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119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3bb19734af02bafb4c42cee963557238.jpg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정


총신 제1회 졸업생, 1952


'총신'의 설립연도 또는 제1회 졸업 연도에 관한 글이 페이스북에 올라왔다. <기독공보>>[2382] 20020914(토)의 보도문으로 보이는 이 글은 '총신'에 1951년에 입학하여 1952년 4월에 '총신 재1회 졸업생'으로 헉교를 떠난 분들이 2002년, 50년 만에 한 자리에 모였다는 내용이다. 


박형룡 박사가 1948년에 고려신학교 학생 절반 가량을 데리고 분열해 나가서 시작한 학교의 이름은 '장로회신학교'이다. 남산에 있는 일제의 조선신궁 건물에서 시작했다. 한 달 가량 공부를 시키고 제1회 졸업생을 배출했다. 이 학교는 우여곡절 끝에 1951년 무렵   '총회신학교'로 바뀌었고 1959년에 현재의 합동, 통합이 분열할 때, 현 총신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로 갈라섰다.


아래의 보도문이 말하는 '총신'은 1948년에 설립한 '장로회신학교'와 직결된 '총회신학교'로 보인다. 총신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로 나뉘어진 그 학교임에 틀림없다. 1951년에 설립된 다른 '총신'이라는 학교는 없다. 


아래의 글은 현 총신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의 학교 설립연도, 졸업생 차수에 대한 표기들이 '역사날조'임을 입증한다.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목회자들을 배출하는 학교들의 '역사날조,'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총신 1회 졸업 50주년 기념대회

 [2382] 20020914()


한국 전쟁이 한창 진행 중에 있던 1951년에 입학, 524월에 졸업한 총신 1회 졸업생이 50년 만에 한 자리에 모였다.

      

지난 5일 오후,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대강당에서 30여 명의 동창생과 가족그리고 이미 별세한 동창생들의 유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총신 제1회 졸업 50주년 기념대회'(대회장: 김애주 박성준)를 가진 이들은 모두 목회 현장을 떠난 백발의 노인으로 실로 50년 만의 만남이었다. 특히 이날 모임은 40일 금식기도 후 몸조리를 잘못해 15명의 동창생 중 제일 먼저 세상을 떠난 고 조종술목사를 비롯해 단신으로 전 생애를 전도사역에 쏟은 후 모든 재산을 교회에 바치고 육신마저 기증하고 고인이 되어 버린 고 김진실전도사 등 먼저 간 동창생들을 위한 추모회도 처음으로 가졌다.

 

"그동안 한 번도 먼저 간 동창들의 가족을 돌아보지 못하고 이번 행사를 앞두고 처음으로 고인들의 가족을 찾아 한없는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 이영백 목사는 "아버지 없이 평생 자녀들을 위해 사모의 자리를 지켜 온 미망인들을 대할 때 미안한 감이 들었다"고 유족에 대한 보고를 하자 참석한 동창들은 모두 눈시울을 적셨다.

 

이어서 추모회를 인도한 고현봉 목사는 추모사를 통해 "먼저 간 동창들은 신학 졸업으로는 우리의 동창이지만 사명 완수에 있어서는 우리의 선배이며그들 자신과 그들의 가족은 결코 측은과 가련의 대상이 아니라 진실로 축하와 흠모의 대상으로 높이 평가하여 고인의 신덕을 추모해야 할 것"이라며"먼저 승리하신 학형들이 못 다하신 복음 사역까지 담당하리라는 연대의식을 가지고 남은 날을 복음사역 완수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개개인의 성공과 업적이 아닌 총신1회 동창 15명 전체의 복음 사역이 극대화 되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강조했다.

      

또한 이날 가진 예배에서는 미국에서 온 김순풍목사가 설교를 통해 "이제는 주님의 곁으로 갈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이번 모임이 마지막 날이 될지 모르지만 남은 생애 동안 하나님과 함께 더불어 기도와 말씀으로 묵상하는 교제하는 삶과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사역에 동참하자"고 말했다.

      

이어서 열린 성찬식에서는 "평생 목회에 몸을 바친 목회자로서 목회 현장에서 자신의 피를 나누는 삶이 되었는지 다시 한 번 돌아보자""남은 짧은 생애 동안 그리스도의 삶을 나누자"고 다짐했다.

