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라이브러리

아버지아버지.jpg





아버지의 그림자도 밟지 말라 (가본)


머리말: 대박이 쏟아지는 자녀교육

    

 

아주 탁월한 자녀교육 방법, 대박이 쏟아지게 하는 자녀교육 책은 없을까? 자기 자식을 잘 키우고 싶어 하지 않는 부모는 없다. 자식을 잘 키우고싶다고 하여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다. 무작정 노력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아니다. 자녀교육의 기회는 두 번 주어지지 않는다. 잘 되든 못 되든 한 번으로 끝난다. 그래서 딱부러지는 소리가 나는 책을 읽고 싶어한다


나는 아이 세 명을 선물로 받아 키웠다. 첫 아이가 걸음마를 시작할 때부터 여러 차례 시중 책방에 들러서 자녀교육에 관한 책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이 분야에 대한 책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인사동 골목에 진열된 골동품만큼이나 많다.


둘째, 전문가가 한두 권만을 엄선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대부분의 책들은 그 요점을 간단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책 한권을 다 읽어야 비로소 내용을 어림 짐작할 수 있다. 바쁜 세상에 언제 그 깨알 같은 글들을 다 읽을 시간이 없다. “하고 보기만 해도 요령을 포착할 수 있는 책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교육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고,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책을 읽고 분석하고 비평하는 일을 평생해 온 대학교수인 내게도 적절한 책을 고르는 일과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다른 직종에 종사하는 분주한 아버지들과 어머니들은 어떠랴 싶다.


셋째, 대부분 경험담이나 훈화집이었다. 뜬 구름잡는 소리나 실현 불가능한 내용을 담은 책들이 많았다. 불변하는 교육학 원리에 충실하며 노하우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넷째, 내용들이 비슷비슷하여 그게 그말 같고, 그게 그말 같아서 정작 아무 것도 손에 잡히지 않았다. “아이는 되는 대로 키우자고 하는 자포자기한 소리까지 나올 정도였다.


다섯째, 아이러니컬하게도 막상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책마다 주장하는 바가 같지 않아서 혼란을 일으킬 정도였다. 예컨대 어린아이에게 매를 들어야 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생각이 달랐다. 가정에서 순결교육을 시키는 것이 필요한지 아닌지에 대한 신념이 달랐다.


여섯째, 자녀교육에 관련된 문제들을 주제별로 일목요연하게 다룬 책이 없었다. 예컨대 위기관리능력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자존감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판단력을 어떻게 배양할 것인가 하는 등에 대해 주제별로 간결하게 다루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이런 점들을 폭넓게 깊이 고려하여 쓴 책이다. 교육 원칙을 현대 언어와 이야기로 전달한다. 아이 셋을 한국과 미국에서 키우는 동안 두 문화권의 자녀교육의 장점들을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한 것이다. 정보의 홍수, 무한 경쟁, 영상과 감성 시대의 생활 방식, 문화, 정보 체계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것도 고려했다. 변화된 세상에 역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강한 독자성, 창의력, 적응력, 탁월성, 슬기, 문제해결 능력, 융통성을 갖도록 했다. 전인적인 면을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특정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자녀교육 방법을 제시했다. 교육학 원리를 토대로 교양과 건전한 세계관을 가진 읽을 꺼리를 제공하는 책이 되도록 했다.


내용 중에는 어느 정도 알려진 것들도 있다. 예컨대 아이에게 칭찬을 많이 해 주고, 창의성을 살려 주라는 말 따위이다. 알려진 것이라도 부모가 그 내용들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여 실제 자녀교육의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사람의 마음은 정서적 공간이 마련되어야 비로소 배움이 가능해 진다. 지각의 장을 넓혀야 그 지식이 자기 것이 된다. 밥솥의 밥은 부글부글 끌었다고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뜸이 들어야 한다. 그래서 이 책의 각 장에는 중심 주제와 그것을 보조하는 서너 개의 작은 메시지들을 이야기와 예화와 삽화로 엮었다.


삽화는 맏아들 평화가 그린 것이다. 뉴욕의 프래트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고 있다.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준 여러분들께 감사를 드린다. 이 책에 자녀교육의 모델로 등장하는 나의 아내와 세 아이들,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스승들께 특별한 감사를 표하고 싶다.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교 총장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WEA 서울선언문(2025)

        WEA 서울선언문(2025)    제14차 세계복음주의연맹 총회 대한민국 서울 · 2025년 10월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입니다.   Ⅰ. 서론   1846년 창립 이래 세계 복음주의 운동을 대표해 온 세계복음주의연맹(WEA)의 주관 아래, 2025년 10월에 전 세계 ...
    Date2025.11.06 Reply0 Views29 file
    Read More
  2. 찰리 커크, 신앙 지킴이

        찰리 커크, 신앙 지킴이   원제: 문화전쟁 시대의 신앙 지킴   사도 바울이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성도들에게 권면하신 말씀이 있다.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롬 12:...
    Date2025.10.27 Reply0 Views69 file
    Read More
  3. No Image

