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130cd8fa34374970e735892d4c0332a.jpg

바티칸박물관                

 

로마가톨릭교회와 구원에 대하여

   

이영진 교수(호서대학교

 

1. 신학에 처음 입문해 들어온 학생들에게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교수님가톨릭은 구원을 받습니까?”라는 물음이다.

 

2. “그걸 왜 나한테 묻나요?”하고 웃어넘기지만그 질문은 마치 주님 이 사람은 어떻게 되겠사옵나이까?”하고 묻는 베드로의 질문에 다름 아닐 것이다저기 지나가는 사람을 가리키며 저 사람이 구원을 받겠습니까?”라고 묻는 법은 없기 때문이다.

 

3. 역사적으로 교회는 두 단계에 걸친 강력한 분열을 겪는다첫 단계는 지금의 터키 이스탄불이 된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동방교회와 로마를 중심으로 하는 서방교회 사이에서 일어난 분열이다유럽의 동쪽이라 하여 동방교회로 불리게 된 이 교회는 그리스불가리아폴란드러시아체코 등의 지역을 거점으로 신학과 교리가 희랍어(그리스어)로 되어 있으며 희랍의 철학적 요소 특히 신플라톤주의 정서가 짙으며 동방정교회(正統敎會, Orthodox Church)라는 이름이 말해주듯이 스스로 정통교리 수호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4. 반면 서방교회는 로마 가톨릭 교회라는 명칭이 그러하듯 이태리 로마의 바티칸 교황청의 지휘를 받는다는 정체성이 가장 도드라진 표지였다지역적으로 유럽의 서쪽에 해당하는 이태리프랑스스페인포르투갈 등이 이에 해당했다교리나 신학은 동방교회와 달리 라틴어로 기록되었다.

 

6. 양자 간에는 색깔 차이가 있다동방교회가 수도원주의를 중심으로 신비주의 색이 묻어난다면 서방교회는 심리학에 의거한 신학적 지향성을 보인다또 동방교회가 매우 합리적인 분석과 종합에 능하고 형이상학적 정통주의가 발달했다면 서방교회는 제도와 조직이 발달해 있고 신앙과 체험을 중시해왔다그리고 동방교회는 영생의 문제를서방교회는 죄의 문제에 천착한다그러나 두 교회의 진정한 분열은 다름 아닌 성상숭배 문제로 점철되었다동방교회에서는 성상(이콘숭배가 금지되고 성상파괴 운동이 전개된 반면 로마 교황청은 이를 비난하게 되었는데그러나 성상파괴 논쟁의 실체는 황제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교황청에 좋은 명분이 되었던 사실에 있다다시 말하면 구원의 조건이 교회의 권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교리를 서방교회에서 독자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이 두 교회의 분열 시점을 1054년으로 꼽는다.

 

7. 그리고 약 500년이 안 가서 두 번째 분열이 일어났다이것이 바로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이다유념할 것은 이 종교개혁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일어난 분열이라는 사실이다동방교회가 아니라분열의 요인은 (1) 면벌부[지옥 갔는데 다시 천국 갈 수 있다는문제, (2) 교황 교권 중심의 중보 체계이 같은 교의적 문제 외에도 (3) 각종 사회 정치적 부패 요인들이 작용한 개혁이 바로 이 두 번째 분열이다.

 

8. 상기의 두 단계 분열을 통해서 지구상에는 세 종류의 기독교가 존재하게 되었는데앞서 가장 처음에 언급한 동방정교회그리고 우리가 보통 천주교라 부르는 가톨릭’, 그리고 끝으로 우리 개신교이다우리나라 천주교 곧 가톨릭은 서방교회 브렌치인 셈이다.

 

9. 한국 사람은 대개 개신교를 가리켜 기독교라 부른다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기독교는 저 세 종류의 교회를 일컫는 통칭이다그럼에도 어찌하여 한국 개신교는 자신들만을 기독교라 부르고 가톨릭은 가톨릭이라 부르게 되었느냐그것은 언제나 가톨릭교회와 개신교를 대결구도 속에서 이해하는 학습을 받았기 때문이다.

