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9.12.01 18:04

박성복 목사

조회 수 25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3ce5a71ae85683cea9d4df217107d2a.jpg

 

박성복 목사

   

어제 소천하신 고 박성복 목사님은 참 좋은 교수님이셨습니다제자들의 진정어린 존경을 받으시는 분이었습니다영국과 네덜란드에서 수학하시고 고려신학대학에 교수로 부임했을 무렵저는 군 복무를 마치고 복학했습니다교수님은 마르틴 로이드존스(M. Llyod-Jones)의 <산상보훈>을 가지고 학부생들에게 '신학영어'를 가르쳤습니다주황색 표지의 두꺼운 책은 로이드존스가 참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영어를 구사하며 통찰력 있는 설교를 한다는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그가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시절이었습니다.

 

박 교수님은 신학대학원 과정에서 신약총론과 신학석의를 가르쳤습니다. 헤르만 리델보스의 성경신학을 소개했습니다. 학급은 자주 은혜의 눈물바다였습니다박 교수님이 들려준 젊은 영국인 설교자 로버트 맥세인(R. Macheyne)의 이야기는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그가 목회하던 교회당을 탐방한 어느 방문객이 안내자에게 멕세인 목사가 어찌 그토록 은혜롭고 감동적인 설교를 할 수 있는가 하고 물으면 안내자인 그 교회 장로는 당신도 이 강단에 올라와 이런 자세로 눈물을 흘려 보라고 답했다고 했습니다.

 

박 교수님의 경건회 설교는 언제나 감동이었습니다. “베들레헴 고갯길로 치마입고 가는 두 여인이라는 제목의 룻과 나오미의 대화 설교는 거의 반세기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도 저의 뇌리에 생생합니다그 설교를 반복할 수 있을 듯합니다설교 말미마다 벌겋게 달아오르는 얼굴로 감동을 주시던 스승님의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박 교수님은 신약신학 교수직을 과감하게 후배들에게 물려주시고 목회 일선에 뛰어들었습니다. 그토록 주께서 피흘려 세운 교회를 사랑하고 복음전도자 후배들을 아끼셨습니다목회하는 동안 독일풍의 우람한 교회당 건축을 주도하시고맥세인처럼 영적 감화를 끼치는 설교를 하려고 애쓰셨습니다<정통신학과 경건>(2006) 고액 출판비를 주선해 주시면서도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 손이 모르게 하라는 가르침을 따라 자기를 들어내지 않았습니다고신교단의 영적 유산들을 후대에 길이 남기고 싶어 했습니다.

 

박 교수님은 목회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수에게 지식과 학문성만이 아니라 인품과 자상함의 중요함을 일깨워 주셨습니다. 소탈한 성격의 소유자였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철저한 신앙진실인자가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주셨습니다병상에서도 문안하는 저를 오히려 푸근함으로 대해 주셨습니다, 자주 문안하겠노라 생각하면서도, 조만간 찾아 뵈리라 생각하면서도, 더 자주 찾아뵙지 않은 것이 부끄럽습니다.

 

박 교수님은 한 사람의 스승이 제자들에게 어느 정도의 감화를 줄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습니다. 저와 같은 고백을 하고싶어 하는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 제자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을 것입니다.

 

서울 한강변의 벗꽃이 화려하게 피는 날 , 교수님은 보고싶어 하는 자녀들과 그리워하는 제자들을 남기고 떠났습니다. 홀로 요단강을 건너갔습니다. 천사들의 에스코트를 받으면서 가셨습니다. 저와 제자들은 주께서 부르는 날 우리도 그 강을 건너 주 예수 그리스도의 품에 안길 것입니다먼저 가신 스승 교수님을 그리워하며유족들께 인사를 올립니다.

  

2018. 4. 10.

  

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1.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3)   교만은 단순한 자아도취나 오만한 태도가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가장 깊은 심연에서 터져 나오는 비극적인 선언이며, 피조물로서의 숙명을 거부하는 장엄하고도 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7 file
    Read More
  2.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2)   다른 죄들은 벼룩에 물린 자국에 불과하다. 그러나 교만은 영혼을 태우는 불이다.   고대의 신화에 나오눈 프로메테우스는 신의 불을 훔쳤다. 그는 인간을 위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1 file
    Read More
  3. 단테와 일곱 가지 죽음의 죄

