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나는 이중예정론자다!

그것도 많은 기독 지성인들이 혐오하는 이중예정론자다.
그래서 하나님의 선택을 믿되 한 사람이 선택 받을 때 다른 한 사람은 버림 받는 다는 것을 믿는다.
...
이런 믿음은 예수님의 종말론적인 가르침과도 부합하는 것이라 용감하게 주장하고 싶다. 왜냐하면 우리 주님께서도 이렇게 가르치셨기 때문이다. 인자가 세상에 다시 오시는 날에는 남자든 여자든 "한 사람은 데려가고 한 사람은 버려둠을 당할 것이니라."

물론 성경학자들은 이 본문이 예정관는 무관한 것이라고 말할지 모른다. 그러나 성경 전체의 가르침을 감안하여 곰곰히 생각해보면 모종의 관계를 지을 수 있다고 본다. 어떤 사람은 데려가시고 어떤 사람은 내버려두실지 성경은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는다. 다만 "깨어 있으라!"라고말 권면할 뿐이다.

나는 예수님의 예언에 나타난 하나님과 인자의 행위를 '불공평'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의 믿음이 내게 성경을 통해 '하나님보다 더 공평한 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르치기 때문이다.

나는 합리를 추구하는 우리의 이성도 죄에 물들어 있음을 믿는다. 그래서 우리가 어느 정도 합리적일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절대적으로 합리적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이성은 마치 100% 정확하지 않은, 아주 근소한 오차를 가진 기계와 같다. 이 기계가 작은 단위를 측정할 때는 유용하겠지만 매우 정밀한 것을 측정하거나 엄청나게 큰 단위를 측정할 때는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 나는 합리를 추구하는 우리의 이성이 그렇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의 사역을 모조리 설명한다거나, 그분의 선하신 뜻에 의해 이루어진 그분의 작정을 인간의 이성으로 측정하고 이해하려는 것 자체가 무모하고 황당한 시도라 생각한다.

나는 또한 우리의 이성적 이해와 합리성을 선거 때의 여론조사나 출구조사와 유사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론조사는 매우 합리적이고 뭔가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으로 뭔가의 결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의 이성이 가진 이해의 한계를 인정해야 하고 그것으로 하나님의 구원의 위대하심을 모조리(?) 측정하겠다는 생각이 얼마나 무례하고 황당한 것인지 알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나는 Barth에 동의하지 않는다. 물론 그도 하나님의 선택은 인정한다. 하지만 그는 하나님의 버리심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 성경에 나오는 모든 선택은 그 반대인 버림을 늘 동반하고 있음을 바르트는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유기'에 대한 그의 부정은 '버림'의 행위 자체가 사랑의 하나님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정말 인간적이고 합리적인 이유 때문이다.

나는 이중예정론을 믿는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것을 믿지 않을 자유도 있고 그런 자신의 믿음에 대한 합당한 이유도 제시할 수 있다. 나는 그런 사람과 함께 진지한 토론과 고민을 나눌 용의가 있다. 오직 상대방을 비난할 무기로만 완전무장한 사람이 아니라면!

칼빈은 이중예정론자였다면 그의 절친이었던 멜랑흐톤은 이중예정론자가 아니었다. 칼빈은 멜랑흐톤이 이중예정론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하면서 자신의 소신을 굽하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의절할 정도로 미워하지는 않았다. 둘 사이에 이견으로 인한 긴장이 없지 않았지만 그들은 끝까지 좋은 친구로 남아 서로를 정말 아끼고 존중했다. 물론 그렇다고 칼빈이 어거스틴 시대의 이단인 펠라기우스의 사상을 가진 사람들까지 교제권에 넣을 만큼 관용적인 인물은 아니었다. 이런 불관용은 단지 칼빈에게서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종교개혁가들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점이다. 이것은 공통점은 초대교회의 교부들에게서도 발견되는 공통점이기도 하다.

나도 그렇게 하고 싶다.

예정론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단지 그 하나의 차이 때문에 적으로 만들고 싶지는 안다. 그들과도 충분히, 그리고 진지하게 신앙의 문제를 나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니 그렇게 하고싶다. 하지만 나의 신학적인 관용도 분명 한계는 있다. 그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자유 영혼이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누구와 함께 교제할 수 있고 교제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항상 진중할 필요가 있다.

나는 궁극적으로 예정론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운 구원에 관심이 있다. 그 구원이 하나님의 예정으로 더 풍성하게 수용될 수 있다면 그것을 환영하지 못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이 예정이 얼마나 오해되고 있는지... 참으로 안타깝다.


?

  1. No Image

    이단규정 기본원칙

    이단규정 기본원칙 ‘이단을 규정하는 기본원칙에 대하여’ 이단여부는 구원과 관련된 진리따라 접근하되, 신학적 다양성은 존중 되어야 최태영 교수 (영남신학대학교) <기독공보>, 2016. 1.12. 이단에 관한 논란이 우리 교단을 중심으로 한국 기독교 전반에 걸...
    Date2016.02.26 Bydschoiword Reply0 Views10244
    Read More
  2. No Image

    이단연구가들, 상호존중해야

    이단연구가들, 상호존중해야 최병규 박사 <뉴스파워> 게재의 글을 옮김 “알렉산드리아에서 난 아볼로라 하는 유대인이 에베소에 이르니 이 사람은 언변이 좋고 성경에 능통한 자라. 그가 일찍 주의 도를 배워 열심히 예수에 관한 것을 자세히 말하며 가르치나 ...
    Date2016.02.25 Bydschoiword Reply0 Views3099
    Read More
  3. No Image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은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은 1. 무엇을 ‘탓’하며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자기 연민에 빠져 시간을 흘려보내지 않으며 삶이 항상 공정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한다. 2. 스스로 ‘독립성’을 유지한다남에게 휘둘리지도 남을 휘두르지도 않는다. “상사가 나를 짜증 나...
    Date2016.02.21 Bydschoiword Reply0 Views2719
    Read More
  4. No Image

