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산책

주기철 2222.jpg




주기철은 신사참배거부운동의 선봉장인가?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6


4.2 신사참배거부운동, 신사참배거부운동교회

 

4.2.1 고신교회의 근원은 일제말기의 신사참배거부운동이다. 신사참배거부운동은 1938년부터 1945년까지 기독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신앙수호를 위한 항일운동이다. 우상숭배를 거부하고 기독교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며, 일제의 억압과 회유에 굴복해 변질된 제도권 교회의 변질을 경고하면서 맞서 투쟁했다. ‘천황제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 일본적 체제를 부정하고, ‘황민화 정책내지 민족말살 정책에 저항한 것은 민족사적 성격을 지녔다. 일제는 신사참배거부운동자들을 민족주의자로 규정하고 치안유지법, 보안법, 불경죄 등을 적용해 탄압했다.

 

4.2.2 정성구 박사(전 총신대학교 총장)는 주기철이 신사참배거부운동의 선봉장,” “총사령관이라고 한다. 정성구가 소개하는 총신대 양지캠퍼스에 세우려던 순교자 주기철 목사의 비문”(1990.9.11.)도 주기철을 이 운동의 선봉장으로 표기한다. 주기철은 신사참배를 거부하다가 순교했다. 주기철은 신사참배거부운동에 소극적이었다. 선봉장 한상동이 이끄는 운동에 대하여 시기상조의 감이 있다고 말하면서 적극적인 동참을 보류했다.

 

4.2.3 선봉장 한상동 목사는 이 운동을 공개적인 정치운동으로 전개했다. 정치운동은 공개적으로 불의한 정교일치 국가 일제에 공개적으로 항의하여 왕중왕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충성과 신앙을 확인하고 고백했다. 신사참배거부운동은 지하교회 또는 협회 형태의 독립 교회인 신사참배거부운동교회로 전환하여 예배, 교제, 전도, 신앙고백 활동을 했다. 이 교회는 신사참배를 행하는 한국교회와 대결 구도를 유지하고, 그리스도의 교회의 단일성, 거룩성, 보편성, 사도성을 충실하게 유지한 그리스도의 신부였다. 기존의 한국교회는 신앙고백적 단일성, 실천적 거룩성, 세계교회와 진리와 고백을 공유하는 보편성, 교리적 사도성을 상실한 배교 집단으로 변해 있던 시점이었다.

 

4.2.4 고신교회의 출범과 직결된 신사참배거부운동과 신사참배거부운동교회의 신앙고백은 평양지방법원의 이기선 외 21명 판결문에 일목요연하게 기록되어 있다. 신사참배거부항쟁자들의 신앙고백과 행적을 담고 있는 이 판결문은 한국판 사도행전이다. 기독교의 정체와 교회의 표지와 속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4.2.5 만주지방의 신사참배거부운동은 순교자 김윤섭 전도사와 그의 동료 전도사들이 금식하면서 작성한 장로교인 언약”(1940)이라는 위대한 신앙고백문을 만들었다. 독일고백교회가 나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독일교회를 거부하고 독자적인 교회를 출범시킨 사람들이 작성한 바르멘 신학선언”(1934)과 동격의 가치 또는 비슷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장로교인 언약은 한국 신자들의 기독교 복음을 수용한 지 겨우 반세기에 이른 시점의 신학을 공부하지 않은 교역자들이 금식하면서 만든 것이다. “바르멘 신학선언은 약 1500년의 역사를 가진 교회의 신학자들이 만든 것이다. 전자와 후자가 서로 견줄만한 동격을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전자가 더 위대하다고 평가함이 타당하다.

 

4.2.6 이상규 박사(고신대 명예교수)는 신사참배거부운동을 교회의 단일성을 저해한 교회분리주의운동으로, 이 운동의 선봉장 한상동을 분리주의자로 규정한다. 분리주의 교회관을 지녔던 3세기의 도나투스주의와 동일시한다.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주기철 목사기념 단체가 주관한 행사에서 발표한 학술 논문과 고신대학교 발행한 신학지 등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 주장을 반복한다.

