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9.12.03 01:42

생산의 영웅

조회 수 8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22c533f92de9d88c7b9a74be61be09c.jpg

마르크스(왼편)와 엥겔스 동상        

 

생산의 영웅

벽초 홍명희 원작 <임꺽정>과 소설 <장길산>이 열풍을 일으킨 적이 있다. 북한에서는 영화로 만들어졌고, 남한에서는 드라마로 만들어져 안방에까지 전달되었다. 우리의 문학계는 오랫동안 장길산, 임꺽정 류의 영웅이 독자들의 마음을 지배해 왔다. 이러한 현상은 대도 조세형을 동정하는 것과 일치한다. 사람들은 분배의 영웅을 선호한다.

임꺽정이나 장길산이 열풍을 일으키는 것은 우리 사회의 모순이 극대화된 현상이다. 분배의 불균형과 맞서 싸워 정의 사회를 이루겠다는 눈물 나는 투쟁이 영웅 대접을 받는다. 이러한 영화는 모순된 사회에 정의의 숨통을 터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배의 영웅이 아무리 많이 나온다고 해도 국가나 사회의 발전이나 부(富)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사회의 부패를 다소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고, 방부제 역할을 할 뿐이다.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은 분배의 영웅이 가지는 한계가 무엇인가를 말해준다.

근년의 한국교회의 뚜렷한 움직임은 제자훈련과 사회참여운동과 윤리실천운동이다. 이곳저곳에서 세미나가 열리고, 성경공부를 한다. 사회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고, 많은 성명서가 발표되고 있다. 지역마다 윤리실천단체가 결성되고 있다. 제자훈련은 신앙지식의 폭을 넓힌다. 신앙패턴을 구축하고 교회중심의 신앙생활과 질서의 중요성을 인식시킨다. 사회참여운동이나 윤리실천운동도 지금까지 한국교회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책임을 다하도록 자극한다.

그러나 한국교회에는 제자는 많은데 그리스도의 군사가 적다. 윤리를 외치는 사람은 많은 데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적다. 성경책을 들고 ‘제자반’에 참석하며, 성경과 신학 지식을 배운 덕분에 자기 견해를 가진 사람(man of opinion)은 많은데 정작 확신을 가지고 행동하고 실천하는 사람은 적다. 우리 주변에는 윤리적 책임을 말하는 사람은 많은데 책임을 지고 희생하면서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은 적다. 남의 눈 속에 있는 티끌을 꼬집을 줄은 아는데 자기 눈 속에 있는 들보는 보지 못한다. 비판할 줄은 아는데 변화시킬 능력은 없다. 음식물이 부패한 것을 비꼴 줄은 아는데 자신이 그 음식물 속에서 희생하는 소금이 되려고 하지는 않는다. 밀가루가 부풀지 않는다고 불평하면서도 자신이 그 가루를 부풀게 하지는 못한다. 비아냥거리는 데는 선수인데 겸손히 자기를 희생하지는 않는다.

성경이 제시하는 참 제자는 새 생명을 생산하는 사람이다. 복음으로 영혼을 변화시키는 사람이다. 천국시민을 많이 생산하는 일꾼이다. 오늘날의 제자 개념은 성경이 말하는 성도의 모습을 다 담아내지 못한다. 바울은 제자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님의 일꾼”, “그리스도의 군사”로 표현하고 있다.

사회참여와 윤리실천을 위한 목소리를 내는 사람은 분배의 영웅에 해당한다. 그러나 아무리 분배의 영웅이 많아도 생산의 영웅이 많아지지 않으면 한국교회의 앞날은 암담하다. 교회의 성장이 멈춘 현실을 감안하면, 한국교회는 성경지식을 높이고 성경책을 들고 다니며 빈정거리는 태도로 교회 안팎의 문제점이나 비꼬는 제자훈련이나 사회참여운동이나 윤리실천운동보다 ‘생산의 영웅’ 만들기에 더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의 희망은 궁극적으로 구령사업에 있다.

기독교 신앙에서 신앙지식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일과 윤리를 빼놓을 수는 없다. 그러나 한국교회에 필요한 것은 많은 지식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배운 것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사회참여를 외치는 사람이 아니라 노동현장에서 생산 활동을 하는 그리스도인이다. 영혼을 낚아올리는 생산의 영웅이다. 아울러 윤리실천운동을 펼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자기를 겸손히 낮추며 남을 자신보다 낫게 여기는 작은 윤리에서부터 제자도를 실천하는 사람이 아니겠는가.

