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황, 왈도파에 사죄하다

 

가톨릭교회는 발도파를 왜 미워했을까요?

 

  • 박종인 ( editor@catholicnews.co.kr )

  • 승인 2015.08.12

  • <가톨릭 뉴스: 지금 여기에>

  • '

  • 얼마 전에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교황, 발도파에 사죄”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기사를 통해, 교황께서 발도파 박해에 대한 사과를 공식적으로 하셨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가톨릭 내에서 행해졌던 불의한 박해에 대해 용서를 구하고 살아남은 신자들을 격려하셨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가톨릭교회가 복음적인 가난을 살려고 했던 이들을 왜 박해했을까요? 이것에 대해서는 교회사적, 사회적 배경 등을 함께 연구해 봐야할 듯 합니다. 기사에는 베드로 발도라고 적혀 있지만, 피에르 발도(Pierre Valdo, 1140-1206 경)라고 불리는 것이 합당합니다. 그가 프랑스 남동부 리옹의 부자 상인이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말이지요. 프랑스어권에서는 오히려 보데스(Vaudès)로 더 알려져 있고, 피에르 발데스(Pierre Valdès)라고도 불립니다. 그가 여러 가지로 불리는 까닭은 그 이름이 남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에 걸친 지역의 언어, 즉 로망스어에 기원을 두기 때문입니다.

 

 

 

15132_34053_2434.jpg

▲ 프란치스코 교황이 발도파의 목사 에우제니오 베르나르디니를 발도파 교회에서 포옹하고 있다.(사진 출처 = CNA)

 

 

기사는 발도파에 대해, "12세기 후반에 프랑스의 리옹에 살던 부자인 베드로 발도가 성경의 복음적 가난을 따라 자신의 재산을 모두 가난한 이들에게 나눠 주며 시작된 일종의 복음주의 교회개혁운동”이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교회는 제3차 라테라노공의회(1179)에서 이들의 청빈 서원은 인정했으나 평신도가 사제의 초청 없이 설교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결국 1184년에 베로나 시노드에서 이단으로 규정됐다. 그 뒤 17세기까지 많은 발도파 신자가 처형됐다”고 언급합니다.

 

이 기사 내용으로 유추해 보건데, 발도는 교회가 역사적으로 중시해온 교계제도를 건드린 것에 대해 괘씸죄를 얻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발도파의 교회에서는 사제가 평신도에게 설교를 청하지 않아도 할 수 있는 분위기였나 봅니다. 본래 전례지침상 강론은 사제나 부제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강론보다는 좀 더 폭넓은 개념인 설교도 미사 중에는, 사제가 설교자를 초대할 때 가능합니다(강론과 설교에 대해서는, “강론과 설교는 다른 것이라고요?”를 함께 읽어보세요). 따라서 주례 사제가 초대하지 않으면 아무나 설교를 할 수 없는 것이지요. 아마도 발도파 교회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모든 이들이 세례를 통해 받게 되는 예언직, (보편) 사제직, 왕직에 대한 의미를 더욱 적극적으로 본 듯합니다.

 

게다가 발도는 자신의 돈으로 로망스어로 번역된 성경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재산 전부를 복음적 가난을 실천하고자 희사했고, 리옹의 가난한 이들의 형제회(La Fraternité des Pauvres de Lyon)라는 단체를 설립했습니다. “부자 청년의 비유”(마태 19,16-30)에 깊이 영향을 받은 결과였습니다. 이 단체가 발도파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이 운동이 1184년의 결정으로 이단시되고 발도는 결국 파문당합니다.

 

간단히 정리해 보면, 발도파는 매우 매력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179년 발도와 그 제자들은 함께 로마로 가서 알렉산데르 3세 교황을 만났습니다. 그 자리에서 그들은, 보편 사제직, 라틴어가 아닌 서민 언어로 쓰여진 복음의 필요성, 그리고 교회제도의 가난함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쟁을 벌였습니다.

 

 

15132_34054_2515.jpg

 

 

▲ 발도파의 상징. "빛은 어둠 속에서 빛난다." (이미지 출처 = en.wikipedia.org)

하지만, 교회는 그들의 이야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견고한 교계제도가 있는데, 보편 사도직 운운하며 아무나 설교를 한다는 게 말할 가치고 없다고 여겨졌는지도 모르겠급니다. 아무튼 그 결과, 발도파는 자신들의 신학이 위험한 것으로 단죄당하긴 했지만, 파문은 받지 않았습니다. 결정적인 파문은 그러니까 1184년에 이루어집니다.