      서울서부법원 복도에 걸려 있던 그림   단테와 일곱 가지 죽음의 죄 — 사랑이 잿빛으로 변한 자리   ―일곱가지 죽음에 이르는 죄에 대한 묵상  (칠거지악 1-1)   1. 단테, 어둠의 숲에서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 그의 『신곡』(La ...
    Date2025.10.24 Byreformanda Reply0 Views55 file
    Read More
  4. 자유는 서서히 무너진다

    이재명 대통령 부부      자유는 서서히 무너진다   공산화는 총칼로 오지 않는다. 법의 이름으로, 제도의 얼굴로, 언론의 포장지에 싸여 조용히 스며든다.'   먼저, 방송이 변한다. 진실은 편집되고, 불편한 질문은 사라진다. 국민은 “그게 전부”라고 믿으며...
    Date2025.10.23 Byreformanda Reply0 Views90 file
    Read More
  5. 환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는가?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      환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는가?   환율이 개박살났다. 이제 1400원대가 뉴노멀이 됐다.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락 내리락하던 환율이 이제는 1400원 밑으로 더 이상 내려가질 않는다. 이재명 정권 출범 이후 환율은 사실상 1400원...
    Date2025.10.11 Byreformanda Reply0 Views154 file
    Read More
  6. 오세택 목사님께

        오세택 목사님께   손영광 (울산대학교 교수)   제목: 손현보 목사님 징계를 요구하는 예장 고신 두레교회와 오세택 목사님께   기윤실(기독교윤리실천운동)과 고사모(고신교단을 사랑하는 모임)라는 이름으로 모이는 기독교 좌파들이 손현보 목사님 징계...
    Date2025.09.27 Byreformanda Reply0 Views252 file
    Read More
  7.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 노래로 부르는 한국 현대사   황석영의 <장길산> 읽을 때 싱긋 웃은 적이 있습니다. 사람 목 비틀기를 예사로 하는 험상궂은 장정들이 상대방을 부를 때 ‘언니’라고 부르는 거예요. 어려서 사촌 누나에게 ‘...
    Date2025.09.04 Byreformanda Reply0 Views283 file
    Read More
  8.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전 숭실대학교 교수였던 김영한 박사(샬롬을 꿈꾸는나비행동 상임대표)가 2025년 9월 1일, “조국과 윤미향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관하여”라는 논평을 발표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조국 씨와 윤미향 씨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
    Date2025.09.01 Byreformanda Reply0 Views241 file
    Read More
  9. 낙하복 실험

        낙하복 실험   1912년 파리, 낙하복 실험을 위해 그는 타워에서 뛰어내렸다   1912년 2월 4일, 프란츠 라이셰르트(Frantz Reichelt)는 자신이 발명한 걸작인 "낙하복"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증명하기 위해 이 옷을 입고 파리 에펠탑까지 올랐습니다. 당...
    Date2025.08.24 Byreformanda Reply0 Views285 file
    Read More
  10.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 남북한의 정통성 논쟁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단순한 역사 논쟁이었다면 목사가 굳이 펜을 들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다르다. 북한이, 혹은 북한과 유사한 성격의 체...
    Date2025.08.14 Byreformanda Reply0 Views302 file
    Read More
  11.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힌두교 비이원성 철학에 기초한 라마크리슈나와 그를 교주로 삼아 출발한 ‘라마크리슈나 미션이다. 둘째는 기독교 바탕에서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한 칼 라너, 라이문도 파니카, 존 ...
    Date2025.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313 file
    Read More
  12.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대대한민국 헌법 제84조는 국가 최고 권력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국가 경영과 통치를 하도록 일시적 특권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 법은 최고 권력자에게 법 위에 있을 수 있는 권한 부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대통령은 재직 ...
    Date2025.06.17 Byreformanda Reply0 Views676 file
    Read More
  13.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의 전라도 논평   아래는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의 세이브코리아 광주 집회의 연설 전문이다. 광주 출신인 그는 “친북·종중에서 벗어나 대한민국과 함께 가야 호남도 살아...
    Date2025.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842 file
    Read More
  14.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난리와 폭동이 예상되는 날이다. 대규모 집단 불복과 반발이 시작될 모양이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간판을 뗄 것이라고 하는 자들도 있다.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
    Date2025.04.03 Byreformanda Reply1 Views2862 file
    Read More
  15.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허영 교수(대한민국의 법조인, 헌법학자, 1936-)는 위법한 헌재 탄핵심판 결정이 오히려 국민 저항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가지가 넘는 이런 불공정하고 졸속으로 진행된 탄핵심판을 우리 국민이 용납하겠...
    Date2025.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112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