유구원론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예수를  믿지 않아도 구원을 받는가? 역사가 어떻게 끝날 것이며, 세계사의 종말과 관련하여 신학에는 대략 두 가지 답이 있다. 첫째는 심판의 이중결과설이고, 둘째는 만유구원론(Universal Salvation)이다.    심판의...
    Date2023.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811 file
    Read More
  8. CHAT GPT와 신학교육

        CHAT GPT와 신학교육     1. 즉답인공지능   인류는 즉답인공지능 ChatGPT(Chat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 사전 훈련된 생성 변환기) 시대로 진입했다. 시간이 갈수록 인공지능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즉답인공지능은 신학교육과 목회현장를 ...
    Date2023.03.12 Byreformanda Reply1 Views1607 file
    Read More
  9. 주기철 목사복권과 ‘교회교’ 전통

        주기철 목사복권과 ‘교회교’ 전통     1. 신사참배거부운동     신사참배거부운동(신사불참배운동)은 우상숭배를 하지 말라는 계명을 지킨 기독교 신앙운동이면서, 애국애족적인 항일운동이었다. 일제의 황민화(皇民化) 정책에 저항한 운동이자 민족정신...
    Date2023.03.01 Byreformanda Reply0 Views732 file
    Read More
  10. 불가항력적 은혜를 거부하다

            불가항력적 은혜를 거부하다   구원론을 공부하는 목적은 하나님이 어떠한 방법과 위대한 절차로 우리를 구원하였는지를 배우는 것이다. 그리고 구원지식으로 예전의 나처럼 비기독교인인 사람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전하고 예수를 믿게 하고 하나님과 ...
    Date2023.01.08 Byreformanda Reply0 Views1104 file
    Read More
  11. WCC 제11차 총회에 바라는 4가지 신앙고백

      WCC 제11차 총회 개회 기도회(20220831, 독일 카를스루에)   WCC 제11차 총회에 바라는 4가지 신앙고백   “하나님의 구원에 제한이 없다”는 그들에게, 예수님께서 WCC 총회에 참석하면, 뭐라고 하실까?   1.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1차 총회가 독일 카를스...
    Date2022.09.01 Byreformanda Reply0 Views677 file
    Read More
  12.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

    소피마르소, 파리   종교다원주의 신학자들   WCC 바로알기    WCC는 "하나님의 구원에 제한이 없다"고 한다. "타종교에도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이 있다"고 한다. WCC의 여러 개 문서들이 이 진술을 담고 있다. 제10차 총회(부산, 2013)가 일방적으로 선포한 ...
    Date2022.02.15 Byreformanda Reply0 Views1388 file
    Read More
  13. 뉴비긴의 교훈

        뉴비긴의 교훈   WCC 바로알기 33 1. 역사, 교회사를 공부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모든 학문 분야의 기초교육은 역사 공부에서 시작한다. 과학사, 의학사, 문학사, 예술사, 교육사, 사회사, 언어사, 민족사, 정치사 등이다. 신학교육은 역사와 직결되어 ...
    Date2022.02.07 Byreformanda Reply0 Views702 file
    Read More
  14. 복음적 에큐메니스트의 탄식

    교황 프랜치스코, WCC 지도자들에게 교회일치를 연설하고 있다.     복음적 에큐메니스트의 탄식   WCC 바로알기 32   1,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는 어느 신학교에서 기초 신학을 수업했으며, 누구에게 사사했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단계에서 배운 기초...
    Date2021.12.03 Byreformanda Reply0 Views691 file
    Read More
  15. 레슬리 뉴비긴의 오판

      레슬리 뉴비긴의 오판 WCC 바로알기 31   1.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WCC에 들어가서 이 단체를 복음적으로 바꾸겠다는 생각을 하는 자들이 있다.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 WCC에 복음주의자들이 설 공간이 있는가?  패러다임을 복음적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가...
    Date2021.12.02 Byreformanda Reply0 Views138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