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바르트에게서 배우지 않은 것들

 

리차드 멀러 (Richard Muller)

전 미국 칼빈 신학교 역사신학 교수 

 

지난 한 해 (1986) 동안 칼 바르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고 20세기 신학에 기여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수많은 기념행사가 열렸고 찬사가 쏟아졌으며 기사가 쓰였다. 필자도 그와 같은 일을 하고 싶지만, 약간은 낮은 어조로 하고 싶다. 필자는 바르트가 그 시대의 가장 저명한 신학자들 중 한 명이라 인정하지만, 그를 루돌프 불트만보다 더 중요한 인물이라거나 혹은 ? 만일 칸트 이후 신학을 전반적으로 고려할 경우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보다 더 중요한 인물이라고 말하기에는 망설여진다.

 

그리고 필자는 확실히 바르트의 더 소란스러운 추종자들 중 몇 명에 의해 우리에게 강요되는 판단, 즉 그 위대한 바젤 출신 교수가 아타나시우스 이후 가장 중요한 사상가라는 식의 평가는 삼가하고 싶다. 이 주장이 아마 에딘버그 시에서는, 혹은 그 시에 있는 성지인 T&T Clark 출판사의 도보거리 내에서는 수용될 수 있겠지만, 신학적으로든 지리적으로든 뭔가 다른 시각에서는 이 주장이 지나치다. 바르트는 아타나시우스와 매우 대조적인 입장에 서 있고, 이와 관련해서, 어거스틴, 아퀴나스, 루터, 그리고 칼빈과도 매우 대조적인 입장에 서 있다. 거의 이들과 견줄만큼 뛰어나지만, 극히 소수의 참으로 위대한 이 사상가들과는 대조적으로, 본질적으로 비규범적인 신학을 양산한 신학자로서의 바르트는 오리겐, 존 스코투스 에리제나, 그리고 (필자가 추가하고 싶은) 슐라이어마허와의 조합에 위치한다.

 

필자의 생각에는 바르트가 성공적으로 필자세대의 많은 신학자들을 성경으로, 교회의 위대한 전통으로, 특히 종교개혁과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신학의 전통으로 돌아가도록 했다. 바르트 자신의 사상의 유용하고 통찰력 있는 요소들 대부분은 확실히 종교개혁과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신학에서 유래한다. 필자 자신의 신학 훈련 초창기에, 필자의 교수들이 필자에게 불트만, 노트(독일의 구약학자), 슐라이어마허, 매퀴리, 화이트헤드, 그리고 당연히 바르트로 구성된 꽤 고정된 규정식을 먹였을 때, 필자는 바르트로부터 그 밖의 다른 곳에서 필자의 신학적 토대들을 찾는 법을 배웠다. 그렇다면 이제 필자가 바르트로부터 배우지 못한 것들에 대해 말해 보겠다.

 

첫째로, 필자는 바르트로부터 어떻게 신학함을 배우지 못했다. 그리고 필자는 그 누구도 바르트로부터 그것을 배우지 못했을 것이라고 감히 추측해 본다.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을 정독하면서, 필자는 과도하게 많은 군말과 종결짓기를 거부하는 관념들을 지속적으로 경험했다. 두뇌가 날카로운 지성이 개념들을 갖고 놀고 그 개념들을 모든 인식가능한 각도에서 혹독하게 검증받게 하는 것은 흥미롭고 때로는 심지어 유익하다. 하지만 인간의 말로 신적 진리를 주장하는 것의 불가능성을 가정하고 따라서 지속적으로 그 주장 자체의 불가능한 공식화들을 부정하고 재진술하는, 바르트의 변증법적 방법은 신학적 주장의 두 극단 사이의 공식화가 갖는 문제점을 단지 쉽게 그리고 더 교훈적으로만 주장할 수 있었다.

 

그런 다음 다른 이슈로 옮겨 가서, 마침내 독자에게 서 너 권 분량으로 된 완성된 교의학을 내용의 손실없이 제공했다. 바르트가 그들의 작품들을 존경심을 가지고 읽었던 개신교 스콜라주의자들은, 그들의 명료함과 간결함에 관한 주목할 만한 관용 표현들로, 모든 인간의 신학은 틀림없이 모형적이고 오직 하나님의 선물인 계시의 은혜에 의해서만 신적 원형을 성공적으로 반영하는 하나님에 대한 불완전하고 유한한 진술이라는 점을 인정하였다. 바르트는 필자에게 신학적 공식화에 대한 그런 법칙을 어디서 발견할 수 있는 지를 가르쳐 주었지만, 필자는 그 법칙 자체를 바르트로부터 배웠다고 말할 수 없다.