 

 

단죄당하고 파문에 이르는 기간 동안, 발도파는 리옹에서 시작된 박해를 피해 이탈리아 북부의 피에몬테 지방(그 중심 도시는 토리노입니다. 이 도시의 발도파 교회를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문하신 것이고요)으로 피신합니다. 그리고 프랑스 남부, 뤼브롱 지역에서는 발도파 교회가 탄생하게 되는데, 바로 이 개혁교회가 파문을 당한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16세기에 이르러서야 마르틴 루터(1483-1546)를 시작으로 개신교회가 생겨난 것을 볼 때, 발도파가 제시한 내용이 얼마나 진보적이었는지 놀랍습니다. 당시 가톨릭 교회에서는 설득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해도 복음적 가난을 실천하려 했던 것은 교회도 받아들일 수 있었던 부분입니다. 약간 나중에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와 그 동료들이 가난을 실천하고자 모였던 것을 보면, 가난한 교회는 오래동안 권력을 쥐어 오면서 부패해 가던 교회에 희망과 대안을 되찾아 준 생활양식이었습니다.

 

어쩌면 교황께서는, 오늘 우리 교회에게 필요한 가난이란 것이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교회가 쇄신하기 위해 실제로 다시 필요한 것임을 보여 주시려고, 오래 전부터 복음적 가난을 살고자 했던 갈라진 형제를 찾아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분이 말씀하시듯, 두 교회는 신음하는 인류에게, 가난한 이들에게, 병고를 앓고 있는 이들에게, 이주민들에게, 사회로부터 밀려난 이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함께 일할 수 있습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그리스도를 따르고 그분을 중심으로 연대함으로써 말입니다. 


  

 

14769_33493_1139.jpg

 

 

 

박종인 신부 (요한)
서강대 인성교육센터 운영실무.
서강대 "성찰과 성장" 과목 담당.

 

?

  1. [매일묵상 67] 역경의 때에 도움 구함에 대하여

        역경의 때에 도움 구함에 대하여     주여, 주님의 이름을 찬양합니다. 이 시험과 고난을 허락하신 분은 주님이십니다. 나 스스로 벗어날 수 없는 어려움이고 이를 피할 수 없기에, 돌아서서 주님께 도움을 청합니다. 이 힘겨운 순간을 선한 목적으로 사...
    Date2023.08.02 Byreformanda Reply0 Views174 file
    Read More
  2. [매일묵상 66] 헐뜯는 말을 견딤에 대하여

        헐뜯는 말을 견딤에 대하여     나의 아들딸아, 누군가 너를 싫어하여 부당한 말을 할지라도 개의치 말라. 자신이 타인보다 부족하고 약하다고 생각하라. 네가 영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면 떠도는 말에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것이다.     악한 말에...
    Date2023.08.01 Byreformanda Reply0 Views280 file
    Read More
  3. [매일묵상 65] 자기사랑이라는 해악에 대하여

        자기사랑이라는 해악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네가 가진 모든 것을 남에게 주라. 하나도 남겨두지 말라. 자신에 대한 사랑이 이 세상의 그 무엇보다 해롭다는 것을 알라. 가진 것을 사랑하고 그것들에 애정을 갖는 정도에 따라 물리치기가 쉽...
    Date2023.08.01 Byreformanda Reply0 Views207 file
    Read More
  4. [매일묵상 64] 기도로 얻어지는 자유로운 마음에 대하여

          기도로 얻어지는 자유로운 마음에 대하여     주님, 완전한 사람이 할 일은 하늘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쏟을 일이 많아도 마치 아무 탈 없는 것처럼 지내는 것입니다. 그가 세상에 대한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자유로운 마음이라...
    Date2023.08.01 Byreformanda Reply0 Views211 file
    Read More
  5. [매일묵상 63] 온전한 평안과 영적 성장에 대하여

        온전한 평안과 영적 성장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이미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평안을 너희에게 끼치노니 곧 나의 평안을 너희에게 주노라. 내가 너희에게 주는 것은 세상이 주는 것과 같지 아니하니라.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도 말고...
    Date2023.08.01 Byreformanda Reply0 Views225 file
    Read More
  6. [매일묵상 62] 남의 일 간섭하지 않음에 대하여