 

4.2.7 이상규의 주장은 민경배 박사(연세대 명예교수)의 궤변과 궤를 같이 한다. 민경배는 힘의 논리를 한국교회사를 당파적 시각으로 기술하고 평가한다. 교회의 권력을 장악한 친일파의 눈으로 접근한다. 주기철이 신사참배거부운동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시기상조의 감이 있다고 한 말을 근거로 한상동과 주기철의 교회론이 달랐다고 주장한다. 주기철은 정통적 교회론을 가졌지만 한상동은 분리주의 교회관을 가졌다고 한다.

 

4.2.8 민경배가 주기철을 정통교회론자로 설정하고 한상동을 분리주의자로 비난하는 데 대하여, 필자는 이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 없고, 개혁신학 교회론에 부합하지 않으며, 역사왜곡이라고 지적했다. “한상동과 주기철의 교회관이라는 제목의 학술논문을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회(2004년경, 고려신학대학원, 부산)에서 발표했다. 그 학술 모임에는 약 40명의 한국교회사 교수들과 소수의 신학도들이 참석했다. 이상규는 그 자리에서 나도 고신교회에 속한 목사이며, 고신교회사를 연구하는 학자이다. 한상동에 대한 논문을 쓴 바 있다. 한상동은 교회분리주의자이다, 민경배 교수의 주장이 옳다고 공언했다.

 

4.2.9 이상규와 민경배의 오류는 교회의 역사를 신학적, 교리적, 교회론적 관점으로 평가하지 않고, 힘의 논리, 교회교(Churchanity), 비고신적 당파 시각으로 파악한 역()하기오그래피에서 기인한다. 교권을 절대시하는 교회교 시각이나 친일파의 당파적 시각으로 파악하면 옳은 것을 옳지 않다고 하고, 그릇된 것을 옳다고 평가하게 된다. 신사참배거부운동에 대한 이상규의 평가는 민경배의 주장과 더불어 한국교회사의 정론으로 인식되어 있는 듯하다. 고신교회는 규범공동체이다. 고신교회의 역사는 진리성, 성경, 개혁교회론의 관점으로 기술하고 평가함이 마땅하지 않은가?

 

4.2.10 신사참배거부운동교회는 오늘날의 중국과 북한의 지하교회 형태로 존재했다.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였다. 이상규는 신사참배거부운동교회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는다. 고신교회의 태동으로 연결된 소중한 교회의 역사에 대한 고신교회 구성원의 무관심 또는 자학적인 평가 또는 역()하기오그래피는 우리를 당혹하게 한다.


이 글은 2회 고신포럼 학술회(20200217, 프레지덴트호텔 서울) 에서 발표한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미출간)의 일부이다.

 