 

둘째로, 필자는 바르트로부터 어떻게 성경해석을 하는지에 대해 배우지 못했다. 필자가 공부했던 바르트의 첫 소논문은 로마서주석이었다. 신학교 시절을 회상할 때, 필자는 거기서 시작했는데 이는 필자가 바르트를 읽어야 한다고 믿었지만, 필자는 교회 교의학을 필자의 서재를 위한 도서예산의 한도를 능가하는 완전한 통일체로서의 전집 작품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필자는 바르트의 로마서주석으로부터 그 당시 성경해석의 차갑고 역사비평적이며 본질적으로 비신학적인 내용에 대한 필자의 이제 막 시작된 반감들이 어느정도 타당한 반감들이었음을 배웠다. 그리고 바르트의 서문이 필자를 종교개혁자들의 주석적이고 해석학적인 접근방법들로 안내했을 때, 필자는 오늘날 교회의 삶을 위한 성경본문의 신학적 의미로의 진입로를 발견했다. 하지만 필자가 바르트 자신의 주석을 더욱 읽어감에 따라, 그 주석의 급진적으로 실존주의적 접근법이 바르트의 사상에 바울의 영향보다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이 더 컸다는 것을 필자에게 가르쳐 주고 있음을 깨달았다. 로마서 본문과의 참된 접촉은 바르트의 논문에서 극미하다.

 

이와 유사하게, 필자가 마침내 교회 교의학을 공부하고 거기서 다양한 성경 본문들에서 유추한 바르트 신학의 기독론적 원리를 목격하기 시작했을 때, 필자는 빈번히 어떻게 그 본문 자체가 바르트에 의해 그 원리를 위해 선택된 방향으로 향하는지를 보느라 당황스러웠다. 가룟 유다의 이야기에 대한 바르트의 독해는 한 가지 좋은 예이다.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이 본문들(27:1-10과 행 1:16-20)에서 돌이킬 수 없는 유죄판결을 본다: 사도행전에서 그 본문은 저주 시편의 예리한 인용으로 끝을 맺는다. 하지만 바르트는, 그리스도가 유일하게 선택되고 유일하게 유기된 인간이라는 자신의 교리적 가정에 입각해서, 유다의 운명에 어떤 희망을 찾는다. 이 경우의 성경해석적 우둔함은 예외적인 것이 아니다: 바르트는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그 자체로서는 분명한 관련성이 없는 본문들을 열기 위한 발견학습적 (heuristic) 열쇠로서 그의 지배적인 기독론적 원리를 빈번히 사용한다. 그 결과는, 그런 해석이 기독론적이고 신학적이라는 모호한 주장에 의해서만 정당화되는, 신뢰할 수 없을 정도로 임의적이고 교리적인 성경해석이다. 필자는 바르트로부터 어떻게 성경해석을 하는지에 대해 배우지 못했다.

 

셋째로, 그리고 결론적으로, 필자는 바르트로부터 기독교 전통의 통찰들을 오늘날 사용하기 위해 어떻게 적합화시키는 지를 배우지 못했다. 교회 교의학은 의심의 여지없이 기독교 교리사에서 유래한 자료들의 금광이다 ? 하지만 바르트는 아주 빈번하게, 이 수집된 자료들의 토대위에서 실제적으로 건축한다기 보다는, 그 자신의 공식화를 위한 포장으로 그것들을 사용하고 그 자료들 자체의 의미나 방향을 전달하는 데는 실패한다. 이 문제의 한 예로서, 필자는 바르트의 가장 통찰력 있는 역사적 논점에 관한 해설들 중 실제적인 것 하나를 지적하고 싶은데, 그것은 예정(predestination)에 대한 논의이다 (교회 교의학(영문판), II/2, 60-88, 106-115). 그 체계 속에서는 모든 교리가 어쨌든 하나님의 작정으로부터 추론되는 예정론적 체계를 개혁주의 정통 신학자들이 결코 제시하지 않았음을 바르트도 인정하고 필자도 옳게 믿는다. 하지만, 바르트는 작정 교리에 대한 상당히 경직된 표현이 완전히 부재(不在)하거나 숨겨진 하나님(Deus nudus absconditus)’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바르트는 아만두스 폴라누스 (Amandus Polanus)의 다음과 같은 주장에서 자신의 해결책의 단서를 발견한다: 선택이 세 위격 모두에 해당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공동의 사역이기 때문에 성부 하나님은 성부로서가 아닌 하나님으로서 선택하시고, 따라서 성자 하나님은 우리에 대한 선택에 있어서 선택하시면서도 성취하신다. 이 단서로부터, 바르트는 선택하고 선택받은 예수 그리스도라는 그 자신의 교리를 통해 완전히 부재하거나 숨겨진 하나님(Deus nudus absconditus)’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나아간다.

