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라이브러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333.jpg



WCC 무엇이 문제인가?


최덕성 저 (서울: 총회출판국, 2010)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부산, 벡스코)를 앞두고, 최덕성은 아래의 표지 그림의 <WCC 아이덴티티>(서울: 본문과현장사이, 2010)를 출간했다.  WCC 신학의 핵심 사상을 10가지로 정리한다. 종교다원주의, 종교대화주의, 종교혼합주의, 사회구원 지상주의, 용공주의, 개종전도 금지주의, 로마가톨릭주의, 가시적 교회 일치주의, 신앙고백 형식주의, 성경불신주의 등이다. 부록으로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하는 핵심 문서인 '바아르선언문" 영문과 한글 번역문을 싣고 있다.


한국기독교WCC반대대책위원회(위원장 홍재철)는 이 책의 제목을 <WCC 무엇이 문제인가?>로 바꾸어 출판했다. 필자와 계약 없이 무단으로 대량 출판했다. 저자 최덕성의 이름을 표기하지 않고 '한국기독교WCC반대를위한대책위원회 위원장 홍재철 목사'라는 이름으로 출간했다.



44433344.jpg



워 책의 부록에는 최덕성이 작성하고 한국기독교WCC반대대책위원회(위원장 홍재철)가 광범위 하게 보급 유포한 아래의 "성명서"가 실려 있다.


"WCC 부산총회 반대 성명서"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는 기독교 복음 전파에 역행하고, 교회 건술 사명을 방해할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절대성을 약화시키는 반성경적, 비기독교적 단체이기에, 복음적 신앙을 고백하는 한국교회는 이 단체의 한국 총회(2013) 개최를 반대하며, 다음과 같이 그 이유를 밝히는 바이다.


1. WCC는 성경이 신앙과 행위의 유일한 최종적 규범이라는 것과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2. WCC는  성경의 기본 교리를 고백하지 않는 사람들과 일치를 추구하며, 이단과 적그리스도와 자유주의 신학을 지행하는 사람들을 규제하지 않고, 교회의 변증적 사명을 무시한다.


3. WCC는 개신교회의 토대인 전통적인 구원관 특히 이신칭의 신앙을 약화시키거나 상대화 하며, 인간해방과 혁을 구원 행위로 본다.


4. WCC는 다른 종교에도 하나님의 구원 역사가 있다고 하며,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유일성을 부정한다. 결과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할 당위성을 포기하였다.


5. WCC는 성경을 정령(정령)과 동일시하는 초혼제(  )를 용납하고, 성령을 물활론(  )적으로 해석하는 비기독교적 사상을 방조하였다.


6. WCC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개념을 선교에 도입하여 인간화, 화해, 사회참여 등을 선교의 지상 과제로 보며, 예수 그리스도가 구원자이심을 선고하는 전도의 긴박성과 구령사업을 저해한다.



7. WCC는 '통전적 선교'를 말하면서도 실상은 빈곤퇴치치와 사회활동과 구조악 철폐 등에 치우친 선교를 하고 있다.


8. WCC는 로마가톨리교회와 일치를 추구하고 정교회를 회원으로 가입시켜, 선교 유예(moratorium)를 시행하도도록 하여 성경적 복음 진리 전파를 방해한다.


9. WCC는 마르크스주의와 해방신학과 궤를 같이 하는 좌파 성향의 용공주의 태도를 지녀왔고, 공산권 안에서 일어나는 인권유린, 생명박탈, 신앙의 억압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


10. WCC는 '교회'의 연합체라고 하면서도 실상은 성찬 중심의 교제 단체이다. 그 결과로 그리스도의 교회의 첫 번째 표지인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고 사실상 교회읩 ㅗㄴ질인 단일성, 거룩성, 보편성, 사도성을 포기하였다.


11. WCC는 신학적 다원주의와 신앙무차별주의(indifferentism)를 지향하며, '교리는 분열시킨다'고 하면서 기독교 교리의 중요성을 폄하하고 교회의 생명력을 쇠퇴시킨다.


12. WCC의 외형적 기구 일치운동은 그리스도의 교회의 본질을 왜곡시키고, '진리 안에서 일치된' 신앙고백공동체' 즉 하나의 거룩하고 본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분열시킨다.


2010. 4. 29.


세계교회협의(WCC)반대대책위원회 (실제 작성자: 최덕성 박사)


<WCC 아이덴티티>와 <WCC 무엇이 문제인가?>는 최덕성의 <신학충돌 II>(서울: 본문과현장사이, 2012)에도 실려 있다. 이 책들과 위 성명서 등은 한국교회에 WCC의 신학적 정체성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부산총회 개최 반대운동을 거세게 이끌었다. 신학자 최덕성의 자기 시대에 대한 변증적 의무를 담고 있다.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하기아 아이린 교회당(현 이스탄불, 스탄티노플 공의회가 열린 장소, 화재 후 원형대로 복구한 건물)   카파도키아 신학자들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원제: 카파도키아 삼 교부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1.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와 카파도키아 신학세계...
    Date2025.08.25 Reply0 Views77 file
    Read More
  2.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니케아 신경’ 반포 1700주년, 통합과 분열의 갈림길···역사적 배경 해설   교리적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룬 상징적 사건     1. 삼위일체 교리형성에 미친 니케아 신경의 영향     AD 325년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 그리...
    Date2025.08.25 Reply0 Views73 file
    Read More
  3. 바른 교리가 교회를 살린다

