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92a90ffe2e5bbb1600af06ca4a77170c.jpg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 

 

 

신사참배 80년 회개 및 3·1 운동 100주년을 위한 한국교회 일천만 기도대성회가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사거리에서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행사 주체는 교회가 아니라 교회협의체들이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국기독교연합한국교회총연합한국장로교총연합회세계한국인기독교총연합회 등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를 제외한 한국교회 연합기관들이 동참하여 80년 전의 신사참배의 죄를 회개했다.공동회장단이 회개를 선언했다.

 

 

대표 대회장 정서영 목사(세기총 대표회장)는 한국교회는 일제의 신사참배에 저항해 수많은 믿음의 선배들이 순교의 피를 흘렸으나 결국 무릎을 꿇는 과오를 범했고그로 인한 민족적 고난은 조국 광복 이후 참혹한 민족상잔의 비극적 전쟁으로 이어졌다고 했다.  

 

헹사 주관자들은 대한예수교장로회 제27회 총회가 일제의 강압에 마지못해 신사참배를 결의했다고 했다. 한국교회가 일제에 강압을 받아 범죄한 것은 사실이지만 신사참배우상숭배배교 행위를 일제의 강압 탓으로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어쩔 수 없이 한국교회를 지키기 위해 여러 해에 걸쳐 배교, 우상숭배, 민족배신 행위를 했다는 주장은 범죄자들의 궁색한 변명이다. 일제의 요구에 따라 한국교회 친일파 지도자들의 솔선수범에 따라 백귀난행(百鬼亂行)을 저질렀기 때문이다

 

일제치하의 한국교회는 기독교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을 저질렀다. 교회가 우상숭배신사참배를 행하기로 결정하고 신사참배 곧 우상숭배 권유운동을 전개했다. 우상숭배를 행하지 않는 신자들의 교인 자격을 박탈했다. 나아가 마르시온주의 이상으로 신학과 교리를 바꾸는 등 배교행위를 했다. 강과 바다에서 일본신의 이름으로 침례(미소기바라이)를 받았다. 예배 중 일왕에게 충성을 다짐하는 우미유가바를 합창했고사람으로 강림한 신 일왕을 향하여 동방요배를 했다교회 지도자들은 솔선수범하여 성지순례(일본)를 했고전범자들을 신으로 모시는’ 신사들에서 민족배신의 우상숭배를 했고, 교회당을 팔아 일제의 전쟁비용으로 바쳤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계명을 어긴 죄를 범하거나 변절, 훼절한 정도가 아니었다. 배교를 했다일제에 아부하여 출세하고 기득권을 선점하려는 친일파 교회 지도자들을 따라 자진하여 배교, 우상숭배, 전쟁미화에 적극성을 보였다. 교회당 종과 철문을 뜯어 일제의 전쟁무기용으로 바쳤다. 교회는 성경을 편집하여 유대교적 요소를 제거했다. 여호와 하나님보다 천조대신이 더 높은 신이라고 고백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만왕의 왕 내 주께서 왜 고초당했나" 등 찬송을 부르지 못하게 했다. 일제가 요구하지 않은 성지순례(일본)까지 자청하여 했다.

 

광화문에서 열린 이번 참회 집회가 신사참배 80년에 대한 단순한 회개를 넘어 한국교회 안에 체질화 되어 있는 친일파 잔재들을 제거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교회 정치권력에 매달리는 교회교(Churchanity) 의식진리성이 아니라 힘의 논리로 교회의 역사를 판단하는 교회사 기술과 평가광복 후 벌을 받아야 할 자들이 스스로 재판석에 앉자 자신들에게 용서를 선언한 해괴한 작태, 신앙승리자들을 교회에서 제거한 교권주의 횡포와 교회를 분열시킨 죄 등을 구체적으로 참회하고 청산하기 바란다.

 

장신대와 총신대 졸업생들에게 묻는다여러분은 장신대 또는 총신대 몇 회 졸업생인가평양의 장로회신학교 졸업생 차수를 연결시켜 계산하는 것은 역사날조이다. 여러분의 졸업생 차수는 수치스런 자기 정체성이다. 장신대와 총신대의 설립을 1948년 이전으로 계산함은 신사참배 사건과 관련된 수치스런 과거사 잔재이다. 한신대학교의 설립목적과 이사장 차수 등 역사날조도 부끄러운 친일 잔재이다. 신사참배 죄 참회와 신사참배 사건의 연장인 역사날조를 바로잡은 것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를 지적해도 그 공동체들의 구성원들은 무감각한 반응을 보인다.

