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백석대 최갑종 교수(백석대, 신약신학)가 한국교회 안에서 서서히 부상하고 있는 김세윤 박사(풀러신학교, 신약신학)의 '유보적 칭의론'을 동조하는 글을 발표했다.  최갑종의 아래의 글은  <아이굿뉴스> (3014.4.30 게재)에서 옮긴 것이다. 조만간 이 주제에 대하여 본격적인 논의를 하고자 한다.

 

<리포르만다>는 하나님의 은혜로 죄인이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을 때 칭의가 이루어지고, 그 때 구원이 확정된다고 믿는다. 믿는 자는, 마지막 날의 심판대와 상벌 때문이 아니라, 기독인의 행복헌장으로 주신 율법과 계명을 준수해야 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  신자로 불려지고 알려지고 행세 하더라도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무관하다고 판단받을 자들이 있다. 열매 없는 기독교 신자, 겉으로 보기에는 신자같고 구원을 받은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자들이 있다. 

최갑종은 구원파의 구원론을 화두로 삼는다. 우리는 과연 그가 주장하는 것처럼 구원파가 "한 번 구원을 받은 자는 죄 용서와 회개도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지, 진정으로 '신자의 윤리적 책임을 도외시'하는지 구원파 관계자가 말해 주기 바란다. 구원파는 이 기회에 자신의 구원 교리를 확실하게 밝혀 주기 바란다.


 

한국교회의 '구원룐'에 문제없나?/ 최갑종


수백 명의 고귀한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에 대하여 온 국민이 슬픔과 함께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 제일 먼저 승객을 구조하여야 하는 선장과 선원들이 가장 기본적인 책무를 망각하고 자신들만이 탈출한 것도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세월호의 실 소유자가 한국의 주류 기독교 교회들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된 세칭 구원파의 교주 유병언 일가라는 사실과, 이들이 평소에 온갖 불법을 자행하여 돈벌이에만 혈안이 되어 있었고, 정작 배와 승객들의 안전관리에는 무관심하였다는 사실에 더 크게 분노하고 있다.


한 번 구원을 받은 자는 죄 용서와 회개도 필요 없다고 함으로써 신자의 윤리적 책임을 도외시하는 구원파의 잘못된 구원 교리가 세월호 참사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관해서는 별도의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를 보면서 한국 교회가 다시 한 번 자기 성찰의 기회로, 특별히 우리 교회 안에 만연되어 있는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 “선행(삶)은 구원과는 무관한 상급의 대상”이란 이름 아래, 신자와 교회의 윤리성을 외면하는 가르침이 구원파의 구원론과 무관하며, 구원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과 일치한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총신대와 미국의 풀러신학대학원의 신약교수를 역임한 김세윤 박사는 작년에 출판한 『칭의와 성화』란 책을 통해, ‘칭의’와 ‘성화’를 분리하여 전자를 구원과 연결시키고, 후자를 구원과 무관한 상급과 연결시키는 구원관이 한국교회 안에 만연되어 있으며, 이것은 성경적 구원관이 아니고, 오히려 한국교회가 비판하고 있는 구원파의 구원론과 유사하다고 경고한 바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한국교회 안에 신자의 거룩한 삶(선행)은 구원의 요소가 아닌 상급의 요소라고 생각하고 있는 자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구원은 우리의 행위와 무관하게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받는 것이며, 신자의 선한 행위는 최종적인 구원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구원에 덧붙여 주는 상급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이것을 성경이 가르치고 있는 바른 구원관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얼핏 보기에 이들의 생각이 “사람은 (율법의) 행위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게 되고 구원 받는다”는 성경의 가르침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중세의 캐톨릭 교회의 공로주의적 구원관에 대항하여 마틴 루터와 요한 칼빈 등 종교개혁자들이 발전시킨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혜로” 구원 받는다는 이신칭의(以信稱義)교리를 잘 대변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생각이 부분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반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경전체의 포괄적인 가르침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하여야 한다. 성경은 여러 곳에서 율법의 행위에 의해서가 아닌 믿음으로, 은혜에 의한 칭의와 구원을 말하고 있지만, 다른 곳에서 신자의 거룩한 삶이 없이는 종국적인 구원에 이를 수 없으며, 모든 신자는 자신의 행위에 따라 하나님의 최종적인 심판대 앞에 서게 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신자로 불러졌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인 심판에 따라 구원을 받지 못하고 탈락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예를 들면 로마서 14:10은 “우리가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게 된다”, 고린도후서 5:10은 “우리가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나타나게 되어 각각 선악 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서 5:19-21에서 비윤리적인 육(肉)의 행위를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사실을, 빌립보서 2:12에서는 우리의 거룩한 순종적 삶을 통해 우리 자신의 구원을 이루어 갈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울의 가르침은 복음서에 나타나고 있는 예수님의 가르침과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예수님은 산상설교에서 제자들이 서기관과 바리새인보다 더 의롭지 않다고 한다면 결코 천국에 들어 갈 수 없다는 사실을 강조하였고(마 7:21), 그리고 마태복음 25장에 있는 열 처녀 비유, 달란트 비유, 양과 염소의 비유 등을 통해 믿음의 열매인 참된 선행이 없는 자는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하고 제외된다는 사실을 분명히 말씀하고 있다.