        바른 교리가 교회를 살린다   "신학함"의 목적에 대하여     신학자는 책상에 앉아 학문을 즐기는 연구자가 아니다. 신학교는 지식을 파는 교육기관이 아니다. 이들은 교회의 생존과 복음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세워진 최전방 진지다. 교회가 위기에 처...
    Date2025.08.13 Reply0 Views101 file
    Read More
  4. 김재준의 예언자 사명과 교회 정치화

      김재준의 예언자 사명과 교회 정치화   원제: 김재준 신학의 내재적 모순과 기장·NCCK의 정치신학     한국 기독교사에서 자유주의 신학의 대표적 인물로 평가받는 김재준(1901-1987)의 신학 사상은 흥미로운 이중성을 보인다. 그는 정교분리 원칙을 명확히...
    Date2025.08.12 Reply0 Views96 file
    Read More
  5. WCC의 JPIC 신학과 사회주의

      WCC의 JPIC 신학과 사회주의     [WCC] JPIC 신학은 기독교와 사회주의 가운데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자에 대한 관심, 평등한 사회의 이상, 공동체적 삶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지닌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Date2025.08.06 Reply0 Views88 file
    Read More
  6. 카이퍼는 리츌을 닮았다

        카이퍼는 리츌을  닮았다   리츨과 신칼빈주의: 서로 다른 출발, 같은 도착   알브레히트 리츨은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였고, 아브라함 카이퍼는 개혁주의 전통을 따랐던 네덜란드의 보수 신학자였다. 그런데 이 둘이 19세기 유럽의 세속화에 대답하는 ...
    Date2025.08.01 Reply0 Views167 file
    Read More
  7. 통전적 선교는 사회복음의 현대적 변형

          통전적 선교는 사회복음의 현대적 변형   케이프타운 로잔대회 분석:     아래의 글은 김요셉 님이 페이스북에 개시한 글이다. <기독교한국>에 게시한 글인 것 같으며 글쓴이는 누구인지 확실치 않으나, 김요셉 님인 것 같다.     케이프타운 서약(The ...
    Date2025.05.31 Reply0 Views372 file
    Read More
  8. 동물신학, 동물장례식

        동물신학, 동물장럐식     예장 고신 교단 74회 총회가 받아들인 동물신학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보고서   ‘동물 장례에 대한 질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보고서     신학위원회/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 총회 질의     경남김해노회장 이...
    Date2024.09.29 Reply0 Views523 file
    Read More
  9. 제4차 로잔대회 ‘서울선언문’

        제4차 로잔대회 ‘서울선언문’   (2024.09.22.)     서문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제4차 로잔대회는 세계 선교에 헌신한 놀라운 운동의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이다. 1974년 제1차 로잔대회에는 150여 개국에서 2,700명의 교회 지도자이 함께 모여 온 ...
    Date2024.09.23 Reply1 Views554 file
    Read More
  10.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기후 환경위원회 보고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기후환경위원회  (총회가 받아들인 위원회 보고서, 2024. 9. )     I. 기후환경을 바라보는 신학적 입장     1. 문제     오늘날 기후 변화 문제는 모두가 날마다 ...
    Date2024.09.12 Reply0 Views363 file
    Read More
  11. WCC 핵심 논점에 대한 신학적 고찰

        WCC 핵심 논점에 대한 신학적 고찰   머리말   그 동안 국내에서 논란되어왔던 역사적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제10차 총회가 2013년 10월 30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되었다. 이에 대한 한국 보수주의 교회의 비판의 소리는 높다. ...
    Date2024.09.08 Reply0 Views422 file
    Read More
  12. 신학교의 쓸모

        신학교의 쓸모   1.   오늘날 신학교 교육은 무용한 것인가? 사울의 타락 이후 사무엘은 자신의 고향 ‘라마’로 돌아가 그곳에 ‘나욧’을 세운다. 앞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 선지자들을 가르치고 길러내려 했던 것 같다. 지금으로치면 신학교와 유사하다...
    Date2024.09.07 Reply0 Views408 file
    Read More
  13. 폴리갑과 콘스탄틴, 기독인의 삶의 장엄함을 보여주다

      신성로마제국 프레드리히 황관     폴리갑과 콘스탄틴, 기독인의 삶의 장엄함을 보여주다   신학대학원이 가르치는 정경론에는 정경확립의 기준 가운데 ‘성경의 자증적(自證的) 권위’라는 주제 안에 ‘문체의 장엄함’이란 내용이 있다. 하나님의 장엄하심, ...
    Date2024.07.10 Reply0 Views591 file
    Read More
  14. 유비쿼터스와 하브루타 신학수업

        유비쿼터스와 하브루타 신학수업   우리가 2000년대를 시작할 무렵, 유비쿼터스 스쿨, 유비쿼터스 가정, 유비쿼터스 방식 교육 등 미래시대의 모습을 소개하는 글을 읽을 때 꿈을 꾸는 것 같았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유토피아처럼 여겼던 유비쿼터스 시...
    Date2024.01.10 Reply0 Views789 file
    Read More
  15. 방언에 대한 생각 바꾸기

          방언에 대한 생각 바꾸기     최덕성 교수님의 성령론은 여러 면에서 충격이었다. 방언에 대한 신학강의를 처음으로 접하면서 오랫동안 방언 곧 방언 기도를 해 온 나의 신앙 생활을 검토했다. 나는 방언이 하나님의 사랑 받는 자녀들이 받는 영적인 은...
    Date2023.08.15 Reply0 Views134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