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최덕성 박사(가운데)가 발표하고 있다. 문병호 박사(총신대, 왼쪽)는 좌장을, 권문상 박사(웨신대)는 논평을 각각 맡았다.

 


최덕성 박사, 가톨릭 신학자 한스 큉의 교회론에 비춰 비판

장신대에서 열린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회장 최윤배 교수)


세계교회협의회(WCC) 교회일치운동을 로마가톨릭 신학자 한스 큉(Hans Kung)의 교회론에 비춰 비판하는 논문이 발표됐다.


최덕성 박사(전 고신대 교수)는 3일 장신대에서 열린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회장 최윤배 교수) 주최 제25차 정기학술대회에서 ‘큉의 교회론에 비춰 본 세계교회협의회의 교회일치운동’을 발표했다.


최 박사에 따르면 WCC는 로마가톨릭과 정교회, 개신교회의 가시적 일치에 이론적 기초를 마련할 목적으로 ‘전통론’을 만들었다. 이를 담은 몬트리올보고서는 성경과 교회의 전통들은 두 개의 실체가 아니라 모두 하나의 복음 전통, 즉 기독교 전체 전통에서 비롯됐으므로 서로 다른 교회 전통들의 유효성을 시인해야 한다고 한다.


그는 “WCC 전통론은 로마가톨릭 신학자들의 조언을 받아 작성돼 개신교 신앙의 근간인 ‘오직 성경’을 포기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복음적 개신교회들과의 일치를 어렵게 만든다”며 “반면 로마가톨릭의 성경관-계시관과 사도직 계승론을 포함한 교회 교리들은 수용·인정·묵인하는 등 ‘오직 성경’ 대신 ‘오직 의견수렴’에만 매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로마가톨릭은 지난 2007년 로마가톨릭 교회만이 유일무이한 그리스도의 교회라 천명했으며, 개신교회는 ‘교회’가 아닌 기독교 공동체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최 박사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WCC의 전통론을 수용하여 공의회 문서에 반영하고 1968년부터 WCC의 일치운동에 적극 가담했지만 결국 ‘맷돌 잡으러 갔다가 집돌 잃은 셈’이 됐다”며 “WCC는 가맹 회원교회들과 신자들을 데리고 교황좌 아래로 ‘귀정(歸正)’하지 않는 한 의도하는 세계 교회들의 가시적 일치 또는 하나의 교회(Una Sancta) 실현은 불가능한 상태”라고 비꼬았다.


가톨릭 신학자 한스 큉도 가톨릭의 교회론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제기된 교회론을 전면 부정하는 <교회(Die Kirche)>를 출간해 이를 비판했다. 최 박사에 따르면 큉은 여기서 로마가톨릭의 전통 교리와 사도직 계승, 교계 제도, 교황의 수위권, 교황 무류교리 등을 싸잡아 비판한다. 큉은 로마가톨릭이 성경과 초대교회의 복음 신앙으로 돌아가고, 교회론 패러다임을 성경의 교훈과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도록 개혁하여 ‘로마가톨릭의 넓이 안에 개신교적 중심을 두는’ 교회일치 모델을 구상했다.


최덕성 박사는 “큉의 교회론은 개신교회의 교회론과 비슷하게 성경에 기초하여 현 시대에 책임감을 가진 교회 이해를 촉구한다”며 “교황청과의 논쟁을 촉발시킨 그의 교회론은 로마가톨릭의 전통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기준으로, 성경에 기초하면서도 현 시대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는 교회가 돼야 한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본래 교회제도는 현 교황제가 아니라 만인사제직에 가깝고, 교회 직무의 다양성은 계급질서가 아닌 상이한 은사에 기인한다는 것. 결국 큉은 교황 무오류성 교리에 의문을 제기하고 로마가톨릭 교도직을 경멸했다는 이유로 가톨릭 신학교수직을 박탈당하고 말았다.


최 박사는 “큉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절대군주제 조직을 떠받친 기둥을 뽑고 무성한 잡초를 단숨에 자르는 날선 신학 활동으로, 세계에서 가장 거대하고 강한 조직의 역린을 건드렸다”며 “큉에 따르면 로마가톨릭의 교회교리와 교계제도를 인정·수용·묵인하는 WCC의 방법으로는 가시적 교회일치라는 설정된 목표에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로마가톨릭이 버려야 할 것을 과감히 버려야 성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WCC의 ‘오직 의견수렴’ 원리는 유럽과 북미, 대양주의 주류 교회들의 생명력을 앗아가고 퇴락하게 만든 다원주의·포용주의·신앙무차별주의를 조장해 교회를 ‘주전자 안의 개구리’가 되게 했다”며 “성공 가능한 교회일치의 길은 로마가톨릭과 정교회, 영국국교회와 개신교회가 자기 희생을 무릅쓰고 마음을 비우고 성경과 초기 기독교공동체가 고백한 복음신앙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WCC는 하나의 단일교회를 구성하여 세계교회를 지배하려 한다는 비난을 자초하면서 출범했고, 로마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에 놓인 ‘루비콘강’의 문제를 해결하려 전통론을 고안했다”며 “로마가톨릭을 향한 큉의 비판은 WCC의 전통론·에큐메니즘·교회론에 대한 비판이자, 성경이 제시하는 교회일치의 기본 조건인 ‘진리 안에서의 일치’ 원칙이 결여된 기구나 조직의 단일화는 성공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위 글은 예장 통합계의  <예장뉴스>  (2012.11.11.) 보도문이다. 다시 읽어도 유익한 글이다. 뒤늦게 발견하여 옮긴다. 위 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은 최덕성 <신학충돌: 한국교회와 세계교회협의회>(2013)에 수록되어 있다.