        남의 일을 간섭함에 대하여     나의 아들딸아, 쓸데없는 것에 호기심을 갖거나 타인의 이런저런 것을 걱정하는 어려움을 자처하지 말라. “그들은 게으름을 익혀 집집으로 돌아다니고 게으를 뿐 아니라 쓸데없는 말을 하며 일을 만들며 마땅히 아니할 말...
    Date2023.08.01 Byreformanda Reply0 Views241 file
    Read More
  7. [매일묵상 61] 평화를 가져다 주는 것에 대하여

          [매일묵상 61] 평화를 가져다주는 것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이제 내가 진정한 평화와 자유의 길을 일러주겠다. 너희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을 즐겁게 하라. 더 많이 가지려고 하기보다는 적게 가지는 쪽을 택하라. 가장 낮은 자와 모든 사...
    Date2023.08.01 Byreformanda Reply0 Views236 file
    Read More
  8. [매일묵상 60] 은혜를 기억함에 대하여

            은혜를 기억함에 대하여       주여, 주님의 율법에 따라 나의 마음을 활짝 열고 주님의 지시를 따라 걸을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주님의 생각을 일러주시고, 모두에게 허락하신 은총과 특별히 나에게 허락하신 은총을 기억하게 하시어 주님께 감사...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207 file
    Read More
  9. [매일묵상 59] 주를 의지함에 대하여

        주를 의지함에 대하여     나의 영혼아, 언제나 그 무엇보다 주님을 의지하라. 그분만이 성도들의 영원한 안식처이시다.     사랑의 예수님, 모든 것을 초월하여 당신 안에서 안식하게 하소서. 모든 피조물을 초월하여 주님 안에서 안식하게 하소서. 건강...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190 file
    Read More
  10. [매일묵상 58]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함에 대하여

        자신의 연약함을 인정함에 대하여     주여, 나는 연약합니다. 나의 연약함을 주님께 고백합니다. “내가 이르기를 내 허물을 여호와께 자복하리라 하고 주께 내 죄를 아뢰고 내 죄악을 숨기지 아니하였더니 곧 주께서 내 죄악을 사하셨나이다'”(시 32:5...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221 file
    Read More
  11. [매일묵상 57] 모욕을 견딤에 대하여

        모욕을 견딤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너는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는냐? 불평을 그치라. 나의 희생과 다른 성도들의 고난을 생각하라. 너는 죄와 싸우면서도 아직 피 흘릴 정도로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않고 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 네가 ...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207 file
    Read More
  12. [매일묵상 56] 고난을 감내함에 대하여

          고난을 감내함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나는 너를 구원하려고 하늘에서 찾아왔다. 내가 네 대신 고난을 당한 것은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너를 향한 사랑 때문이었다.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206 file
    Read More
  13. [매일묵상 55] 모든 염려를 맡김에 대하여

        모든 염려를 맡김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내가 네게 바라는 대로 할 수 있도록 하라. 나는 네게 무엇이 가장 필요한지 알고 있다. 너는 사람으로서 생각하고, 여러 가지 일을 인간의 감정에 따라 판단한다.     나: 사랑과 은혜가 충만한 주...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176 file
    Read More
  14. [매일묵샹 54] 참 위로를 얻으려 함에 대하여

          참 위로를 얻으려 함에 대하여     위로를 얻으려고 바라고 상상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 홀로 세상의 온갖 위로를 누리고, 그로 말미암아 말할 수 없는 즐거움을 얻게 될지라도 그것은 당연히 오래 지속될 수 없다. “사람이 만일 온 천하를 얻고도 제 ...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164 file
    Read More
  15. [매일묵상 53] 바라는 것을 아룀에 대하여

          바라는 것을 아룀에 대하여     주님: 나의 아들딸아, 기도는 이렇게 하라. “주여, 만일 그것이 주님의 뜻이거든 주님의 뜻대로 이루어지게 하소서"(약 4:15). "그것이 주님께 영광 된다면 주님의 이름으로 그렇게 되게 하소서. 만일 주님이 그것을 좋...
    Date2023.07.31 Byreformanda Reply0 Views16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