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천주교 '야훼' 표현 금한 이유는?

 

        

 

 



앞으로 한국 천주교 공식 전례에서 ‘야훼’라는 단어가 사라지게 됐다. 한국천주교 주교회의는 17일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자'는 취지에서 ‘야훼’라는 단어를 쓰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근 로마교황청이 ‘거룩한 네 글자’로 표현되는 하느님의 이름을 전례와 성가, 기도에서 사용하거나 발음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침을 보낸 것에 따른 결정이다. 교황청은 왜 이런 결정을 내렸던 것일까.


◆유일신 지칭 “불경스럽다”


‘야훼’는 구약성서에 표기된 유일신 이름이다. 고대 히브리어로 쓰인 표기를 로마자로 변환한 것이 YHWH(또는 YHVH, JHWH, JHVH)이고, 야훼는 이를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문제는 고대 히브리 글자에 모음 표기가 없다는 점. 성서에 자음 표기만 남은데다 유대인들이 이 이름을 거룩하다 여겨 발음하지 않았기 때문에 YHWH의 발음은 잊혔다. 십계 중 ‘하느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부르지 말라’는 세번째 계명을 지키자는 취지였다. 이 때문에 현재 어느 누구도 그 정확한 발음을 알지 못한다.


유대인들은 구약성서를 읽다가 이 단어가 나올 경우 직접 발음하지 않고 ‘아도나이(Adonai: 나의 주)’라고 읽었다. ‘엘로힘(Elohim: 하느님/하나님)’이라고도 했다. 이는 성서를 번역할 때도 적용됐다. 그리스어로 번역될 때 YHWH는 ‘거룩한 네 글자(Tetragrammaton)’라는 표현이 사용됐고, ‘주님’을 뜻하는 ‘퀴리오스(Kyrios)로도 번역됐다. 라틴어 번역에서도 같은 뜻으로 ‘도미누스(Dominus)’로 바뀌었다. 이는 영어로 ‘로드(The Lord)’에 해당한다.


YHWH를 읽는 방법은 오랫동안 논란이 됐다. 그러다가 7~10세기 히브리어 성서 재간행 작업을 한 마소라 학자들이 YHWH에 ‘아도나이’를 표시하는 모음을 합쳐 읽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여호와(YeHoWaH, Jehovah)’다. 반면 초기 기독교 학자 중에는 YHWH를 ‘야훼(YaHWeH)’로 읽어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었다. 19세기 이후 성서학자들도 ‘야훼’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야웨’나 ‘야베’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교황청의 경신성사성(敬信聖事省: 전세계 천주교 성사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은 지난 2001년 훈령을 통해 '히브리 말로 네 글자 YHWH, 라틴 말로는 Dominus라고 표현되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이름은 다른 언어로도 똑같은 뜻을 지닌 낱말로 표현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언어권에 따라 다양하게 발음·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 교황청은 결국 이를 바로잡겠다며 YHWH의 사용을 보다 강력하게 금지한 것이다. 가톨릭 교계에 따르면 “이는 언어학적 체계뿐만 아니라 언제나 교회 전승에 충실하려는 것”이다.


◆하느님과 하나님


YHWH 발음에 대해 그동안 천주교(일부 개신교 포함)에선 야훼, 대부분의 개신교는 여호와를 사용해 왔다. 이는 초기에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옮겼느냐에 따라 달라진 결과다. 천주교와 개신교는 절대자에 대해서도 ‘하느님’과 ‘하나님’으로 달리 칭한다. 그러나 조선에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기독교의 유일신을 옮기기 위해 사용한 호칭은 하느님이었다.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된 성경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에 이 용어가 처음 등장한다. 이 번역에 참여한 선교사 존 로스는 선교 보고서에서 “‘하늘(heaven)’과 ‘님(prince)’의 합성어인 ‘하느님’이 가장 적합한 번역어일 것”으로 적었다. 중국에서 들여온 한문 기독교변증서 ‘천주실의’에서 세상을 창조한 유일신을 뜻하는 단어 ‘천주(天主)’와도 뜻이 닿아 있다.


초기 개신교에서는 상제, 천주, 하느님, 하나님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했으나 개역성서를 펴내는 과정에서 아래아(·)가 홀소리 ‘ㅏ’로 일괄적으로 변경되면서 하나님이란 호칭을 쓰기 시작했다. 천주교에서는 원뜻과 맞춤법을 참고해 하느님으로 표기하고 있다. 1977년 천주교와 개신교가 함께 번역한 현대어 공동번역성서에는 신의 호칭으로 하느님이란 표현이 쓰였다. 그러나 대부분 개신교 교파가 하나님이라는 표기를 고수하고 있다. 정중호 계명대 기독교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하나님이란 명칭이 유일신의 의미가 강한데다 하나님이라 부르던 기존 습관을 바꾸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성공회에서는 하느님으로 표기한다. 한편,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하느님을 표준어로 삼고있으며 하나님을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로 풀이하고 있다.


조문호 기자




?