 

바르트가 주목하지 않은 점은 본질적이고 따라서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행위로서의 작정의 개념이, “그리스도 안에서발생하는 것으로서의 선택의 정의와 더불어, 16세기와 17세기의 개혁주의 신학의 전형적인 특징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예전의 신학에서 우리는 어디서도 완전히 부재하거나 숨겨진 하나님(Deus nudus absconditus)’의 문제를 만나지 않는다. 더욱이, 선택하고 선택받은 중보자는 또한 유일하게 택함받고 유일하게 버림받은 인간이라고 하기 위한, 그리스도에로의 선택 (election into Christ) 사상에서의 바르트의 (교리적) 붕괴는 그가 논평했고 자신이 제시했던 교리 문제에 대한 자신의 해결책의 단서를 그것으로부터 취하는 그 신학적 자료와는 어떠한 실제적 관계성도 가지지 않는다.

 

? ?필자는 선택교리에 대한 예전 개혁신학의 개념들에 관한 바르트의 고찰가운데서 어떤 일이 실제적으로 일어났는지에 대해 단지 역사적 가정을 제공할 수 있다. ‘완전히 부재하거나 숨겨진 하나님의 문제는 그 예전의 신학의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바르트 자신의 사상의 칸트-철학적 배경에서 기인한 문제이다: 초월적이고 도달할 수 없는 물자체(noumenon)로서, 현상의 질서의 배후에 계신 하나님은 현상의 질서에 그분의 위치가 어떻게든 정해질 수 없는 한, 우리가 접근할 수 없는 혹은 인식할 수 없는 분이다. 그리스도는 바르트에게 이 위치를 제공하고, 따라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행위들에 대한 지식의 유일한 초점을 제공한다.

 

그리스도의 선택에 바르트가 초점을 맞춤은, 슐라이어마허가 예수그리스도를 하나님께 대한 자신의 완전한 의존성을 지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의식하는 단 한 사람으로 여기는 것처럼, 하나님의 선택 교리와 관련된 칸트-철학적 장애물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 하지만 그것은 개혁주의 전통에 관한 고찰에서부터 유래하지 않는다. 바르트는 역사적 자료들이 그것들 자체의 목소리를 발하도록 하기보다, 오히려 그 자료들을 자신의 해설을 위한 포장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논거 방식은 교회 교의학의 다른 많은 곳에서도 증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회 교의학의 첫 두 권 반에 걸쳐 나오는,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서론에 대한 바르트의 여러 해설들에서. 그의 방법론과 성경해석과 역사 사용에서, 바르트는 그의 독자들을 그 자신의 개인적인 신학적 씨름들을 넘어서는 곳으로 향하게 하는데 있어 일관성 있게 실패한다. 그의 주장들은 자주 눈부시다. 그것들은 바르트 자신이 나왔던 자유주의 신학의 많은 소중한 개념들을 무력화시키는 데 성공한다. 그의 주장들은 또한, “종교학의 상대화시키는 접근법이 자주 신학적 견해에 대한 학문적 토론을 지배하려고 으르대는 시대에, 기독교의 고유성에 대해 우리에게 강하게 상기시킨다. 바르트의 신학의 대단한 가치는 그것이 우리 자신들의 신학의 뿌리로 우리를 향하게 한다는 것이다. 바르트의 신학의 대단히 역설적인 점은 일단 한 번 그것이 우리를 성경과 전통으로 돌아가도록 하고 나면, 그것은 현재를 위해 성경과 전통을 해석함에 있어 매우 작은 도움만 우리에게 준다는 것이다.