사실 성경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사도 바울은 예수님에 대한 믿음과 함께 할례와 율법의 행위 등을 구원의 필수적인 조건으로 내세우는 거짓된 구원교리와 싸울 때,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혜로’라는 ‘이신칭의 구원관’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교회에 속한 신자들에 대한 목회적인 권면을 할 경우는 참된 신자의 삶이 반드시 구원에 필요하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한다.


만일 우리가 이러한 성경의 전반적인 가르침을 외면하고, 거짓된 구원교리를 전파하는 거짓 교사들에 대항하는 말씀만을 바른 구원관 내지 안식처로 삼을 경우, 기독교의 윤리가 설 수 있는 땅은 없어진다. 그리고 기독교의 구원관은 제자도와 십자가 없는 값싼 은혜론에 빠지게 되고, 한국교회는 일반 사회로부터 윤리성이 없는 집단이라는 오해를 받게 됨은 물론, 한국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소금과 빛의 사명은 잃게 된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에 만연되어 있는 ‘믿음에 의한 구원’, ‘행위에 따른 상급’이라는 잘못된 가르침을 어떻게 개선하여 교회의 윤리성을 외면하지 않는 바른 구원교리를 회복시킬 수 있는가? 전통적인 믿음에 의한 칭의/구원 교리를 포기하고, 행위에 의한 칭의나 구원교리를 내세워야 하는가? 이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는 신약의 저자들이 의, 구원, 영생, 천국(하나님의 나라)을 설명하면서 과거, 현재, 미래 등 다양한 동사를 사용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신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이미 구원/의/영생/하나님의 나라를 받았지만(과거), 계속 구원받고 있으며(현재), 장차 종국적으로 구원의 완성에 이르게 된다(미래)는 사실이다. 성경에서 구원은 과거만의 사실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속한다는 사실, 즉 구원은 우리가 믿음으로 받는 직설법만이 아닌 우리의 전인적(全人的)인 삶이 동반되는 현재와 미래의 명령법과도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로부터, 성경은 신자의 현재와 미래의 삶이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구원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혹자는 의/구원/영생/천국이 신자의 삶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면, 즉 신자의 거룩한 삶이 동반되지 않는 한 우리의 현재와 미래적 구원이 보장될 수 없다는 주장을 할 경우, 이것은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만이”라는 전통적인 구원교리를 거부하고, 그 대신 행위와 공로에 의한 구원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고 의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빌립보서 2:13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빌립보서 2:12에서 사도 바울은 우리의 거룩한 삶을 통해 자신의 구원을 이루어가야 할 것을 명령한 다음, 바로 이어 13절에서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서 이 일을 이루어 가신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즉 우리의 거룩한 삶이 우리 자신의 행위에 머물지 않고, 궁극적으로 하나님께서 성령을 통해 우리 안에서 이루어 가시는 삼위 하나님의 사역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역으로 결국 우리의 삶에서 삼위 하나님의 사역이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자는, 예수님께서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마 7:20)는 말씀처럼, 구원 받을 수 있는 참된 신자가 아님을 보여준다. 우리가 이러한 성경의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한다고 한다면, 한편으로 아무리 신자의 거룩한 삶이 우리의 구원에 필수적인 요인임을 강조하다고 하더라도 그것 때문에 행위구원이나 공로주의구원에 빠지지는 않는다.


구원은 신자의 거룩한 삶을 반드시 요구한다. 동시에 우리의 구원은 우리의 공로가 아닌 전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사역이며,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임을 기억하자.





?

  1. 주기철 목사 파면 관련 주장과 자료들

    주기철 목사 파면 관련 주장과 자료들 (뉴스파워에서 옮겨옴) 한국교회역사자료박물관장이자 책향기교회 담임목사로 있는 장영학 목사(예장합동, 동평양노회)는 총신대 신대원 교회사 교수 박용규 박사가 주기철 목사의 면직은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을 반박하...
    Date2016.07.23 Bydschoiword Reply0 Views2501
    Read More
  2. No Image

    토라사관학교 지도자의 구원관

    토라사관학교 지도자의 구원관 2009.219. 작성자 겸손 토라사관학교의 송00 교수의 음성화일을 보내준 사람이 있어서 그것을 모두 들었습니다. 하나는 1시간이고 하나는 1시간40분이어서 약 2시간40분을 앉아서 종이에 메모를 하면서 주의를 기울이면서 들었습...
    Date2016.07.13 Bydschoiword Reply2 Views4289
    Read More
  3. No Image

    다윗의 막춤

    다윗의 막춤 삼하 6:12b~20 이성환의 글 <Pen of Truth>에 게시된 글 문제 제기: 당신은 이런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다윗도 언약궤가 들어올 때에 바지가 내려가도록 춤을 추었다. 당신도 그렇게 춤을 춰야 하지 않겠느냐? 사람들 앞이라고 부끄러워하지 ...
    Date2016.07.12 Bydschoiword Reply0 Views5650
    Read More
  4. 바빙크와 급진적 개혁파

