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299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루터타운처치222.jpg


비텐베르크 타운교회당, 루터가 매주일 설교하던 중세예배당

 

종교개혁 칭의론인가, 새관점 칭의론인가?

 

칭의론 학술회(12월 12일) 취지문


한국 기독교계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여러 가지 기념행사를 하고 있다.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한 오직성경, 오직믿음, 오직은혜 원리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행사들을 개최하고 있다. 종교개혁운동은 교회론 개혁인 동시에 구원론-칭의론 개혁이었다. 후자는 당시의 교회가 면죄부를 판매하고, 개인의 선행과 공로에 따라 구원이 결정된다는 등 바울이 제시한 기독교 신앙의 요체 이신칭의에 상충되므로 이를 개혁하려 한 운동이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한다고 하면서 '반()종교개혁' 곧 로마가톨릭 칭의론을 선전 확산하는 행사를 개최하는 기독교 단체도 있다. 이신칭의 교리를 조롱 또는 야유하는 구호를 앞세우며, 로마가톨릭 칭의론 주창자를 초빙하여 큰 규모의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 모순된 움직임의 중심에는 바울에 대한 새관점 칭의론과 새관점학파의 '언약적 율법주의' 구도를 수용한 김세윤 박사(풀러신학교, 신약신학 교수)의 칭의론이 자리 잡고 있다.

 

김세윤은 유보적 칭의론, 행위심판론을 주창하면서 구원의 탈락 가능성, 칭의의 상실 가능성, 구원확신 불가성을 강조한다. 칭의와 성화를 동의어로 여기면서 종말의 날에 심판대에서 행위에 따라 구원이 결정된다고 한다. 칭의가 인간의 의로운 행위로 '완성'된다고 한다. 물세례가 칭의의 수단이라고 한다. 심판 날 까지는 구원의 확신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김세윤의 이론을 맞줄임(約分)하면 인간은 자기의 행위에 따라 구원을 얻는다는 결론에 이른다..

 

개혁신학 관점에서 보면, 새관점 칭의론, 김세윤 칭의론은 '다른 복음'이다. 기독교 구원 체계를 위태롭게 한다. 복음전도를 어렵게 한다. 교회를 망치게 한. 성경적이지 않고 합리적이지 않다. ()펠라기우스주의, 로마가톨릭교회주의, 아르미니우스주의와 일맥상통한다. 종교개혁자들의 가르침에 역행한다 

 

김세윤을 추종하는 자들은 유보적 칭의론, 행위 심판론이 성도가 악행을 끊고 선행을 하게끔 하는 강력한 동인(動因)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행위를 칭의나 구원의 조건으로 삼아야 성도들의 삶이 통제될 것이라고 보는 듯하다. 그러나 이는 칭의와 성화의 관계를 잘못 설정한 오판이다. 무엇보다도 복음진리와 상충된다.

 

김세윤과 김세윤 추종자들은 '구원파적 구원론' 때문에 한국교회의 윤리 부재현상이 도래했다고 말한다. "예수를 믿으면 하나님께서 죄를 다 용서해 주시기 때문에 아무렇게나 살아도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 탓이라고 한다. 정말 그러한가? 이신칭의를 고백하는 한국교회에는 윤리가 부재한가?

 

한국교회는 개혁주의 정통신학(Reformed Orthodoxy)의 강한 영향을 받고 있다. 개혁파 신학자들, 설교자들은 율법폐기론, 무율법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예수를 믿으면 구원은 따 놓았으므로 아무렇게나 살아도 된다"고 설교하지 않는다. 윤리적 실천이 필요 없다고 가르치는 목회자, 신학자는 없다. 종교개혁자 칼빈은 이신칭의와 함께 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2222.jpg

 

칭의를 선물받은 신자는 그리스도와 연합으로 성령의 교통과 능력에 의해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윤리의 삶을 살게 된다.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받은 자들은 인간의 공로가 아니라 성령의 역사에 힘 입어 하나님을 닮아가는 거룩한 변화를 경험하고, 성결하고 의로운 열매를 맺는다. 칭의와 성화는 구분되며 이 둘은 결합되어 있다.