 

이날 모임에 이어 참석자들은 6, 7일 양일간 강원도 설악산 등을 관광했다.

 

총신 1기 졸업생은 1951년 한국전쟁 당시 월남한 신학생들을 중심으로 피난지인 부산에서 입학, 다음 해인 52년 대구에서 졸업을 했다.

 

피난지에서 신학 수업을 할 수 있었던 당시를 회상하는 대회장 김애주 전도사는 "변란으로 국토의 남단까지 밀려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상황과 신학과 노선문제로 혼란한 때 장로교회를 수호하기 위하여 설립한다는 취지로 여러 신학교를 통합하여 '총회신학교'5151일 개교했다""이 소식을 듣고 하나님이 주신 기회로 알고 너도나도 앞다투어 전입학한 남북한 신학도들이 총신 1회 졸업생"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또 "한국 전쟁으로 폐허가 된 조국에서 '이 나라에 희망이 있다면 오직 복음이다'라는 신념으로 교실로 사용하는 교회당에 꾸러 않아서 면학한 우리들"이라고 소개했다.

 

매월 서울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각각 월례 모임을 가지며 친교를 나눠 온 이들은 졸업 기념 40년이 되던 해인 1992년에 서울과 로스앤젤레스를 오가며 동창회를 가진후 처음으로 '희년을 거룩하게''감사와 다짐'이라는 표어와 주제로 한 자리에 모였다


출처: http://blog.daum.net/chosamo/5541

조동천 목사, 2012.06.08 21:28 입력


http://www.pckworld.com/news/articleView.html?idxno=3455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 시 출처 표기>

?
  • ?
    고경태 2019.12.08 19:13
    http://www.pckworld.com/news/articleView.html?idxno=3455



    총신 1회 졸업 50주년 기념대회

  1. 유관순과 김만덕

      유관순 (옥에서 찍은 사진을 현대기술로 편집한 그림)   유관순과 김만덕   1. 유관순   대한민국 최고액 화폐의 주인공은 사임당 신 씨가 아니라 유관순, 조수옥, 이금순, 정순말이 적합하다. 한 사람 더 꼽으라면 기녀 출신 조선 여인 김만덕(1739-1812)이...
    Date2022.09.12 Byreformanda Reply0 Views924 file
    Read More
  2. 신사임당의 등극

        신사임당의 등극   대한민국 최고액 지폐 오만 원 권을 접할 때마다 나는 과연 '신사임당'이 대한민국 최고액 지폐의 주인공으로 적합한 인물인가 하는 의문이 앞선다. 아들 하나 잘 키웠다는 이유로 한 나라 최고액 지폐의 주인공 ‘등극'시키는 것은 석...
    Date2022.09.12 Byreformanda Reply0 Views1786 file
    Read More
  3. 세월호 침몰의 진짜 원인은 밝혀졌는가?

      국민일보 그림   세월호 침몰의 진짜 원인은 밝혀 졌는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의 침몰과 꽃 같은 젊은이들을 포함한 299명이 사망했다. 참으로 안타깝고 슬픈 사건이었다. 최근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보고한 시간 등을 사후 조작한...
    Date2022.07.22 Byreformanda Reply0 Views723 file
    Read More
  4. 아, 어찌 우리 잊으랴 6.25

          아, 어찌 우리 잊으랴 6.25     한국동란, 한국전쟁 곧 6.25 전쟁이 일어난지도 72년이 됐다. 1950년 6월25일 주일 새벽 4시에 북한은 공산주의 종주국인 소련과 중공을 끌어들여 불법으로 기습 남침했다.     북한은 지금도 “한반도에서 외세를 몰아내...
    Date2022.06.27 Byreformanda Reply0 Views729 file
    Read More
  5. 욥기의 신비 다시 읽기

        욥기의 신비 다시 읽기   역사가 칼라일은 “욥기는 인간의 펜으로 쓰인 것 중에 가장 위대한 작품”이라고 말했다. 신학자들은 욥기를 고금 전체의 “최고의 시편”이라고 칭한다. 그 정도로 욥기 안에는 기독교의 구원 교리가 절묘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래...
    Date2022.06.17 Byreformanda Reply0 Views866 file
    Read More
  6. 대힉총장의 연령

