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김삼환과 이영훈 부산2013.jpg


WCC 부산총회에 참석한 김삼환, 이영훈 목사




그러면 천주교는 개신교 세례를 인정하는가?


한국기독교방송(CBS)은 “가톨릭 영세, 개신교 세례와 많이 다를까?”라는 제목의 방송을 했다. 그 동영상을 유튜브에 게재(2015.10.7.) 했다. 아래 동영상을 클릭하면 볼 수 있다. 


CBS는 예장 합동 총회(2015)가 천주교의 영세를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하여, 통합, 감리교, 고신은 이를 인정하고 있으며, 로마가톨릭교회와 개신교의 일치를 추구하는 WCC의 리마문서(성례문서)가 상호인정하기로 했다는 것을 소개한다. 그리고 감리교신학대학교의 어느 교수를 앞세워 개신교회의 천주교 영세 인정의 정당성을 소개한다. CBS는 교회일치운동을 지향하며 WCC를 지지하는 방송이다.


교회가 중대한 신학적인 주제를 결정할 때 연구논문을 내 놓는 것은 상식이다. 예장 합동 총회가 로마가톨릭교회의 영세를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할 때, 이 주제에 대한 신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결정했을 것이다. 우리는 현재까지 그 정보를 입수하지 못했다. 어떻게 구할 수 있는 지 알려주기 바란다.


미국장로교회(PCA)는 로마가톨릭교회의 영세를 인정하지 않는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내가 직접 확인한 사실이다. 고신 출신인 내게 다소 생소한 일이었기에 기억이 생생하다. 천주교회에서 영세를 받은 자가 미국장로교회 회원으로 가입하려면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고백하고 세례를 받아야 했다.


영세를 인정함이 옳은가 그런가 하는 주제는 상당한 신학적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알고 싶은 것이 있다.  “로마가톨릭교회는 개신교회의 세례를 인정하는가?” 그리고 개신교인에게 사제가 베푸는 성찬에 참여하게 하는가?


WCC는 리마문서(성례문서)는  로마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교회와 정교회의 일치 또는 단일화 목적으로 마련된 문서이다. 로마가톨릭교회의 신학을 대폭 수용한다.로마가톨릭교회는이 문서의 규정하는 대로 개신교회의 세례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고, 개신교 성찬을 합당한 것으로 인정하는가? 






로마가톨릭교회는 개신교회를 진정한 그리스도의 교회로 인정하지 않는다. 유효한 성례(세례와 성찬)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까닭이다.


교황청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개신교 신자들을 '갈라진 우리의 형제들'이라고 표현한 것과 관련하여,  2007년도에 로마가톨릭교회의 종래의 교회관이 바뀌지 않았고,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이를 바꿀 의도을 가지지 않았다고 선언했다. 로마가톨릭교회는 개신교회를 '형제교회'로 보지 않음은 단호하게 성명했다. 교화무오설 교리 때문에 앞으로도 이 관점과 해석은 바뀔 수 없다. 필자의 저서 <교회신드롬>(2014)이 이를 상론한다.


예장 고신은 로마가톨릭교회의 영세를 인정하고 신앙고백만 하게 했다. 로마가톨릭교회가 고신 교회의 세례를 영세와 동일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 같지는 않다. 유효한 성례를 가진 교회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로마가톨릭교회가 개신교회의 성례를 인정하지 않더라고, 고신교회가 심도 있는 신학적인 이유로 영세를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면 무방하지만,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신학적 천명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 옛 관습에 따라 깊이 생각하지 않은 채 인정해 오고 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전의 로마가톨릭교회와 그 뒤의 교회는 상당히 다르다. 주목할 것은 하나님의 구원에 제한을 둘 수 없다는 식의 종교다원주의와 만인보편구원주의를 표방하는 점이다.


로마가톨릭교회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와 무관한 유태인도 구원을 받을 수 있고, 아브라함의 신앙 덕분에 이슬람교 신자들도 구원을 받는다고 선언한다. 미지의 신을 찾는 자, 양심에 따라 사는 자는 다 구원을 받는다고 한다. 자기의 책임이 아닌 탓으로, 예컨대 개신교회 신자 가정에서 태어나서 로마가톨릭교회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개신교인은 구원을 받는다고 한다.


예장 합동이 로마가톨릭교회의 신학적 변화를 알고서 단호히 영세를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만약 그렇다면, 이 교단은 신학적으로 꽤 앞서 간다고 할 수 있다. 


로마가톨릭교회가 WCC 리마문서에 따라 프로테스탄트교회의 세례와 성찬을 인정하는가? 정확한 것을 알고싶다. 나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로마가톨릭교회를 '형제교회'로 보는 WCC 가맹 교단의 신학자들의 답변을 듣고 싶다. 그렇지 않다면, 즉 천주교가 개신교의 성례(세례와 성찬)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CBS의 위 방영물은 한국교회를 로마가톨릭교회에 예속시키는 노력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최덕성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화이부동(和而不同)은 가능한가?