 

어느 신학자는 구원의 탈락 가능성, 칭의의 상실 가능성을 강조하지 않으면 "교회 안에 윤리가 설 자리가 없다"고 한다. 이 주장은 텍스트보다 콘텍스트에 더 높은 권위를 부여하는 발상이다. 근거가 불확실하다. 바울, 어거스틴, 루터, 칼빈, 낙스, 번연, 오웬, 차녹, 굿윈이 누구인가? 조나단 에드워즈, 윗필드, 뉴톤, 스펄전, 워필드, 주기철, 박윤선, 한상동은 이신칭의를 믿은 기독인이다. 영국의 설교자 로버트 머레이 맥세인, 중국 선교사 앤드류 보나르와 윌럼 번즈, 구둣방을 박차고 나가 인도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한 윌리엄 케리는 이신칭의를 확신한 기독인이었다. 그들의 삶과 그들이 섬기던 교회에 윤리가 부재했는가?

 

연목구어(緣木求魚)라는 말이 있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이다. 불가능한 일을 무리하게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윤리가 설 자리가 없다"는 주장은 이신칭의, 성화, 성령의 성도 견인 사역에 역행한다. 하나님의 주권, 선택, 자기 백성에 대한 특별한 사랑에 대한 확고한 견해를 견지하지 않는 사고에서 나온 발상이다.

 

새관점 칭의론과 김세윤 칭의론은 하나님을 불완전한 존재로 만든다. 칭의를 미완성의 어떤 것으로, 인간이 행위로 완성시켜야 하는 무엇으로 여긴다. 로마가톨릭교회의 행위구원을 가르친다.  인간을 칭의의 주체로 여긴다. 김세윤의 칭의론은 종교개혁 칭의론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교황주의-사제주의, 고백성사, 연옥교리에 문을 열어준다.

 

기독교인이라고 하지만 윤리적 열매가 전혀 없는 사람이 있다면,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다양한 까닭이 있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름뿐인 형식적 신자가 아니겠는가? 하나님의 은혜, 칭의, 구원과 무관한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봄이 타당하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새관점학파와 김세윤에게 묻고 싶은 것이 있다. 기독인에게 성화의 삶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구원자 하나님의 눈높이에 도달하려면 인간이 도대체 어느 정도의 선행, 윤리의 열매를 맺어야 하는가?

 

행위로 구원을 받는 것과 같은 성경 표현들이 없지 않다. "나에게 주여 주여 부른다고 다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는 사람이라야 들어간다"(7:21). "한 번 빛을 받아서 하늘의 선물이 주는 기쁨을 맛보고 성령을 나누어 받은 사람들이, 배반하고 떨어져 나간다면, 다시 회개하고 새 사람이 될 가망이 없다"(6:4-6)고 한다.

 

모범적인 성경해석은 성경의 부분을 전체의 조망 아래서 해석한다. 성경과 신학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신학은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다. 하나님은 완전한 분이다. 거짓말 하는 분이 아니다사랑은 조건을 전제로 요구하지 않는다. 성경은 칭의가 인간의 윤리 실천에 달려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칭의의 주체는 하나님이다. 이신칭의는 성경이 말하는 명백한 진리이다. 이른바 유보적 칭의론은 인간행위를 칭의의 주체로 본다. 하나님의 사랑, 은혜, 구원의 위대성을 간과한다. 성경이 계시하는 복음진리에 상충된다.

 

김세윤과 그를 추종하는 자들이 윤리 빈곤의 한국교회의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점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울퉁불퉁한 가장자리를 깎아내려 하다가 귀중한 조각품 전체를 박살낼 수 있다. 이신칭의의 복음을 희생시키거나 변개하는 방식으로 윤리 빈곤이라는 난제를 손쉽게 해결하려는 시도는 '교각살우'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신학자와 목회자에게 필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우리 자신들과 성도들을 악행에서 멀어지게 하고 선행을 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감격과 성령의 충만함으로 가득하면 죄를 멀리하는 삶 곧 성화가 가능해 진다. 개혁신학 구원론, 칭의론, 성화론을 철저히 가르치고 널리 확산하는 노력이야 말로 한국교회의 윤리 결핍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첩경이다. 바울, 루터, 칼빈이 전한 옛 진리, 비텐베르크, 취리히, 제네바, 스코틀랜드, 평양을 진동시킨 회개와 이신칭의 복음이 한국을 진동시키는 날, 기독인의 거룩한 삶, 윤리의 열매가 덩달아 풍성할 것이다. 한국을 넘어서는 세계복음화 에너지가 온 땅에 가득 찰 것이다. 