    바빙크와 급진적 개혁파 급진적 개혁파(Radical Reformed)를 위한 바빙크 다시 읽기 <새물결플러스>에 게재된 글을 옮김 2016년 7월 7일 글_ 이승용 변혁을 위한 서론 개혁파 신학의 변혁Transformation은 가능할까? 개혁주의 전통을 만난 이후로 줄곧 따라다...
    Date2016.07.09 Bydschoiword Reply0 Views2486 file
    Read More
  5. No Image

    부모의 10계명/ 오은영

    부모의 10계명 오은영 (페이스북에서 옮긴 글) 1. 아이 말을 중간에 끊지 마세요. : 부모에게 거절당했다는 생각에 자신감을 잃게 됩니다. 2. 따뜻한 눈길로 바라봐 주세요. : 학습 지도나 밥 차려 주기는 다른 사람도 할 수 있지만, 진심 어린 사랑의 표현은...
    Date2016.06.30 Bydschoiword Reply0 Views3202
    Read More
  6. No Image

    방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라

    방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라 방언을 옹호하는 자들은 고전14:2("방언을 말하는 자는 사람에게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하나니 이는 알아 듣는 자가 없고 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니라.")을 제시하면서 방언이야말로 오랜 시간동안 기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Date2016.06.28 Bydschoiword Reply1 Views2788
    Read More
  7. No Image

    영국의 EU 탈퇴 분석

    영국의 EU 탈퇴 분석 최바울 (뉴스파워, 2016.6.26.) 1. 영국의 EU탈퇴의 원인 유럽연합(EU) 안에는 그 동안 누적된 불만으로 인해 내부 분열이 고조되어 왔다. 첫째, EU 집행부가 갈수록 독재체제로 강화되어 가는 것이다. 집행부는 유럽을 단일 통합국가로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2174
    Read More
  8. No Image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방언연구가 노우호 목사의 해석   1. 조용기 목사의 방언 녹취록   리피야 라샤카파테 라시야다 로야로 바칸나기 리키키고 나카치 라시카파타리 니미카니야 아파타카카야 시키키코 바야   2. 조용기 목사의 이상한 통역문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3312
    Read More
  9. No Image

    방언 지지 견해

    방언 지지 견해 “방언이 외국어였다는 노우호 목사 주장 틀려” - 김동수 교수와 김동찬 목사가 ‘방언부정론’ 반박에 나서 한국교회의 방언은 100% 거짓방언이며 악령운동이라며 <방언을 검증하자>는 책을 내놓은 노우호 목사(에스라하우스 원장)의 주장에 김...
    Date2016.06.26 Bydschoiword Reply0 Views2541
    Read More
  10. No Image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이 글은 리포르만다 대표자의 고려신학대학원의 동료 교수였던 고재수 박사(N.H. Gootjes)가 교리문답 설교(CATECHISM PREACHING)라는 제목으로 1993년 9월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 모임에서 발표한 논문이다. 손정원 목사가 번역한 ...
    Date2016.06.24 Bydschoiword Reply0 Views2275
    Read More
  11. No Image

    웨슬리가 동역자들에 준 열두 가지 지침

    존 웨슬리가 동역자들에게 준 열두 가지 지침 1. 부지런하십시오. 어느 한 순간도 일하지 않고 보내는 시간이 없게 하십시오. 결코 단 한순간도 그런 시간이 없도록 하십시오.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절대로 필요한 시간, 필요한 장소, 필요한 일에 매달...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282
    Read More
  12. No Image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인터뷰 박윤선, 박형룡 박사 이후 고신교단의 신학적 기초를 다진 신학자 중 하나로 교단 안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진 오병세 박사. 이근삼, 홍반식 등과 함께 이른바 ‘동방박사 3사람’으로 불리우며 존경받았던 그는 최근 교단의 ...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198
    Read More
  13. No Image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의 의의 시작하는 말 어느 종교도 마찬 가지지만 기독교는 신앙고백서가 많다. 초대교회 때의 니케아신경(Nicene Creed, 325), 아타나시우스신경(The Athanasian Creed, 420-450, 500), 콘스탄티노플신경(The Nicene-Constanti...
    Date2016.06.08 Bydschoiword Reply0 Views2691
    Read More
  14. No Image

    자살과 구원

    리포르만다는 자살과 구원에 관한 아래의 견해와 동일하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 떠도는 글을 붙잡아 이곳에 저장하였습니다. 신원하 교수의 양해를 부탁합니다. 자살과 구원에 대한 신학적 해석 신원하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I. 한국사...
    Date2016.06.07 Bydschoiword Reply2 Views2592
    Read More
  15. No Image

    주옥타은 영문 100개

    주옥같은 영문 100개 1.Too much is as bad as too little.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큼이나 좋지 않다. 2.Soccer is more exiting than baseball. 축구가 야구보다 더 재미있다. 3.Seoul is the largest city in Korea. 서울은 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4.L...
    Date2016.05.17 Bydschoiword Reply0 Views181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