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9.11.21 20:11

요강과 밥그릇

조회 수 7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2e35ff4bc2b0233b8fb9705997ccf94.jpg

요강과 밥그릇


이영진 목사(교수, 페이스북 글)


칭의와 성화는 단일한 것이다.


1. 기독교인의 구원은 ‘천당 행(行)’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속성의 변화다.


2. 적어도 로마서에 따르면 인간은 단 한 번(ἐφάπαξ)의 변화로 그 궁극적 속성을 획득한다.


3. 다만 현실 속에서, 변화 받은 인간의 행실에서 오는 괴리감이 이 단번의 변화를 이중적 단계로 치장하는 결과를 초래했지만 로마서는 비교적 이 일회적 변화에 대하여 단호하다.


4. 결코 정죄함이 없다는 것이다.


5. 이 당혹스러움을 해소하기 위해 ‘유보적 칭의’ 또는 ‘제2의종교개혁’ 등 ‘성화’라는 일종의 수속들이 등장했지만, 그것은 칭의와 성화를 (재)조직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이 변화의 대상이 되는 ‘죄(성)’에 대한 이해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6. 왜냐하면 적어도 이 변화의 체계를 일으키는 로마서의 핵심 장에서 ‘죄’를 표지하는 ἁμαρτία라는 용어를, 저자인 바울은 대단히 의식적으로 (그 의미와 본령을 알고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용어에 대한 해득이 없는 한 이 구원의 교리는 끊임없이 조직당하고 말 것이다. 

 

7. 내가 기독교가 뭔지 알기도 전 아주 어린 꼬맹이 시절에 집에는 어떤 부흥회 설교가 담긴 카세트 테이프가 몇 개 굴러다녔다. 하나님은 오묘하시다. 그 테이프 하나를 내가 왜 꽂고 들었을까? 기독교는 커녕 종교가 뭔지도 몰랐던 시절인데 그 설교자의 이름을 지금 기억하고 있다. 아마도 ‘오’자, ‘관’자, ‘석’자였을 것이다. 녹음기에서 들려오는 걸쭉한 그의 목소리는 이런 내용이었다. “여러분 요강 아시지요? 요강? 요강을 용광로에 넣고 녹였다가 주발을 만들면 뭐가 됩니까?” 사람들은 소리쳤다. “밥그릇이요!”


8. 비유가 좀 그렇지만 이 ‘요강’에서 ‘밥그릇’으로 변한 사실이야말로 이 속성의 변화에 대한 탁월한 예가 아닐 수 없다. 그렇지만 ‘요강’이었던 사실은 사라지는 게 아니다. 또한 ‘밥그릇’으로 그 존재가 완전히 달라졌지만 실은 ‘밥그릇’이 천당 자리를 따 놓은 당상인 것도 아니다. 단지 신분상의 변화만 있을 뿐. 그 시절 3류 식당엔 ‘밥그릇’에 담뱃재를 떠는 인간들도 있었다. 요강만도 못한 가증한 처신인 셈이다.


9. 결론적으로 말하면, 우리는 이 단 한번의 변화로 너무 많은 크레딧을 기대하는가 하면, 또한 그 단 한 번의 변화가 가져오는 위력에 대해서 지나치게 자신감이 없기도 하다.


10. 명심할지어다.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인 것이다. 그리고 “너를 해방하였음이라”인 것이다.


11. 다음은 로마서 주된 구조. 여러 학자나 주석들이 다 다르기도 비슷하기도 하지만 적어도 이런 구조가 살아 있어야 한다.


1) 인사말 (1:1-17)


 2) 죄/정죄 (1:18-3:20)


-모든 사람의 죄 적용 (1:18-32)
-일반윤리에 대한 죄 적용 (2:1-16)
-유대인/율법의 죄 적용 (2:17-3:8)
-모든 인류의 죄 심판 (3:9-20)


 3) 의(義)와 구원 (3:21-5:21) ㅡ칭의


-의에 대한 정의 (3:21-31)
-의는 어떻게 적용되는가 (4:1-25)  
      아브라함 안에서 믿음 (4:1-21)
      아브라함-예수 칭의 (4:22-5:11)
      아담 안에서 범죄/사망 (5:12-14)
      아담-예수 영생 (5:15-21)


 4) 칭의(稱義)의 전개 (6:1-8:39) ㅡ성화


-전속(專屬)의 문제 (6:1-23)
-계속되는 죄의 문제
     -율법의 문제 (7:1-25)
      -죄의 의인화 (내 안에 내가 2개다?)
     -율법이 죄를 짓게 한다?
     -속사람의 갈등과 불일치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성화/칭의의 능력 (8:1-39)
     -해방/승화/기대/승리


5) 의(義)-섭리와 주권 (9-1-11:36)


6) 의(義)의 적용과 헌신 (12:1-15:13)