 

리포르만다가 주최하는 칭의론 학술회(2016.12.12.,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는 이상의 주제들을 논의하는 학술마당이다. 새관점 칭의론의 역사와 뿌리, 루터의 이신칭의를 둘러싼 논쟁, 루터의 주장이 틀렸는가 새관점 칭의론이 잘못인가를 살펴본다. 김세윤의 칭의론과 로마가톨릭교회의 칭의론이 다르지 않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한국교회의 윤리 빈곤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한다. 새관점 학자들을 비판하던 김세윤이 갑자기 새관점 칭의론의 옹호자가 된 까닭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도 제기될 것으로 예측된다.

  

최덕성, 리포르만다 대표


초대장은 앞의 글 "칭의론 학술회, 12월 12일"에 실려 있다.


 http://reformanda.co.kr/xe/index.php?document_srl=98919&mid=cul (클릭)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
    황스데반 2016.12.06 17:53
    어제와 오늘 김세윤 교수의 강의를 6시간 들었는데, 윤리 노이로제가 있는 것을 보았다. 그 윤리 노이로제 때문에 성도의 견인, 곧 그리스도 예수님의 구속을 통한 하나님의 사랑의 완전성과 신실성을 부인하였고, 구속의 효력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업신 여겼으며, 나아가 전가 교리를 부인하였으며, 기독교를 단지 성령의 도움을 받아 율법을 잘 지켜서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 하는 것으로 결론 지었다. 그는 개혁주의자들을 의식한 나머지 하나님은 너그러운 분이라 원래는 흠도 없고 잭망 받을 것이 없어야 최종 심판에서 합격하여 구원 받을 수 있으나 고린도전서 3장처럼 수 많은 사람들을 가까스로 구원은 받게 하실 터이니 '죄송합니다'라는 의식이 있다면 아마도 구원 받을 것이라고 했다. 박형용 교수의 논찬대로 박 교수님의 논찬도 부실하고, 김세윤 교수의 신학 역시 '대단히' 부실한 것을 느꼈다. 사실 반대 의견을 가지고 논쟁하려고 했지만 이미 상대주의 신학자로 변화가 무쌍한 지라 논쟁하는 것이 어리석다는 생각을 하고 할 일도 많이서 일찌기 집에 왔다. 왠지 찝찝한 이틀이었다. 복음의 기쁨이 아니라, 칭의의 기쁨과 감사가 아니라 '알쏭 달쏭'하게 하여 성경의 이름으로 모든 사람을 헷갈리게 하고, 나아가 유명세로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및 여러 정통 신학을 땅바닥에 깔아 뭉개는 것을 보았다. 앞으로는 김세윤 교수는 별로 상대하지 않은 생각이다. 이는 그가 진정한 주의 백성의 지지를 얻는데 이미 실패한 것을 뚜렷하게 보았기 때문이다

  1. 유유미션: 신학강의공급선교

        유유미션: 신학강의공급선교   유유미션(University Ubiquitous Mission)은 신학강의공급선교를 하는 비영리 선교 단체이다. 아래의 글은 어느 언론사의 기사에서 아래와 같은 온라인 장점과 단점들을 메모한 것이다.   팬데믹이 우리 일상의 모든 영역에...
    Date2022.01.15 Byreformanda Reply0 Views428 file
    Read More
  2. 메타버스 신학교육

        메타버스 신학교육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히 11:1).   신발 회사 아디다스와 나이키가 경쟁을 해 왔다. 근래에 나이키가 아디다스를 10배 정도 앞질렀다. 근년에 아이다스는 60조 원을 벌지만, 나이키는 200조 원...
    Date2021.12.20 Byreformanda Reply0 Views471 file
    Read More
  3. 마리안 앤더슨

        마리안 앤더슨     미국인 마리안 앤더슨(Marian Anderson; 1897~1993)은 세계 최초의 흑인 오페라 가수이자 미국의 위대한 여자 성악가 중 한 사람입니다.   1955년 미국, 쉰 살이 넘은 나이에 흑인 가수로는 처음 메트로폴리탄에서 영감(靈感)있는 노래...
    Date2021.12.03 Byreformanda Reply0 Views1460 file
    Read More
  4. 방언과 공수