  1. 마지막 아담으로 오신 예수

    첨단 과학기술을 동원한 법의학 수단으로 재현한 예수의 얼굴.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의 영국의 리처드 니브 교수가 복원한 얼글이다.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이 갈릴리 호수 주변에서 발굴한 예수와 같은 시기에 살았던 3개의 셈족 두개골에 컴퓨터 단층촬영과 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628 file
    Read More
  2. 칭의 선언: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칼리포니아 교수회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칼리포니아 캠퍼스 칭의 선언: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칼리포니아 교수회 최근 수십 년 동안 칭의에 대한 종교개혁의 교리가 심각한 비평을 받아왔다. 그 도전들은 세 가지 다른 원천에서 나왔다. 첫 번째, 교회 일치에 대한 몇몇 논의들이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545 file
    Read More
  3. 프레임,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Professor John Frame, DD 프레임,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존 프레임 박사 (리폼드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전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교수)1 내가 1961년 학생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 처음 왔을 때 대다수 학생들은 대체로 개혁신앙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049 file
    Read More
  4.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세속성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세속성 중국어권 선교사로 존경 받는 한국인 류 모 목사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왕성한 선교활동을 하고 있다. 중국어 보통어(만다린)로 진행하는 고신대학교 목회학 신학석사 학위(M.Div.) 과정에서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젊은 중국인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130 file
    Read More
  5. 기독인의 국가법정 송사

    기독인의 국가법정 송사 송상석 목사(1896-1980)는 해방 후 마산의 문창교회 목사로 시무했고,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 이사장을 역임했다.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한국교회에 이바지한 바 크다. 첫째, 기독교절제운동의 선구자이다. 나라를 잃은 백성...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783 file
    Read More
  6. 법관 탄핵이 부당한 신학적 이유

    산헤드린공의회 그림 법관 탄핵이 부당한 신학적 이유 이영진 교수 (호서대), 미문교회 홈페이지 글 고대 유대인에게는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와 같은 최고 법정 제도가 있었다. ‘산헤드린’이라 불리는 결정 기구이다. 산헤드린의 기원을 어느 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559 file
    Read More
  7. 클라스 스킬더와 공공신학

    공공신학이란 무엇인가? 공공신학은 근년에 등장한 용어이다. 기독교세계관, 칼빈주의 문화관, 칼빈주의적 세계관, 기독교인의 사회참여, 해방신학 등의 이름으로 논의되어 오던 것들을 묶어 공공신학이라고 한다. 공공신학은 하나님을 회중들과 신자의 마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782 file
    Read More
  8. 이신칭의 복음전파, 교회부흥의 핵심

    이신칭의 복음전파, 교회부흥의 핵심 예장 고신교단 제68회 총회(2018)는 신학위원회가 올린 보고서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을 받아들였다. 이 보고서는 이신칭의 복음전파가 교회부흥의 핵심이라는 말로 결론짓는다. 신학자의 사명...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331 file
    Read More
  9. 화란개혁교회도 고신교회도 변한다

    화란개혁교회도 고신교회도 변한다 예장 고신 제68회 총회(2018)는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가 작성한 “화란개혁교회와 고신총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받아들였다. "이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화란개혁교회도 변하고 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519
    Read More
  10. 공궤를 일삼음이 마땅치 않다

      공궤를 일삼음이 마땅치 않다   성경 본문: 행 6:1-4, 7   1. 예수님 당시의 예루살렘 도성의 거주민이 몇명 정도일까? 성읍의 크기, 주택의 구조, 가구당 5인 등 고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근거로 추정해 보면 약 10만 명으로 보인다. 오순절에 찾아오는 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994 file
    Read More
  11. 교단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지침

    교단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지침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 대신)은 2015년 9월에 예장 백석과 옛 예장 대신이 하나로 합쳐진 교단이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이 교단이 2018년 가을 총회를 기점으로 3년 만에 분열했다. 옛 교단 잔류 그룹에 복귀하는 그룹, 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95 file
    Read More
  12. 장신대, 동성애를 지지하는가?

    장신대, 동성애를 지지하는가? 예장 통합은 교세 면에서 한국교회의 중심적 교단이다. 이 교단의 목회자 양성기관인 장로회신학대학교(이하 장신대)는 동성애에 대한 신학적 정체성 때문에 갈등을 겪고 있다. 최근 총장 임성빈 박사는 동성애 인권화 논리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3 Views4138 file
    Read More
  13. 직통계시, 에언, 꿈, 환상

      훼이트빌장로교회당 겨울 전경 (담임 목사 최덕성 건축)                       직통계시, 에언, 꿈, 환상   예장 고신교단 제63회 총회(2013)에서 예언, 환상, 쓰러짐, 금가루 현상, 입신 등의 행위를 극단적으로 진행하는 집회에 대해 ‘극단적 신비주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608 file
    Read More
  14. 신사참배 결정에 버금가는 판결인가?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와 김하나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사진 신사참배 결정에 버금가는 판결인가? 최근, 명성교회에 대한 예장 통합 총회 재판국의 판결을 비난하는 '격문'이 나돌고 있다. 장신대 교수 58명이 서명한 글이다. 담임목사직 부자 계승/세...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2250 file
    Read More
  15.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고신신학의 좌표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고신신학의 좌표 박종칠 목사 (전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구약신학) 고신교단 총회 신학부 실행위원으로 목사후보생 강도사 사정 임무를 가지고 고려신학대학원(천안, 2003.1.)에 갔을 때 최덕성 교수가 “하기오그래피와 역사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9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