    The Sad Story of Michael Servetus and John Calvin

      The Sad Story of Michael Servetus and John Calvin   Introduction John Calvin has always been a controversial figure.  Even in our own day he has champions and critics.  Calvin’s work and life are often misunderstood and distorted.  The pro...
    Date2025.10.21 Reply0 Views62
    Read More
  4. 칼빈의 세르베투스 비엔느 공판

          세르베투스 비엔느 공판: 존 칼빈의 관련을 중심으로The Question of Calvin's Involvement in the Trial of Servetus at Vienne라은성 교수 (총신대학교)1. 서론미카엘 세르베투스(Michael Servetus, 1509-1553)는 일반적으로 의사, 수학학자, 저술가, ...
    Date2025.10.20 Reply0 Views53 file
    Read More
  5.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하기아 아이린 교회당(현 이스탄불, 스탄티노플 공의회가 열린 장소, 화재 후 원형대로 복구한 건물)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원제: 카파도키아 삼 교부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1.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와 카파도키아 신학세계...
    Date2025.08.25 Reply0 Views136 file
    Read More
  6.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통합과 분열의 갈림길···역사적 배경 해설   교리적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룬 상징적 사건     1. 삼위일체 교리형성에 미친 니케아 신경의 영향     AD 325년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 그리...
    Date2025.08.25 Reply0 Views133 file
    Read More
  7. 바른 교리가 교회를 살린다

        바른 교리가 교회를 살린다   "신학함"의 목적에 대하여     신학자는 책상에 앉아 학문을 즐기는 연구자가 아니다. 신학교는 지식을 파는 교육기관이 아니다. 이들은 교회의 생존과 복음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세워진 최전방 진지다. 교회가 위기에 처...
    Date2025.08.13 Reply0 Views160 file
    Read More
  8. 김재준의 예언자 사명과 교회 정치화

      김재준의 예언자 사명과 교회 정치화   원제: 김재준 신학의 내재적 모순과 기장·NCCK의 정치신학     한국 기독교사에서 자유주의 신학의 대표적 인물로 평가받는 김재준(1901-1987)의 신학 사상은 흥미로운 이중성을 보인다. 그는 정교분리 원칙을 명확히...
    Date2025.08.12 Reply0 Views150 file
    Read More
  9. WCC의 JPIC 신학과 사회주의

      WCC의 JPIC 신학과 사회주의     [WCC] JPIC 신학은 기독교와 사회주의 가운데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자에 대한 관심, 평등한 사회의 이상, 공동체적 삶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지닌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Date2025.08.06 Reply0 Views148 file
    Read More
  10. 카이퍼는 리츌을 닮았다

        카이퍼는 리츌을  닮았다   리츨과 신칼빈주의: 서로 다른 출발, 같은 도착   알브레히트 리츨은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였고, 아브라함 카이퍼는 개혁주의 전통을 따랐던 네덜란드의 보수 신학자였다. 그런데 이 둘이 19세기 유럽의 세속화에 대답하는 ...
    Date2025.08.01 Reply0 Views224 file
    Read More
  11. 통전적 선교는 사회복음의 현대적 변형

          통전적 선교는 사회복음의 현대적 변형   케이프타운 로잔대회 분석:     아래의 글은 김요셉 님이 페이스북에 개시한 글이다. <기독교한국>에 게시한 글인 것 같으며 글쓴이는 누구인지 확실치 않으나, 김요셉 님인 것 같다.     케이프타운 서약(The ...
    Date2025.05.31 Reply0 Views429 file
    Read More
  12. 동물신학, 동물장례식

        동물신학, 동물장럐식     예장 고신 교단 74회 총회가 받아들인 동물신학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보고서   ‘동물 장례에 대한 질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보고서     신학위원회/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 총회 질의     경남김해노회장 이...
    Date2024.09.29 Reply0 Views576 file
    Read More
  13. 제4차 로잔대회 ‘서울선언문’

        제4차 로잔대회 ‘서울선언문’   (2024.09.22.)     서문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제4차 로잔대회는 세계 선교에 헌신한 놀라운 운동의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이다. 1974년 제1차 로잔대회에는 150여 개국에서 2,700명의 교회 지도자이 함께 모여 온 ...
    Date2024.09.23 Reply1 Views604 file
    Read More
  14.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기후 환경위원회 보고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기후환경위원회  (총회가 받아들인 위원회 보고서, 2024. 9. )     I.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1. 문제     오늘날 기후 변화 문제는 모두가 날마다 ...
    Date2024.09.12 Reply0 Views395 file
    Read More
  15. WCC 핵심 논점에 대한 신학적 고찰

        WCC 핵심 논점에 대한 신학적 고찰   머리말   그 동안 국내에서 논란되어왔던 역사적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제10차 총회가 2013년 10월 30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되었다. 이에 대한 한국 보수주의 교회의 비판의 소리는 높다. ...
    Date2024.09.08 Reply0 Views45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