최덕성 박사(브니엘신학교 총장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선교사는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34)이다. 영국인 모리슨은 1807년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소속으로 중국 광저우에 도착하여 27년간 선교 활...
    Date2025.08.10 Byreformanda Reply0 Views62 file
    Read More
  2.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The King’s Gallery, Edinburgh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원제:  예배당에 미술관 간판이 걸리게 된 사연   Scotland 수도 Edinburgh에는 군사 요충지 역할을 하던 에든버러성이 있고 거기에서부터 동쪽으로 1마일 거리에 스코틀랜드 왕실의 공식 거처...
    Date2025.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3.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원제: 김재준의 신사참배 합리화와 기독교장로회의 자기 서사     김재준은 신사참배를 “역사 윤리적 참여”로 해석하면서 주기철 목사의 순교는 “계율적 고집”이었다고 비판했다. 순교한 이는 “지나친 계율...
    Date2025.07.25 Byreformanda Reply0 Views192 file
    Read More
  4.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서로마는 476년에 멸망했다. 반면 동로마는 천 년 가까이 더 존속하며, 헬레니즘과 로마의 문명, 기독교 신학, 제국 관료제와 법제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러나 르네상스와 계몽주의를 거치며, 유럽은 동로마...
    Date2025.07.15 Byreformanda Reply0 Views265 file
    Read More
  5.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고 김경재 박사(좌)와 김영한 교수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김경재 박사(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가 2025년 5월 3일에 향년 85로 세상을 떠났다. 35년 동안 신론 등을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   종교다원주의자 김경재가 남긴 가장 유명한 말은 “유일...
    Date2025.05.15 Byreformanda Reply0 Views594 file
    Read More
  6.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현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만장일치 결정하려 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국론분열을 막기 위해 만장일치 결정이 좋다는 이야기이다. 일부 언론들이 그런 분위기를 부채질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 헌법재판소...
    Date2025.03.05 Byreformanda Reply0 Views937 file
    Read More
  7.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죽산 박형룡 박사(1897-1978)는 개혁파 정통신학(Reformed Orthodoxy)을 보급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1 그가 꽃다발처럼 엮어 한국교회에 소개한 신학은 오늘날에도 한국장로교회 신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한국기독교 전...
    Date2025.01.05 Byreformanda Reply0 Views459 file
    Read More
  8.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조카에게 공개편지를 보낸 뒤의 소회   조카 한강 작가에게 보낸 공개편지로 소란스럽고 분주한 두 주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잠잠해져서 잠깐 소회를 나누고 싶습니다. 편지가 ...
    Date2024.11.29 Byreformanda Reply0 Views623 file
    Read More
  9.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원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에게 보내는 삼촌의 편지     [편집자 주: 아래의 글은 한충원 목사의 페이스북 글(2024년 11월 2일)이다. 한강의 삼촌(작은 아버지) 한충원은 현재 대전에서 목회를 하는 목사이다. 침례...
    Date2024.11.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54 file
    Read More
  10.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1. '금주가'에 등장하는 '국가'     일제통치 기간의 우리의 선조들의 국가는 어느 나라인가? 근래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의 국회 청문회는 근대 한국사 인식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얼마 후 국회환경노동위...
    Date2024.09.17 Byreformanda Reply1 Views1795 file
    Read More
  11.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프린스톤신학교 교사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교회의 생명력은 신학에 달려 있는가?―     신학은 교리논쟁에서 벗어나 다원화 사회에서 대화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아야 하는가? 신학이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할...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683 file
    Read More
  12.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1차 국민공청회 기조발제문 이만열(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1. 문제제기 : 지금 시점에서 친일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해방된 지 56년, 반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세기 속으로 민족사적...
    Date2024.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610 file
    Read More
  13. 고려신학대학원 졸업생 명댠 (1947-2011)

          고려신학대학원 졸업생 명댠 (1947-2011)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은 1946년에 고려신학교로 출발했다. 아래는 1947-2011 졸업생 명단이다. 출옥성도들 중심으로 부산에서 시작한 고려신학대학원은 1998년 가을학기부터 천안 교정에서 목사후보생...
    Date2024.03.15 Byreformanda Reply0 Views1510 file
    Read More
  14. 이승만과 양민학살사건

        이승만과 양민학살사건     다큐멘타리 영화 ‘건국전쟁’의 흥행과 함께 역사전쟁이 한창이다. 그 동안 폄훼되어 온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晚, Syngman Rhee, 1875-1965)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그의 공이 칭송되고 있다. 이승만기념관이 만들...
    Date2024.03.01 Byreformanda Reply0 Views1065 file
    Read More
  15. 조용기 목사 동국대 강연(종교다원주의) 전문

        조용기 목사 동국대 강연(종교다원주의) 전문   저는 한 박사님의 초청을 받고 대단히 망설였습니다. 왜냐 하면 전문경영인도 아니고, 학자도 아니고 평범한 목사로서 제가 고명하신 여러분을 모시고 무슨 말씀을 드릴까 굉장한 마음의 주저함을 가졌습니...
    Date2024.01.28 Byreformanda Reply0 Views109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