    방언과 공수   아래은 어느 무속인이 쓴 것으로 무속인 초연의 글이다. 오늘날의 방언, 방언기도와 무속인이 접신상태에서 하는 공수를 견주어 설명한다. 이 무속인은 기독교의 방언이 접신상태에서 일어나는 신탁 곧 공수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말한다...
    Date2021.07.02 Byreformanda Reply0 Views1015 file
    Read More
  5. 영어와 디지털의 만남

        영어와 디지털의 만남   정보통신의 발달로 우리의 삶은 너무 나도 빠르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스템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누구나 간단한 휴대폰 클릭 하나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물건을 살 수 있고, 돈을 보낼 수 있으며, 각종 예약을 하...
    Date2021.05.22 Byreformanda Reply0 Views606 file
    Read More
  6.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로마가톨릭교회 신학자 한스 큉 박사(Hans Kung, 1928-2021)가 4월 6일 독일 튀빙겐 자택에서 향년 93세로 별세했다. 스위스인 큉은 활발한 저술활동을  해 온 로마가톨릭교회의 비판적 신학자이다.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
    Date2021.04.09 Byreformanda Reply0 Views881 file
    Read More
  7.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 시민/ 사진 An SueYe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의 군부가 쿠테타로 정권을 잡았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에게 군경은 실탄을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이 지금은 쿠테타 세력으로 불리지만 법개정을 통...
    Date2021.03.03 Byreformanda Reply0 Views687 file
    Read More
  8.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일 년째 전 세계가 멈춰버린 느낌이다. 정부가 교회의 대면 예배를 규제하고 있다. 예배에 참석을 하려면 눈치를 봐야하는 상태이다. 아스라엘과 터기 여행은커녕 기독인들이 자기 ...
    Date2021.01.29 Byreformanda Reply0 Views664 file
    Read More
  9. 서양 8음계의 기원

    Harpsicod, BREAD CHAPEL   서양 8음계의 기원   우리의 조상들은 5음계를 사용하여 궁 상 각 치 우로 표기하였다. 오늘날 세계인이 사용하는 서양 8음계는 기독교의 유산이다. 10세기 말, 이탈리아의 기독교 성직자이며 음악가인 귀도 다레쵸(Guido d’Arezzo...
    Date2021.01.28 Byreformanda Reply0 Views1804 file
    Read More
  10.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핀란드의 헬싱키 공항에 '코로나 19 탐지견'이 등장했다고 한다. 이 탐지견은 코로나 19 양성 환자의 확진 여부를 10초 안에 찾아내는 게 가능하고 특히 무증상 환자까지 찾아내는 능력을 가져 현재 시범 근무 중이라고 한...
    Date2021.01.14 Byreformanda Reply0 Views727 file
    Read More
  11. 박창환 목사의 고별사

        박창환 목시의 고별사   박창환 목사(1924-2020)는 장로회신학교(1948)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1989년까지 41년 동안 헬라어와 신약신학 교수로 봉직했다. 1924년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박경구 목사의 장남이며, 한국장로교회 최초 중국 파견 선교...
    Date2020.12.01 Byreformanda Reply0 Views1775 file
    Read More
  12.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가 개막했다. 코로나 19 이전에 이미 시작되었다.   <리포르만다>와 BREADTV가 함께 설계 운영하는 BREAD UNIVERSITY는 신학강의 공급선교 플랫폼이다. 동영상 신학강의를 가난한 나라들의 복...
    Date2020.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687 file
    Read More
  13.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미모의 여인 수산나 이야기는 인류의 오래된 '미투 연루 사건’의 주인공이다. 로마가톨릭교회의 구약성경 외경 다니엘서 13장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권력 사회가 모함받은 피해자를 억울하게 하는 패턴의 원형이다.  ...
    Date2020.07.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86 file
    Read More
  14.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일식이 있던 시간에 등산을 하다가 우연히 위 그림의 나무들을 보았다. 두 나무의 뿌리가 붙어 있다. 연리근(連理根)이라고 한단다. 해발 약 300미터의 높이의 부산지역 장지산 등산로 기슭에 있다. 이 두 나무는 둘이면서 하나...
    Date2020.06.22 Byreformanda Reply0 Views862 file
    Read More
  15.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Photo: "George Floyd protests" in Wikip미국 dia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George Floyd Syndrome)은 2020년 5월 말에 시작하여 6월 초 현재까지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파괴적인 저항운동이다. 위조 지폐 사용자...
    Date2020.06.06 Byreformanda Reply0 Views135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