최덕성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주간기독교>(2010) 기고의 글

 

리포르만다에 실려 있다가 사이트개편 때 사라진 것을 복구한 글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 무단 전재-재배포-출처를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1.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자신을 태우는 불: 분노 3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톨스토이의 『부활』은 명상처럼 흐르는 한편의 긴 설교이다. 성경에 근거한 분노 신학이 맞닿는 지점을 따라가고 있다. 단순히 한 인간의 도덕적 각성을 그린 소설이 아니다. 인...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39 file
    Read More
  2. 톨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톨스토이, 누구를 위한 분노인가?: 분노 2     ―분노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3-3)       레프 톨스토이의 『부활』(The Ressulection, Воскресение, 1899)은 인간의 영혼이 죄와 분노, 불의와 무지 속에서 어떻게 깨어나고 다시 태어나는가를 보...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1 file
    Read More
  3.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셰익스피어의 분노의 변증법: 분노 1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 왕(King Lear)』은 인간의 분노가 어떻게 영혼의 심연을 흔들고, 사랑과 진리를 삼켜버리는지를 보여주는 장엄한 서사시와도 같다. 그 안...
    Date2025.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2 file
    Read More
  4.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기의 포로에서 자유로워지기 ―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다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10)   시기(Envy)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가장 은밀히 자라나는 감정이다. 처음에는 미세한 불편함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의 이름이 칭찬받는 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54 file
    Read More
  5.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에 대한 성경의 경고: 시기 10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시기에 대한 경고성경은 시기를 단순한 감정의 사안으로 다루지 않는다. 영혼의 균열, 곧 사랑이 부재한 자리에서 피어나는 내면의 어둠으로 본다. 사도 바울과 베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5 file
    Read More
  6.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여우와 신포도: 시기 9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9)   어느날 여우는 나뭇가지에 잘 익은 포도가 매달려 있는 것을 침을 삼켰다. 포도를 따려고 뛰어올랐으나 손에 닿지 않앗다. “조금 더 높이 오르면 포도를 딸 수 있을 거야” 하고 시도...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9 file
    Read More
  7. 신데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사진=영화 '신데렐라' 스틸   신델렐라의 자기 자신 되찾기: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신데렐라』(Cinderella)는 부당한 학대와 시련 속에서도 주인공 신데렐라가 고난을 이겨내고 초자연적인 원조자의 도움을 받아 결국에...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4 file
    Read More
  8.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시기와 질투는 사랑을 왜곡한다: 시기 7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7)   윌리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는 인간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시기가 어떻게 사랑을 왜곡시키고, 진실을 파괴하며, 결국 자기 자신을 삼켜버리는가를...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1 file
    Read More
  9.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시기와 질투의 부메랑: 시기 5   ― 시기에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6)   인간의 마음속에는 모방의 불꽃이 있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서로를 비추며 배우고, 닮으려 하며,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아이는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고, 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8 file
    Read More
  10.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깊이 뿌리내린 은밀한 그림자: 시기심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3)     ‘시기’(猜忌, Envy)는 다른 사람이 잘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미워함이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타인’에게 초점을 맞춰서 “시기가 갖지 못한...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4 file
    Read More
  11.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철사로 꿰매진 눈: 어둠이 시기를 치유한다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 (칠거지악, 2-2)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는 이탤리 피렌체의 하늘 아래 태어나, 인간의 영혼이 하늘과 지옥 사이를 오가던 중세 말의 시인이다. 그는 단순한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5 file
    Read More
  12.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영화 아마데우스 이야기: 시기의 원천   ―시기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2-1)       영화 〈아마데우스〉(Amadeus, 1984)는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그를 질투한 궁정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의 이야기이다. ‘시기(嫉忌)’라는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5 file
    Read More
  13.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빛 안으로 걸어가는 영혼: 교만 극복의 길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6)     인간 영혼의 뜰에는 뱀처럼 은밀하고 교활한 손님이 자리 잡고 있다. 그 이름은 교만이다. 교만은 스스로를 높이려는 끊임없는 욕망이며, 눈을 가린 채 낡은 허상...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 file
    Read More
  14. 교만의 어두운 계단: 영적 우월감

        교만의 어두운 계단: 우월감  ―교만에 대한 한 편의 묵상(칠거지악, 1-5)     인간의 영혼은 깎아지른 절벽과 같아서 늘 추락의 위험을 안고 산다. 그 추락을 유혹하는 가장 달콤하고도 단단한 땅이 바로 교만이다. 권력의 비탈에서, 명예의 높은 봉우리...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6 file
    Read More
  15.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영혼을 기만하는 흐릿한 거울: 교만   교만은 자기기만의 덫이다. 교만은 단순한 자부심 과잉이 아니다. 인간 영혼의 가장 깊은 곳에 드리워진 그림자이다. 스스로를 속이고 타인과의 연결을 끊으며, 모든 선한 노력의 끝자락에서 다시 고개를 드는 뿌리 ...
    Date2025.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3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