     화이부동(和而不同)은 가능한가? 한국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이 모호해지고 있는 증상은 여러 면에서 나타난다. 강단에서 외치는 설교에 응집력과 일관성 있는 교리가 없다. 확실성을 가진 진리체계를 제시하지 않는다. 축복, 은혜, 위로, 평안, 윤리, 은사 ...
    Date2020.04.11 Byreformanda Reply0 Views812 file
    Read More
  2. 복음회복, 사도적 직무

    복음회복, 사도적 직무 최덕성,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2 6.3 복음 회복   6.3.1 고신교회 구성원 일부가 김세윤의 이신행칭의론 또는 유보적 칭의론과 최갑종 박사(백석대학교, 신약신학)의 ‘아르벵주의’에 흥미를 가지는 것은 “의의 ...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773 file
    Read More
  3.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1 6.2 의의 복음, 의인 자긍심   6.2.1 개혁신학의 두드러진 장점은 이신칭의 중심의 구원론에 대한 확고부동한 신념이다. 이신칭의는 기독교 정통 신앙의 요체(要體, hinge)이다. ...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861 file
    Read More
  4. 복음 파도타기

      복음 파도타기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0 6. 도전 과제   6.1 복음 파도타기   6.1.1 전통은 전수들과 계승자들에 의해 유지된다. 거미줄처진 탄광 같이 썰렁한 교회에는 유산을 물려받을 주체-사람들이 없다. 하나님의 나라 확장, 신...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795 file
    Read More
  5. 김영한 박사의 이단-사이비에 관한 신학적 기준

    김영한 박사의 이단-사이비에 관한 신학적 기준 전문성 결여된 이단감별사들      머리말   최근 한국교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단 논쟁과 시비는 주도자들의 주관적, 자의적 판단으로 인하여 교회 안팎에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몇몇 직업적 이단감...
    Date2020.03.28 Byreformanda Reply0 Views1512 file
    Read More
  6.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 무엇 때문인가?

    박정곤 목사, 최덕성 목사, 이세령 목사 (완편에서 오른편으로)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 무엇 때문인가?    이대웅 기자 <크리스천투데이> 2020.02.18. 제2회 고신포럼 ‘전환기의 한국교회와 고신의 역할’        제2회 고신포럼(대표회장 ...
    Date2020.03.10 Byreformanda Reply0 Views909 file
    Read More
  7. 새 튤립(TULIP)이 주는 기쁨

    새 튤립(TULIP)이 주는 기쁨 David Mathis, The Doctrines of Graciousness: Five More Points for Young Calvinists 최근 개혁신학이 다시 각광을 받으며 칼빈주의를 표방하는 젊은 기독교인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스스로가 주장하는 신학에 어울리는 영적 ...
    Date2020.02.14 Byreformanda Reply0 Views950 file
    Read More
  8. 일본그리스도교회의 사죄 해프닝

    일본그리스도교회의 사죄 해프닝   1. 일본교회의 사죄문(謝罪文)   일본그리스도교회(日本基督敎會)는 1951년에 일본기독교단에서 환원하여 재조직된 교파이다. 이 교회의 1990년 총회는 “한국·조선의 기독교회에 행한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죄의 고백과 사...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777 file
    Read More
  9. 중세교회는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나?

    중세교회는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나?   중세 유럽인들은 불안감과 두려움의 도가니 속에 살았다. 반문화, 반노동 정신은 조악(粗惡)한 기술, 봉건제도의 구조적 모순, 그리고 빈곤을 선사했다. 호구(糊口)가 불가능했으며, 생존조차 어려운 사람들이 많았다...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1261 file
    Read More
  10. 왜 신은 인간이 되었는가?

    베들레헴 예수탄생교회당 왜 신은 인간이 되었는가? 안셀무스(Anselmus of Bec, c. 1033-1109)는 중세교회가 낳은 탁월한 기독교사상가이다. 이탈리아 북부에서 태어나 프랑스 노르망디에 있는 벡(Bec)수도원학교에서 수학했다. 강직한 성격과 탁월한 지력을 ...
    Date2020.01.10 Bydschoiword Reply0 Views2197 file
    Read More
  11. 도올 김용옥과 사이비 기독교, 학술회

    도올 김용옥과 사이비 기독교, 학술회 기독교사상연구원 리포르만다(대표 최덕성 박사)에서 제12차 학술회를 2019년 10월 8일 오후 1시 30분부터 부산 전포동 국제금융센터 부근 브레드티비 스튜디오(BREADTV STUDIO)에서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 주제는 &lsqu...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088 file
    Read More
  12. 기독인들의 대통령 하야운동, 정당한가?

      기독인들의 대통령 하야운동, 정당한가?        1. 최근 교회 지도자들이 국가 권력자를 향해 거친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상당수 기독인들이 문재인 대통령의 하야(下野) 운동에 적극 가담하고 있다. 현 대통령을 나치 정권의 히틀러에 비교하고, 히틀러...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5897 file
    Read More
  13. 정이철의 우병훈 책 서평을 읽고

    정이철의 우병훈 책 서평을 읽고 정이철 목사님이 '바른믿음'에 게재한 글, 고신대학교 우병훈 교수의 책 <그리스도의 구원>에 비판 서평을 잘 읽었습니다. "고신 총장님! 우병훈 교수의 언약신학이 마음에 드십니까? 고신 우병훈 교수의 <그리스도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432 file
    Read More
  14. 교회가 참회해야 할 열 가지 친일행적

      대구신정교회 주보 (1943. 4. 11.)   교회가 참회해야 할 열 가지 친일행적   교회는 우상숭배 배교 민족배신 행각에 솔선수범했다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될 예정자 3,090명의 명단이 발표되자 기독교 일각에서는 이를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는 반응이 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045 file
    Read More
  15. 친일파 정의: 누가 친일파인가?

    그림: Boycott Japan 친일파 정의: 누가 친일파인가? '친일파'는 일본인과 친밀하거나, 일본산 제품을 구입하여 즐겨 사용하거나, 일본국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가 아니다. 일본어를 잘하거나, 일본에서 학교를 다녔거나, 일본에 자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221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