 

어거스틴, 아퀴나스, 루터, 그리고 칼빈을 공부하면서, 필자는 이들 각 저자는 성경과 전통을 묵상할 의무뿐만 아니라 성경과 전통 둘 다를 그들 자신의 시대에 그리고 교회의 다음 세대에 전달할 의무를 의식하고 있었음을 지속적으로 깨닫는다. 이 저자들은 항상 그들 자신의 작품을 넘어 더 위대한 교회의 과업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들은, (1) 모방될 수 있는 방법들을 채택함으로, (2) 성경을 현재적으로 여는 성경해석적 논거들을 제시함으로, (3) 성경본문을 존중하고 그 본문을 어떤 지배적인 발견학습적 원리들에 부합되게 하려고 굴복시키지 않으므로, (4) 그들 자신의 견해들을 위한 포장으로서가 아니라 신학적 이슈의 의미를 분별하는데 있어 통로와 안내서로서 과거의 신학적 고찰의 전통을 다룸으로, 그렇게 한다. 필자는 칼 바르트로부터 이러한 접근법을 배우지 못했다. 하지만 필자에게 그것을 배울 수 있는 곳을 가리켜준 것에 대해 필자는 항상 그에게 감사할 것이다.

      

Richard Mueller, “What I Haven’t Learned from Barth” The Reformed Journal 37(1987).

   

번역: 태동열

<개혁정론>에 게재된 글

 

 

?

  1. 바아르선언문 (전문)

      웨슬리 아리아라자와 최덕성 (2013.11.4, 부산 벡스코). WCC 종교다원주의자 아라아라자는 근무하면서 자기가  이 단체의 종교다원주의 신학을 발전시켰고  '바아르선언문' 초안을 작성했다고 말했다. 자신의 저서 [성서와 타종교인들과의 대화]는 나중에 ...
    Date2022.01.12 Byreformanda Reply0 Views1033 file
    Read More
  2. 종교다원주의와 기독교인의 자기 이해

        종교다원주의와 기독교인의 자기이해    세계교회협의회   Religious Plurality and Christian Self-Understanding World Council of Churches     [소개문] 이 문서는 2002년 WCC 중앙위원회가 신앙과 직제, 종교 간의 대화국, 선교와 전도에 관한 세 팀...
    Date2022.01.12 Byreformanda Reply0 Views809 file
    Read More
  3. 박누가 선교사 님, 존경합니다

        박누가 선교사 님, 존경합니다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킨 박누가 선교사 님, 우리는 당신을 진심으로 존경합니다(<리포르만다>)   아름다운 의료 선교사의 이야기   동남아 오지의 슈바이처로 불렸던 박누가(본명 박병출) 선교사가 지난 26일(2019년 4월)...
    Date2021.12.06 Byreformanda Reply5 Views20653 file
    Read More
  4. 세대주의와 개혁주의이 차이

          세대주의와 개혁주의 차이   김명도 교수   1. 세대주의의 기원   세대주의의 기원은 1820년대의 영국 더불린(Dublin)이라는 마을로 거슬러 올라간다.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 1800-1882)라는 사람은 기성교회에서 목사만이 안수 받은 특수층인...
    Date2021.09.25 Byreformanda Reply0 Views959 file
    Read More
  5.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高麗神學校 設立趣旨書)   1. 우리 조선교회(朝鮮敎會)는 과거(過去) 육십여성상(六十餘 星霜)에 양적(量的)으론 장족진보(長足進步)를 하였다고 자타(自他)가 공인(公認)하는 바임니다. 그러나 질적(質的)으로 신학(神學)이 어리...
    Date2021.07.22 Byreformanda Reply0 Views654 file
    Read More
  6. 성탄과 절기에 대하여

          성탄과 절기에 대하여     김효남 목사, 계신 역사신학     1. 나는 개인적으로 강동구에 있는 모 교회에서 담임목회를 할 때 성도들에게 들었던 가장 큰 불만 중에 하나가 절기를 지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수십 년의 역사를 가진 교회이기에 부활절...
    Date2021.06.19 Byreformanda Reply0 Views478 file
    Read More
  7. 게르하르트 마이어와 유대인