 

10. 개혁이란 자고로 어떤 대결의 구도가 아니라 내적 혁신을 이르는 술어이다그것은 루터를 위시한 초기 개혁 세력이 스스로를 신성한 만국의 교회’(the One Holy Universal Church) 혹은심지어 가톨릭교회’(Catholic Church)라 칭했던 용례에서 알 수 있듯이개혁은 언제나 자기 자신 안에서부터자기가 속한 공동체를 목적으로 놓고 전개되는 행위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개혁세력이 스스로를 개신교(Protestant)라 부르게 된 것은 무려 한 세기가 거의 흘러간 17세기경부터이다.

 

11. 따라서 가톨릭은 구원을 받습니까?” 라는 질문은 어려운 질문이라기보다는 수준이 다소 저열한 학습에 길들어진 질문이라 규정할 수 있다.

 

12. 배도자를 찾는 중이라면 500년 묵은 프로테스탄트 내에도 얼마든지 있는 까닭이다.

 

13. 개신교도가 로마가톨릭에 관해 논할 때는 반드시 상기의 유래를 전제하고 논거를 잡기를 권면 드린다.

 

이영진 페이스북 글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dschoiword 2019.12.08 19:08
    주님, 일어나소서
    마르틴 루터의 오류를 단죄하며
    (존 엑크가 교황 레오 10세에게 보낸 조서)

    EXSURGE DOMINE

    오, 주님, 일어나시어 당신의 심판을 내려 주소서. 한평생을 어리석게 보내는 자들을 크게 꾸짖으소서. 여우떼가 당신의 포도밭을 파괴하고자 들고 일어났으니, 저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주님, 당신께서 당신의 아버지께로 올라가실 때, 승리한 교회의 표상으로서 베드로에게 당신 교회의 으뜸이자 당신의 대리자로서 당신의 포도밭을 지키고 다스리는 권한을 위임하셨습니다. 이제 당신의 그 포도밭을 숲속의 멧돼지들이 파괴하려고 하며, 모든 야수가 열매들을 다 먹어 치우려고 하고 있습니다.

    성 베드로여, 일어나시어 앞서 제가 말한 당신께 위임된 이 사제직을 거룩함으로 가득 채워 주십시오. 전체 교회의 어머니인 거룩한 로마 교회와 하느님의 말씀에 따라 당신이 당신의 피로써 거룩하게 만든, 신앙을 가르치는 교사직을 잊지 말아주십시오. 당신께서는 로마 교회에 대항하는 거짓 교사들이 생겨나고, 스스로를 파멸로 재촉할 분파들이 일어날 것을 예견하셨습니다. 그들의 혀는 불이고, 부단히 활동하는 마귀이며, 죽음의 독약입니다. 그들의 마음속은 분쟁과 오만함을 부추기며 진리에 반대하는 거짓을 지니고 있습니다.

    아울러 간구하오니 성 바오로께서도 일어나소서. 당신께서는 당신의 가르침으로 교회를 가르치셨고, 성 베드로와 같은 순교로써 교회에 깨달음을 주셨습니다. 그 옛날 거룩한 사도들에게 부당하게 날아왔던 돌들이, 이제는 나의 전임자들이신 거룩한 교황님들께 맹렬하게 날아오고 있습니다.

    그들은 당신의 가르침을 거스르고, 간구하는 대신에 비난을 일삼고 있습니다. 그자는 극도로 지독한 사설을 늘어놓으며 우리에게 비난을 일삼고, 그로 인하여 우리가 눈물을 흘리는 자신의 행태에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예로니모 성인께서는 이단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이단자들은 궁지에 몰리면, 특히 자신들의 주장이 비난을 받게 되면 혀에서 뱀의 독을 내뿜는다. 그리고 자신들의 주장이 설복 당하게 되면 감히 모독적인 말들을 내뱉는다.” 그자도 이러한 이단자와 똑같은 부류의 사람입니다.