  1. No Image

    영국의 EU 탈퇴 분석

    영국의 EU 탈퇴 분석 최바울 (뉴스파워, 2016.6.26.) 1. 영국의 EU탈퇴의 원인 유럽연합(EU) 안에는 그 동안 누적된 불만으로 인해 내부 분열이 고조되어 왔다. 첫째, EU 집행부가 갈수록 독재체제로 강화되어 가는 것이다. 집행부는 유럽을 단일 통합국가로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2281
    Read More
  2. No Image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방언연구가 노우호 목사의 해석   1. 조용기 목사의 방언 녹취록   리피야 라샤카파테 라시야다 로야로 바칸나기 리키키고 나카치 라시카파타리 니미카니야 아파타카카야 시키키코 바야   2. 조용기 목사의 이상한 통역문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3421
    Read More
  3. No Image

    방언 지지 견해

    방언 지지 견해 “방언이 외국어였다는 노우호 목사 주장 틀려” - 김동수 교수와 김동찬 목사가 ‘방언부정론’ 반박에 나서 한국교회의 방언은 100% 거짓방언이며 악령운동이라며 <방언을 검증하자>는 책을 내놓은 노우호 목사(에스라하우스 원장)의 주장에 김...
    Date2016.06.26 Bydschoiword Reply0 Views2637
    Read More
  4. No Image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이 글은 리포르만다 대표자의 고려신학대학원의 동료 교수였던 고재수 박사(N.H. Gootjes)가 교리문답 설교(CATECHISM PREACHING)라는 제목으로 1993년 9월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 모임에서 발표한 논문이다. 손정원 목사가 번역한 ...
    Date2016.06.24 Bydschoiword Reply0 Views2349
    Read More
  5. No Image

    웨슬리가 동역자들에 준 열두 가지 지침

    존 웨슬리가 동역자들에게 준 열두 가지 지침 1. 부지런하십시오. 어느 한 순간도 일하지 않고 보내는 시간이 없게 하십시오. 결코 단 한순간도 그런 시간이 없도록 하십시오.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절대로 필요한 시간, 필요한 장소, 필요한 일에 매달...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355
    Read More
  6. No Image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인터뷰 박윤선, 박형룡 박사 이후 고신교단의 신학적 기초를 다진 신학자 중 하나로 교단 안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진 오병세 박사. 이근삼, 홍반식 등과 함께 이른바 ‘동방박사 3사람’으로 불리우며 존경받았던 그는 최근 교단의 ...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246
    Read More
  7. No Image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의 의의 시작하는 말 어느 종교도 마찬 가지지만 기독교는 신앙고백서가 많다. 초대교회 때의 니케아신경(Nicene Creed, 325), 아타나시우스신경(The Athanasian Creed, 420-450, 500), 콘스탄티노플신경(The Nicene-Constanti...
    Date2016.06.08 Bydschoiword Reply0 Views2778
    Read More
  8. No Image

    자살과 구원

    리포르만다는 자살과 구원에 관한 아래의 견해와 동일하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 떠도는 글을 붙잡아 이곳에 저장하였습니다. 신원하 교수의 양해를 부탁합니다. 자살과 구원에 대한 신학적 해석 신원하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I. 한국사...
    Date2016.06.07 Bydschoiword Reply2 Views2635
    Read More
  9. No Image

    주옥타은 영문 100개

    주옥같은 영문 100개 1.Too much is as bad as too little.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큼이나 좋지 않다. 2.Soccer is more exiting than baseball. 축구가 야구보다 더 재미있다. 3.Seoul is the largest city in Korea. 서울은 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4.L...
    Date2016.05.17 Bydschoiword Reply0 Views1886
    Read More
  10. 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 500문장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 500문장 [A] A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지. Absolutely. 당근 빠따! After you. 먼저 가세요. Always. 항상 그렇지요 Amazing. 대단하네요 And then? 그리고 나서는요? Any good ideas? 어떤 좋은 생각이라도? Any time. ...
    Date2016.05.14 Bydschoiword Reply0 Views1079
    Read More
  11. No Image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뉴스앤조이> 2013. 옮김 무거운 책임감 목회자의 책임은 무겁고 무섭다. 목회자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의미, 가치관, 행동 방식, 직업 선택, 자녀 교육, 심지어 영원한 미래에까지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잘못 가르치고 그...
    Date2016.05.06 Bydschoiword Reply0 Views1940
    Read More
  12. No Image

    교회 오적(五賊)

    한국교회의 오적(五賊) 교회가 교회다움을 상실하고, 영적인 생명력을 상실하고, 여러 면에서 퇴락 쇠락하도록 만든 '교회 오적'이 무엇인가? 내가 보기에 (1) 자유주의 신학과 종교다원주의, (2) 무분별한 교회연합일치운동, (3) 울타리가 없는 복음주의, (4)...
    Date2016.04.25 Bydschoiword Reply0 Views1609
    Read More
  13. No Image

    번역투 한글, 교정문

    번역 투 한글, 교정 모범문 1. ~이 되다/ 어지다 (be p.p) 그에게서 던져진 공은 정확하게 포수의 미트로 향했다. → 그가 던진 공은 정확하게 포수의 미트로 향했다. 2. ~를 갖다 (have) 레알 마드리드와 F.C. 바르셀로나가 축구경기를 가졌다. → 레알 마드리...
    Date2016.04.22 Bydschoiword Reply0 Views2248
    Read More
  14. 기독신앙과 번영신학

    기복신앙과 번영신학 김진규 교수 (백석대, 구약신학) <뉴스앤조이> (2016.4.14.) 게시문 오순절파의 영향으로 요즈음 '기복신앙'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많다. 소위 삼박자 축복을 강조하는데, 결국 현세적 복을 너무 추구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에서 나온 말일...
    Date2016.04.14 Bydschoiword Reply0 Views2227
    Read More
  15. No Image

    하나님의 예정과 구원

    하나님의 예정과 구원 황대우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개혁정론>에 실린 글 하나님께서 구원받을 백성을 자신의 자녀로 미리 선택하셨다는 예정론은 이성적으로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신학 주제이다. 하지만 이것은 성경이 가르치는 핵심적인 구원...
    Date2016.04.05 Bydschoiword Reply0 Views24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