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
마르틴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철학
하이데거 박물관 마르틴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철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11 1. 철학적 해석학에서 해석학적 철학으로 독일인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해석학적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이데거는 나치 독일을 찬양했... -
빌헬름 딜타이: 해석학과 인문과학
빌헬름 딜타이: 해석학과 인문과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10 1. 인문과학과 해석학의 기능 독일인 철학자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 1833-1911)는 개혁교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베르린대학교에서 역사학을... -
슐라이에르마허의 해석학
슐라이에르마허의 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9 1. 근대 해석학의 아버지 독일인 프리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는 계몽주의, 경건주의,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아 현대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로 부상되었다. 개신교... -
정통주의 해석학
비텐베르크 중심가, 루터가 설교하던 타운교회당 정통주의 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8 1. 정통주의 신학자들 유럽 16세기말과 17세기는 정통주의 시대였다. 로마가톨릭정통주의, 프로테스탄트정통주의 곧 루터파 정통주의와 개혁파 정통주의가 풍미했... -
루터의 해석학, 칼빈의 해석학
독일 비텐베르크성채, 성채교회당, 중세기 건축물 루터의 해석학, 칼빈의 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7 1. 루터의 기독론적 해석학 어거스틴 수도회 수도사 마르틴 루터는 뛰어난 성경교사였다. 그의 학문적 관심의 초점은 성경주석에 있었다. 스콜... -
스콜라주의 해석학, 종교개혁 해석학
스콜라주의 해석학, 종교개혁 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6 1. 중세기 해석학 신학은 성경 본문의 문자적 의미를 주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특정 본문이 갖고 있는 신학적 함의들을 조직적으로 고찰하는 학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세기에 이르러 ... -
어거스틴의 기호 해석학
유럽 15세기 고틱 학당 어거스틴의 기호 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5 어거스틴(Augustine of Hippo, 354-430)은 알렉산드리아와 안디옥, 풍유적 해석과 문자적-역사적 해석 전통을 동시에 수용하면서 기호 해석학이라는 독자적인 하나의 새로운 종합을 ... -
알렉산드리아 학파, 안디옥 학파
안디옥교회 벽화 알렉산드리아 학파, 안디옥 학파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4 1. 유대교의 텍스트 해석방법 성경은 이스라엘의 역사, 신앙, 문화, 정체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나님이 내려준 삶의 규범이며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책이다. 이스라엘이 야... -
왜 해석학이 중요한가?
알렉산드리아 고성 왜 해석학이 중요한가?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3 1.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종교, 문학, 역사 등 거의 모든 인문학 영역에서 ‘해석’(interpretation)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관점, 전제, 이해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진리’... -
해석학적 물음
해석학적 물음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2 1. 팩트 체크의 함정 현대 사회의 양극화는 날이 갈수록 심하다. 좌파-우파, 사회주의-자유민주주의, 여당-야당, 진보-보수, 맥락적 이해와 정통적 이해 모두가 사실(fact)에 대한 해석의 과제이다. 언론사 기자... -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생들에게 고함
감리교신학대학교,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생들에게 고함 아래의 글은 김요환 님(감리교신학대학과 대학원을 졸업)의 페이스북 글이다. 흥미로운 내용이기에 옮겨 싣는다.(편집자 주) 감리교신학교의 적통은 18세기 웨슬리 복음주의입니다. 현대 복음주... -
박정희 대통령 부인 박순천 여사
박정희 대통령 부인 박순천 여사 원제: 가짜 뉴스 정성구 목사 (전 총신대, 대신대 총장) 요즈음 가짜 뉴스가 판을 치고 있다. 최근 김정은이 20일 동안 잠적해 있는 동안 유튜브에서 “김정은이가 죽었네, 살았네, 중병에 걸렸네”라고 뉴스가 나왔다. 그러나 ... -
아편전쟁, 태평천국
아편전쟁과 태평천국 이야기 1. 아편전쟁(1840--1842년) 인류 역사상 가장 부도덕한 전쟁이었다. 영국이 중국에 아편을 밀수출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초부터다. 청나라는 18세기에 들어 3대의 황금기가 끝나고 혼란으로 빠지면서 백성들의 생활이 어려... -
신사참배 저항은 항일운동이었다
사진과 글: 뉴스앤조이 "신사참배 저항은 항일운동이었다" 역사신학자들 "항일 기독교인 재조명해야" 한목소리 <뉴스앤조이> 기사, 박요셉 기자 ( 2016.12.13.) 1931년 일본은 만주사변을 일으킨 뒤 빠르게 군국주의화했다. 천황을 신격화하고 조선에 신사... -
WCC의 개종전도금지주의 - 최덕성 교수 논문
WCC의 개종전도금지주의 - 최덕성 교수 논문발표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한국개혁신학회(회장 심창섭 교수)가 2011년 5월 14일(토)에 경기도 안양 열린교회(담임 김남준 목사)에서 ‘WCC와 개혁신앙’을 주제로 제30회 정기학술 심포지움을 개최했다.이날 기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