    성 바오로여, 당신께서는 신앙을 위협할 이단자들에 대하여 경고를 하셨습니다. 하지만, 당신의 전구 덕분에 이단자들은 그 시초부터 이미 멸망해가고 있으며, 이리처럼 성장하지도 세력이 강해지지도 않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성인들과 이세상의 모든 교회도 모두 일어나기를 청원합니다. 교회의 참된 성경 해석을 왜곡하는 것 외에도 거짓의 지아비에게 홀려 마음의 눈이 닫힌 자들이 일부 있습니다. 고대 이단자들의 관례를 본받아 자신들이 보고 싶어 하는 것만 보는 그들은 성령의 가르침이 아닌 개인적 야심에 따라 성경을 해석하고, 민중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자의적으로 성경을 번역하여 마치 사도 시대부터 전해진 것인 냥 이를 전파하고 있습니다.

    내가 진실로 말합니다. 그들은 성경을 곡해하고 그 권위를 손상시켰습니다. 그 결과, 성 예로니모의 말씀에 따라 “그것은 더 이상 그리스도의 복음이 아니요, 사람의 것이며, 더 나쁘게도 악마의 것입니다.”

  1. 성직과 성 정체성

        성직과 성 정체성   원제: 기장 제7문서 vs 합동 신학정체성 선언문     올해(2023) 장로교 총회는 역사적 두개의 문서를 통과시켰다.     먼저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총회는 제7문서를 조건부 수정 통과시켰다. 이것은 이른바 동성애 문서다. 또 총회...
    Date2023.09.22 Byreformanda Reply0 Views560 file
    Read More
  2.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인가

      프랑크푸르트암마인대학교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인가?   프랑크푸르트학파(Frankfurter Schule)는 1930년대 이후 등장한 프랑크푸르트암마인대학교의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일어난 신 마르크스주의 사회이론가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기 프랑...
    Date2023.09.19 Byreformanda Reply0 Views1405 file
    Read More
  3. 프랜시스 쉐퍼의 네 가지 도전

        프랜시스 쉐퍼의 네 가지 도전     우리 시대에 우리가 강조해야 할 네 가지를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하는 쉐퍼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 1912-1984)는 미국의 기독교 철학자이며 장로교 목사이자 복음주의 운동가이다.  쉐퍼는 신학적 모더...
    Date2023.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796 file
    Read More
  4. [설교] 조상제사와 우상숭배

      조상제사와 우상숭배   선교 현장은 기독교 선교지의 문화와 민속종교가 충돌합니다. 기독교가 토착종교와 토착문화가 융합을 하여 토착화되는가 하면, 어떤 경우는 혼합되어 잡탕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선교지는 기독교의 절대적인 진리와 복음이 상...
    Date2023.09.16 Byreformanda Reply0 Views1232 file
    Read More
  5. 뷔자데와 데자뷔

        뷔자데와 데자뷔     원제: 데자뷔의 반대말은 행복     “데자뷔의 반대말이 뭔지 알아?” TVN 예능프로그램 ‘텐트 밖은 유럽’에서 배우 유해진이 느닷없이 다른 출연자들에게 한 말이다. 데자뷰의 반대말이 뭔지 아느냐고 물었다.      다들 모른다고 하...
    Date2023.09.13 Byreformanda Reply0 Views2241 file
    Read More
  6. 이단 신천지는 급성장 하는가?