 

교회는 신사참배-우상숭배의 죄 참회는  치리회의 질서에 따라야 한다. 한국교회는 치리회적 질서에 따라 참회한 적이 없다. 교회가 저지를 범죄를 연합회가 참회한 것을 범주착각의 오류이다. 배교우상숭배, 민족배신, 전쟁협조 등 폭력적인 과거사에 대한 참회는 교회가 범죄한 일이며, 따라서 교회의 권징조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우상숭배와 배교에 해당하는 과거의 범죄는 교회의 취소결정’이나 참회고백문 발표로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의 사안이 아니다. 참회와 과거사 청산은 연합대성회나 에큐메니칼 단체들의 과제가 아니다. 조직 교회의 과제이다.

 

참회와 참회고백은 항상 고귀하고 거룩한 일이다. 그러나 이번 연합회의 참회행사로 교회들이 저지른 우상숭배와 민족배신의 죄가 청산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교회론을 무시한 그릇된 발상이다. 한국교회는 지금이라도 교회의 규례와 치리회의 절차에 따라 구체적인 참회를 할 필요가 있다.

 

교회의 연장인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에 온존하는 역사날조는 신사참배과 관련된 참회부재와 친일행각의 상징이다. 친일파 전통은 한국교회의 여러 영역에 고착되어 있다. 오랜 세월을 반성 없이 지내오는 동안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한국교회의 기질, 친일파 의식, 힘의 논리, 교권주의, 친일파 시각으로 기술된 교회사, 역사호도, 역사날조 등에 나타난다.

 

이번 교회연합회들의 참회 행사로 신사참배의 죄에 대한 교회의 참회 의무가 끝난 것은 아니다. 교회의 참회, 치리규례에 따른 정확한 참회를 재촉한다. 교회연합회는 참회고백의 주체가 아니다. 주체는 우상숭배를 결의하고 솔선수범한 교회이다. 교회의 치리 규칙에 따른 참회고백이 필요하다. 이번 행사는 온존하는 친일파 역사의 청산, 친일파 전통의 단절, 교회의 거룩성 회복을 재촉한다. 이 주제들은 최덕성 <한국교회 친일파전통>(2000)이 상론한다.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는 무대응, 무시로 넘겨버릴 사안이 이니다. 이를 지적하는 역사가(필자)가 죽는 날을 기다릴 사안도 아니다. 정당성을 입증하든지, 지적을 받아들여 역사교정을 하는 것이 교회가 양심의 교사다운 권위를 가질 수 있는 길이다. 교회사 교수들의 용기와 분발을 기대한다. 이 학교들의 역사날조는 한국교회 전체의 치명적인 수치이다. 청산되지 않은 일제잔재, 친일파 전통, 우상숭배 관습이 한국교회라는 혈관 안에 연연히 흘러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 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빨치산이 민간인 학살 피해자로 둔갑하다

        빨치산이 민간인 학살 피해자로 둔갑하다   원제: "국군과 싸우다 숨진 빨치산, 민간인 학살 피해자로 둔갑", 진실화해위원회 결정 8건이 오류로 드러나     대한민국의 진실화해위원회(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제1기 위원회(진실화해위·200...
    Date2024.07.12 Byreformanda Reply0 Views1182 file
    Read More
  2. 유신진화론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유신진화론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무릇 신학을 하는 학도들은 자신들이 철학을 하고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하오. 이 단순한 원리를 모르는 사람들은 신학을 오뉴월 염천에 녹아 늘어진 엿가락처럼 만들어 놓곤 하지요.   1.   물론 내가 여기서 말하는 신...
    Date2024.06.06 Byreformanda Reply1 Views881 file
    Read More
  3. 신학계열 대학들, 유신진화론을 배격하다

      lunar eclipse.     신학계열 대학들, 유신진화론을 배격하다     로마가톨릭교회는 유신진화론(Theistic Evolution)을 받아들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창조와 진화론이 대립되지 않는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셨고, 인간이 진화하면서 사명을 완수...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655 file
    Read More
  4. 부활 후 40일

        부활 후 40일     지난 주간 우리는 부활주일을 경축했다. 예수님의 지상 공생애는 예수님의 십자가 죽으심과 부활 사건으로 막을 내린 것이 아니다. 부활하신 후 주님께서는 이 세상에서 40일간 더 계시면서 복음 사역을 계속하셨다.     복음서를 종합...
    Date2024.04.06 Byreformanda Reply0 Views1377 file
    Read More
  5. 성경의 블레셋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성경의 블레셋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성경에 나오는 블레셋 사람들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동일 혈족인가?     성경이 언급하는 블레셋 사람들과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다. 역사적인 변화와 다양한 영향들로...
    Date2024.01.07 Byreformanda Reply0 Views1815 file
    Read More
  6. 한국감리교회, 동성애옹호자를 출교하다