      게르하르트 마이어와 유대인   아우쉬비츠는 폴랜드에 있는 나치 수용소이다. 이곳에서만 유대인이 백만 명가량 학살되었다. 아우쉬비츠는 홀로코스트 곧 유대인 집단학살의 대명사가 되었다. 독일의 패전 뒤에 “아우스비츠 이후의 신학”(Theologie nach Au...
    Date2021.06.13 Byreformanda Reply0 Views1035 file
    Read More
  8. 코로나 상황 예배 지침, 예장 고신

        코로나 상황 예배 지침, 예장 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이하 예장 고신)은 교회를 "구원받은 기독인들의 예배공동체"로 규정한다.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을 정확하게 선포하고, 성례를 올바르게 집행하고, 권징을 정당하게 시행해야 함을 천명한다.  ...
    Date2021.03.17 Byreformanda Reply0 Views430 file
    Read More
  9. 어느 신천지인의 독백

        어느 신천지인의 독백   코로나바이르스 집단감염 사태로 사이비 사단(邪團)  총회장 이만희가 기자회견을 하면서 국민들을 향한 사죄(謝罪)의 큰 절을 했다. 그 다음 날(2020년 3월 4일), 신천지 멤버인 최완규 씨가 '이긴자' 이만희의 패배를 시사하는 ...
    Date2021.03.04 Byreformanda Reply0 Views491 file
    Read More
  10. 성서는 절대적인 권위가 아니다!

      그림: 평양기생학교 그림엽서 (일제말기, 일본어 판)   최정철의 아래의 두 글은 기독교 신앙에서 크게 이탈된 내용을 담고 있다. 성경보다 진화론과 우연성을 진리로 천명하며, 동성애반대와 차별금지법 반대를 노예제도폐지 반대와 동일시한다. 글쓴이는 ...
    Date2021.02.20 Byreformanda Reply0 Views567 file
    Read More
  11. 국가적 비상 상황과 공예배에 대한 신학적⦁목회적 성찰

        국가적 비상 상황과 공예배에 대한 신학적⦁목회적 성찰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로 인해 한국 사회 전체가 큰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성도들 가운데 바이러스에 감염된 분들이 생겨나면서, 급기야 주일예배를 취소...
    Date2021.02.15 Byreformanda Reply0 Views405 file
    Read More
  12. 조셉 바이든 씨(미국 제46대 대통령)에게

      조셉 바이든 씨(미국 제46대 대통령)에게   샬롬나비 논평, 바이든 대통령 취임에 즈음하여   요점: 바이든이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와 결별하고 글로벌 보편주의로 복귀함을 지지한다.  바이든은 미국의 건국이념과 선조들의 가치인 청교도 정신을 되살리...
    Date2021.02.02 Byreformanda Reply0 Views801 file
    Read More
  13. 왜 유아세례를 베푸는가?

    부산중앙교회 유아세례 장면   왜 유아세례를 베푸는가?   종교개혁시대의 재세례파 기독교인들과 오늘날의 침례파 교회들은 '유아세례'(infant baptism)를 베풀지 않는다. ‘성인세례’(adult baptism) 또는 '신자세례'(belioebers baptism)만이 진정한 세례라...
    Date2021.02.01 Byreformanda Reply0 Views775 file
    Read More
  14. 게르하르트 에벨링의 신학적 해석학

    게르하르트 에벨링의 가족 게르하르트 에벨링의 신학적 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19   1. 신해석학의 주역   게르하르트 에벨링(Gerhard Ebeling, 1912∼2001) 만큼 많은 정력을 신학의 해석학적 문제를 성찰하고 그것을 보급하는 데 바친 금세기 신학자는...
    Date2020.05.24 Byreformanda Reply0 Views1191 file
    Read More
  15. 어네스트 푹스의 신해석학

      마브르크성, 루톨프 불트만 거리에서 본 전경 어네스트 푹스의 신해석학 최덕성 해석학 강의록 18   1. 신해석학의 등장   바르트와 불트만 이후에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삼아 조립된 그리고 이들의 사상을 넘어서는 ‘신해석학’(New Hermeneutics)이 출...
    Date2020.05.24 Byreformanda Reply0 Views82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