      ▲ 신천지 교주 이만희 총회장.  뉴스1   이단 신천지는 계속 급성장하는가?   -이만희 교주의 편지에 대한 진용식 목사의 답문   귀하가 “한국 기독교 목사님들께”라는 제목으로 보내주신 편지는 잘 받았습니다. 비 성경, 비상식, 비논리로 가득한 편지에 ...
    Date2023.09.10 Byreformanda Reply0 Views499 file
    Read More
  7. [설교] 기생 라합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기생 라합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라합’하면 떠오르는 기억이 무엇입니까? 라합의 이미지는 무엇입니까? 보통 기생 라합을 기억합니다. 당연히 이름 앞에 강조된 ‘기생’이라는 단어 때문입니다.     목회자라면 한두 번 설교의 본문으로 사용...
    Date2023.08.17 Byreformanda Reply0 Views4933 file
    Read More
  8. 리포르만다, 광고 배너를 싣는다

          리포르만다, 광고 배너를 싣는다   <리포르만다>가 오늘부터 광고 배너를 싣는다. 독자들의 양해를 바란다. 독자들이 화면에 올라오는 광고 배너를 클릭하고 그 물건을 구입하면 그 수익액의 극미한 일부가 <리포르만다>로 적립된다. 티끌모아 태산이다...
    Date2023.08.15 Byreformanda Reply0 Views364 file
    Read More
  9. 대한민국의 공정선거를 위한 턴원

        대한민국의 공정선거를 위한 탄원     대한민국 기독교 사회가 부정선거를 막을 원천적이고 불가역적인 제도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정선거 문제는 일부 음모론자들의 이상한 주장이 아니다.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거룩하신 하나님의 공...
    Date2023.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371 file
    Read More
  10. 기독교 대학교의 폐교, 무엇을 말하는가?

        기독교 대학교의 폐교, 무엇을 말하는가?   기독교 대학 미국의 얼라이언스대학교(Alliance University)가 재정난으로 2023년 8월 31일에 문을 닫는다. 냐약칼리지(Nyack College)와 얼라이언스신학교(Alliance Theological Seminary)로 구성된 이 학교는...
    Date2023.07.14 Byreformanda Reply0 Views1345 file
    Read More
  11. 축구 경기와 후쿠시마 방류

      일왕 히로히토     축구 경기와 후쿠시마 방류   나는 축구 경기 관람을 좋아한다. 운동장에서 뛰는 것은 못 하지만 경기를 보는 것은 좋아한다. 국가대표 선수들이 경기하는 모습을 보면 스포츠를 넘어 예술의 경지로 느껴진다. 축구 경기에서 재미있는 사...
    Date2023.07.09 Byreformanda Reply0 Views2685 file
    Read More
  12. 목회자의 무력감

      목회자의 무력감   무력감에 빠진 목회자들에게   목회데이터연구소에 의하면, 목회자 704명에게 설문한 결과 목회자 100명 중 67명, 곧 67%가 무기력증, 답답함, 피곤, 막막함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 행복, 보람을 느끼는 목회자는 30%인...
    Date2023.06.12 Byreformanda Reply0 Views478 file
    Read More
  13. What is the Kingdom of God?

      What is the Kingdom of God?     Q: Hi Chatgpt, would you help me to get something?     A: Hello! I'll do my best to assist you. What can I help you with today?     Q: You might know theologian Dr. George Eldon Ladd, who was a professor of...
    Date2023.05.10 Byreformanda Reply0 Views827 file
    Read More
  14. 카다콤 순교자

        카다콤 순교자      카타콤은 로마도성 동편의 저지대 지하동굴에서 시작되는 로마인들의 무덤이다. 주후 64년부터 305년까지, 열 명의 황제들이 열 차례에 걸쳐 기독교를 박해했다. 도미티안은 로마제국에 신(神)의 은혜가 임하도록 국민들이 옛 로마의 ...
    Date2023.04.16 Byreformanda Reply0 Views1191 file
    Read More
  15. 예수의 횡경막: 고난주간 묵상

          예수의 횡경막: 고난주간 묵상     옛날 옛날에 처음으로 설교했을 때의 일이다. 설교-예배가 끝나고서 우는 사람이 무척 많았다. 나도 그런 사람 중에 한 명이다. 그들 가운데 눈이 퉁퉁 부어 인사도 제대로 못하고 황급히 나가는 한 여성이 있었다. ...
    Date2023.04.02 Byreformanda Reply0 Views52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