        한국감리교회, 동성애옹호자를 출교하다   2023년 12월 8일 기독교대한감리회가 이동환 목사에 대한 출교 징계로 파문을 일으켰다. 그 이유는 LGBTQ 권리 운동과 동성애 옹호에 대한 그의 개입이었다. 그는 LGBTQ 문화 축제에서 축복식을 거행했다. 출교...
    Date2023.12.24 Byreformanda Reply0 Views731 file
    Read More
  7. [설교] 진노하는 하나님 손 안에 있는 죄인들

        진노하는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죄인들/ 조나단 에드워즈     [교회사에 등장하는 유명한 설교문이다.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가 1741년 7월 8일 코네티컷의 앤필드에서 행한 설교문이다. 원고를 간추려 정리한 것이다.]   진노하는 하나님의 손 안에 떨어...
    Date2023.11.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09 file
    Read More
  8. 팔레스타인을 위해서도 기도해야 하는가?

        팔레스타인을 위해서도 기도해야 하는가?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으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대규모 공습으로 보복전에 들어갔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난민촌과 학교, 병원 등 민간인 밀집지역에 무차별 폭격으로 많은 민간인과 심...
    Date2023.11.06 Byreformanda Reply0 Views498 file
    Read More
  9. 교회를 선택하려고 하는가?

        교회를 선택하려고 하는가?   새로운 지역에 이사를 가거나 다른 나라에 이민을 가면 신앙생활을 할 교회를 찾게 마련이다.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교회들이 있다. 교회의 선택은 영적 삶에 매우 중요하다. 영혼이 죽을 수도 있고, 삶이 풍요로워질 수도...
    Date2023.10.27 Byreformanda Reply0 Views727 file
    Read More
  10. 바티칸은 여성 사제 안수를 할 것인가?

          바티칸은 여성 사제 안수를 할 것인가?     교황 프란치스코는 로마가톨릭 교계의 대표적인 논쟁거리인 여성 사제 서품을 반대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2023년 10월 24일(현지시간) 교황은 이날 출간된 신간에서 교회 내 여성의 역할과 관련허여 여성 사...
    Date2023.10.26 Byreformanda Reply0 Views461 file
    Read More
  11. 유엔 사무총장 구테흐스는 사퇴하라

    유엔사무총장, 그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구테흐스는 사퇴하라     국가연합(유엔)에 파견된 이스라엘 대사 길라드 에르단 씨는 현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오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씨에게 총장직을 사임할 것을 촉구했다. 구테흐스가 이스라엘에 대한 ...
    Date2023.10.25 Byreformanda Reply0 Views437
    Read More
  12. 하나님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도 사랑한다

          하나님은 팔레스타인 사람들도 사랑한다     기독교시온주의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테러공격의 규모와 고통은 전례 없는 수준이다. 홀로코스트 사건 이후 유대인에 대한 최악의 학살이다. 어린 자녀가 보는 앞에서 부모를 ...
    Date2023.10.13 Byreformanda Reply0 Views804 file
    Read More
  13. 덕(德)이란 무엇인가?

      덕(德)이란 무엇인가? [편집자 설명: <리포르만다> 운영자 이름의 뜻은 "최고의 덕(德)을 이루라"입니다. 이 이름을 선물한 부친은 동양인, 한국인입니다. 덕이 무엇이라고 이해했기에 이와 같은 이름을 지어주었을까요? 고경태 박사가 <형람서원>에 게시한...
    Date2023.10.06 Byreformanda Reply0 Views1299 file
    Read More
  14. 성직과 성 정체성

        성직과 성 정체성   원제: 기장 제7문서 vs 합동 신학정체성 선언문     올해(2023) 장로교 총회는 역사적 두개의 문서를 통과시켰다.     먼저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총회는 제7문서를 조건부 수정 통과시켰다. 이것은 이른바 동성애 문서다. 또 총회...
    Date2023.09.22 Byreformanda Reply0 Views496 file
    Read More
  15.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인가

      프랑크푸르트암마인대학교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인가?   프랑크푸르트학파(Frankfurter Schule)는 1930년대 이후 등장한 프랑크푸르트암마인대학교의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일어난 신 마르크스주의 사회이론가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기 프랑...
    Date2023.09.19 Byreformanda Reply0 Views132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