(7) 인사와 축복 (15:14-16:27)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1.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스스로 진 왕관의 무게: 하나님 되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3)   교만은 단순한 자아도취나 오만한 태도가 아니다. 그것은 존재의 가장 깊은 심연에서 터져 나오는 비극적인 선언이며, 피조물로서의 숙명을 거부하는 장엄하고도 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7 file
    Read More
  2.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영혼의 그림자 드리운 왕좌: 자기 높이기   ―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1-2)   다른 죄들은 벼룩에 물린 자국에 불과하다. 그러나 교만은 영혼을 태우는 불이다.   고대의 신화에 나오눈 프로메테우스는 신의 불을 훔쳤다. 그는 인간을 위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1 file
    Read More
  3. 단테와 일곱 가지 죽음의 죄

      서울서부법원 복도에 걸려 있던 그림   단테와 일곱 가지 죽음의 죄 — 사랑이 잿빛으로 변한 자리   ―일곱가지 죽음에 이르는 죄에 대한 묵상  (칠거지악 1-1)   1. 단테, 어둠의 숲에서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 그의 『신곡』(La ...
    Date2025.10.24 Byreformanda Reply0 Views55 file
    Read More
  4. 자유는 서서히 무너진다

    이재명 대통령 부부      자유는 서서히 무너진다   공산화는 총칼로 오지 않는다. 법의 이름으로, 제도의 얼굴로, 언론의 포장지에 싸여 조용히 스며든다.'   먼저, 방송이 변한다. 진실은 편집되고, 불편한 질문은 사라진다. 국민은 “그게 전부”라고 믿으며...
    Date2025.10.23 Byreformanda Reply0 Views90 file
    Read More
  5. 환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는가?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      환율이 오르면 어떻게 되는가?   환율이 개박살났다. 이제 1400원대가 뉴노멀이 됐다.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락 내리락하던 환율이 이제는 1400원 밑으로 더 이상 내려가질 않는다. 이재명 정권 출범 이후 환율은 사실상 1400원...
    Date2025.10.11 Byreformanda Reply0 Views154 file
    Read More
  6. 오세택 목사님께

        오세택 목사님께   손영광 (울산대학교 교수)   제목: 손현보 목사님 징계를 요구하는 예장 고신 두레교회와 오세택 목사님께   기윤실(기독교윤리실천운동)과 고사모(고신교단을 사랑하는 모임)라는 이름으로 모이는 기독교 좌파들이 손현보 목사님 징계...
    Date2025.09.27 Byreformanda Reply0 Views257 file
    Read More
  7.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오빠와 누나 이야기 – 노래로 부르는 한국 현대사   황석영의 <장길산> 읽을 때 싱긋 웃은 적이 있습니다. 사람 목 비틀기를 예사로 하는 험상궂은 장정들이 상대방을 부를 때 ‘언니’라고 부르는 거예요. 어려서 사촌 누나에게 ‘...
    Date2025.09.04 Byreformanda Reply0 Views283 file
    Read More
  8.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조국과 윤미향 사면의 비극     전 숭실대학교 교수였던 김영한 박사(샬롬을 꿈꾸는나비행동 상임대표)가 2025년 9월 1일, “조국과 윤미향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관하여”라는 논평을 발표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조국 씨와 윤미향 씨에 대한 광복절 사면에 ...
    Date2025.09.01 Byreformanda Reply0 Views241 file
    Read More
  9. 낙하복 실험

        낙하복 실험   1912년 파리, 낙하복 실험을 위해 그는 타워에서 뛰어내렸다   1912년 2월 4일, 프란츠 라이셰르트(Frantz Reichelt)는 자신이 발명한 걸작인 "낙하복"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증명하기 위해 이 옷을 입고 파리 에펠탑까지 올랐습니다. 당...
    Date2025.08.24 Byreformanda Reply0 Views285 file
    Read More
  10.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 남북한의 정통성 논쟁     한반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단순한 역사 논쟁이었다면 목사가 굳이 펜을 들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다르다. 북한이, 혹은 북한과 유사한 성격의 체...
    Date2025.08.14 Byreformanda Reply0 Views302 file
    Read More
  11.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불교판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힌두교 비이원성 철학에 기초한 라마크리슈나와 그를 교주로 삼아 출발한 ‘라마크리슈나 미션이다. 둘째는 기독교 바탕에서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한 칼 라너, 라이문도 파니카, 존 ...
    Date2025.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313 file
    Read More
  12.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대대한민국 헌법 제84조는 국가 최고 권력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국가 경영과 통치를 하도록 일시적 특권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 법은 최고 권력자에게 법 위에 있을 수 있는 권한 부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대통령은 재직 ...
    Date2025.06.17 Byreformanda Reply0 Views676 file
    Read More
  13.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의 전라도 논평   아래는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의 세이브코리아 광주 집회의 연설 전문이다. 광주 출신인 그는 “친북·종중에서 벗어나 대한민국과 함께 가야 호남도 살아...
    Date2025.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842 file
    Read More
  14.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난리와 폭동이 예상되는 날이다. 대규모 집단 불복과 반발이 시작될 모양이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간판을 뗄 것이라고 하는 자들도 있다.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
    Date2025.04.03 Byreformanda Reply1 Views2862 file
    Read More
  15.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허영 교수(대한민국의 법조인, 헌법학자, 1936-)는 위법한 헌재 탄핵심판 결정이 오히려 국민 저항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가지가 넘는 이런 불공정하고 졸속으로 진행된 탄핵심판을 우리 국민이 용납하겠...
    Date2025.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112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