    성경을 아는 지식

    성경을 아는 지식 R. C. 스프라울 내가 만일 마귀라면 사람들이 성경을 탐구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을 첫째 목표 가운데 하나로 삼을 것이다. 어떻게 하느냐고? 이 고대의 책을 직접 공부하는 것은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이 하지 않아도 손해 볼 것이 없는 번거로...
    Date2016.02.20 Bydschoiword Reply0 Views3041
    Read More
  5. No Image

    개성폐쇄와 핵전쟁의 시발점/ 노정선

    개성폐쇄와 핵전쟁의 시발점 노정선 교수 <에큐메니안> (2016.2.15.) 게재 글 아래의 글은 연세대에서 윤리학을 가르친 노정선 교수(목사)가 쓴 글이다. 노정선은 북한통으로 알려진 분이다. <리포르만다>의 견해와 많이 다르다. 참고해 둘 필요가 있기에 옮...
    Date2016.02.15 Bydschoiword Reply0 Views2918
    Read More
  6. No Image

    영으로 비밀을 말함(고전 14:2) 해석

    영으로 비밀을 말함(고전 14:2) 해석 이창모 목사 (바른믿음에서 옮겨 온 글) 거짓방언자들은 고린도전서 14장 2절을 근거로 자신들이 하는 방언기도는 하나님께 비밀을 말하는 기도라고 주장한다. 만약 바울도 이들처럼 방언기도를 ‘영으로 하나님께 비밀을 ...
    Date2016.02.13 Bydschoiword Reply0 Views2440
    Read More
  7. No Image

    부흥에 필요한 6가지 요소

    부흥에 필요한 6가지 요소 다시 부흥이 필요하다. 그 전에 6가지가 회복되어야 한다." 다시금 부흥을 주장하는 이는 캘리포니아주 안텔로프 밸리에 위치한 웨스트사이드크리스천펠로우십교회(Westside Christian Fellowship Church)의 셰인 아이들만(Shane Id...
    Date2016.02.06 Bydschoiword Reply0 Views2841
    Read More
  8. No Image

    심리학 논문쓰는 방법/ 최인철

    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최덕성의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지식산업사)를 읽으셨습니까? 예일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 등에서 가르치는 글쓰기, 논문쓰기 요령을 재미 있는 이야기와 더불어 소개합니다. 논리와 비평적 사고방법을 담고 ...
    Date2016.02.02 Bydschoiword Reply0 Views3951
    Read More
  9. No Image

    이슬람 상식 10가지

    이슬람 상식 10가지 세계가 이슬람의 테러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제 교회 지도자들이 이슬람의 정체를 모르면 한국교회 및 대한민국의 안보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왔습니다. 그래서 10가지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이슬람의 개요를 정리했습니다. 부디 ...
    Date2016.0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778
    Read More
  10. 십자군 전쟁/ 이희수

    기독일보 이수민 기자] "이슬람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은 어떠할까? 이슬람교 신자로 잘 알려진 이희수 교수(한양대 문화인류학과)가 "세계사의 대전환과 기독교"란 주제로 열리고 있는 양화진 역사강좌 강사로 나서서 무슬림의 눈에서 기독교 십자군 전쟁...
    Date2016.0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835
    Read More
  11. No Image

    칼빈교회론/ 신원균

    칼빈의 교회론 연구 신원균 목사 (한마음개혁교회) Ⅰ. 서론 책꽂이를 둘러본다. 눈에 띄는 것들 가운데 교회와 관련 있는 단어들을 살펴보았다. ‘교회 성장 세미나’, ‘영권 회복을 위한 기도 목회론’이라는 단어들이 눈에 들어온다. 게다가 ‘능력 목회의 파도...
    Date2016.01.27 Bydschoiword Reply0 Views3735
    Read More
  12. No Image

    우울증 환자에게 해 줄 말

    우울증 환자에게 해 줄말 마음의 병으로 불리는 우울증은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병이다. 실제 우울증은 국내 성인 8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만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우울증은 증세 초반에 주위 사람들이 신경 써주지 않으면, 당사...
    Date2016.01.12 Bydschoiword Reply0 Views4791
    Read More
  13. No Image

    포괄적 참고표기법/ 차정식

    포괄적 참고표기법 차정식 1. 내가 알기로 '표절'이란 개념은 19세기 헤겔 이후 본격적으로 조형되기 시작한 근대적 발명품이다. 마찬가지로 저작권(copyright)이란 개념도 20세기 들어 미국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체제의 쌍생아 중 한 갈래다. 그 이전에는 이...
    Date2016.01.08 Bydschoiword Reply0 Views3856
    Read More
  14. No Image

    벌코프와 한국교회 신학

    벌코프와 한국교회 신학 이영규 “이제라도 한국장로교회는 건전한 개혁주의 신학 사상 회복해야” 한국장로교회에서 루이스 벌콥(Louis Berkhof)의 조직신학이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특히 그의 생애에 있어서 신학적 논쟁들 중에서 세 가지 논쟁점들이 한국교...
    Date2016.01.05 Bydschoiword Reply0 Views2879
    Read More
  15. No Image

    십일조/ 정주채

    십일조 질문에 답하다. 정주채 목사 (코닷) 그렇다. 요즘 교회들마다 교인들의 십일조헌금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단순히 경제상황 때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요즘보다 힘들었던 때가 과거에 많았기 때문이다. 십일조헌금에 대한 신앙의 약화가 가...
    Date2016.01.03 Bydschoiword Reply0 Views384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