        대힉총장의 연령   최근 모 대학교 이사회는 신임 총장을 선출하면서 지원자의 퇴임 시의 정년 연령을 70세로 제한하는 기존의 규정을 따랐다. 이 제한 정책은 학생 지원자가 많고 위기가 전혀 없는 시절에 만든 것이다. 사립대학교의 총장 후보자에 대한...
    Date2022.06.11 Byreformanda Reply0 Views924 file
    Read More
  7. 미국 총기문화의 비극

      ▲뉴욕의 유엔본부 건물 앞에 있는 분쟁 없는 세계를 상징하는 조형물 ‘매듭 묶은 총’. /사진=UN 페이스북   미국 총기문화의 비극   며칠 전 텍사스 주 유벨디라는 시골 초등학교에서 끔찍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 21명의 어린이들과 2명의 교사가 아까운...
    Date2022.05.29 Byreformanda Reply0 Views516 file
    Read More
  8. '어머니', 가장 아름다운 이름

        '어머니', 가장 아름다운 이름 황현조 박사 미 동부에는 긴 겨울이 가고 이제 새 봄이 왔다. 신록의 계절 5월은 가정의 달이요 둘째 주일은 어머니주일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름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곧 “어머니”라는 이름일 것이다. ...
    Date2022.05.06 Byreformanda Reply0 Views664 file
    Read More
  9. 이재명은 링컨을 생각나게 한다

          이재명은 에이브라함 링컨을 생각나게 한다/ 김세윤     주: 아래의 글은 신학자 김세윤 박사가 모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특정 후보를 공개 지지한 영상을 인공지능이 녹취한 것이다. 영상 출처: 유튜브, 양희삼TV- 카타콤/ 목동TV, "이재명의 삶이 ...
    Date2022.03.09 Byreformanda Reply3 Views2071 file
    Read More
  10. 낮잠

        낮잠   일제 시대에 신사참배 반대운동으로 옥고까지 치른 고 한부선(Bruce Hunter) 선교사의 아버지 역시 선교사였는데 그가 임종하기 직전 아들을 부르더니 꺼져 가는 목소리로 이렇게 귓속말을 하더란다. "아들아, 종종 낮잠을 자도록 해라" 평생을 선...
    Date2022.02.21 Byreformanda Reply0 Views447 file
    Read More
  11. 황산기행기

          황산기행기     나는 중국에 머무는 16년 동안 나름대로 유명한 중국의 명소들을 방문해봤다. 때로는 재중 한인교회 연합회의 공적인 행사로, 때로는 아예 마음먹고 중국의 명소를 섭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봤다. 그 목록을 열거하자면 장가계 2회, 서...
    Date2022.02.15 Byreformanda Reply0 Views498 file
    Read More
  12. 유유미션: 신학강의공급선교

        유유미션: 신학강의공급선교   유유미션(University Ubiquitous Mission)은 신학강의공급선교를 하는 비영리 선교 단체이다. 아래의 글은 어느 언론사의 기사에서 아래와 같은 온라인 장점과 단점들을 메모한 것이다.   팬데믹이 우리 일상의 모든 영역에...
    Date2022.01.15 Byreformanda Reply0 Views390 file
    Read More
  13. 메타버스 신학교육

        메타버스 신학교육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히 11:1).   신발 회사 아디다스와 나이키가 경쟁을 해 왔다. 근래에 나이키가 아디다스를 10배 정도 앞질렀다. 근년에 아이다스는 60조 원을 벌지만, 나이키는 200조 원...
    Date2021.12.20 Byreformanda Reply0 Views442 file
    Read More
  14. 마리안 앤더슨

        마리안 앤더슨     미국인 마리안 앤더슨(Marian Anderson; 1897~1993)은 세계 최초의 흑인 오페라 가수이자 미국의 위대한 여자 성악가 중 한 사람입니다.   1955년 미국, 쉰 살이 넘은 나이에 흑인 가수로는 처음 메트로폴리탄에서 영감(靈感)있는 노래...
    Date2021.12.03 Byreformanda Reply0 Views1399 file
    Read More
  15. 방언과 공수

    방언과 공수   아래은 어느 무속인이 쓴 것으로 무속인 초연의 글이다. 오늘날의 방언, 방언기도와 무속인이 접신상태에서 하는 공수를 견주어 설명한다. 이 무속인은 기독교의 방언이 접신상태에서 일어나는 신탁 곧 공수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말한다...
    Date2021.07.02 Byreformanda Reply0 Views95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