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르만다

서울교회당들.jpg




어느 목사의 성화론적 구원론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수학한 것으로 추정되는 A 목사의 구원 강의의 핵심은 성화론적 구원론입니다. ‘칭의론적 구원론과 성화론적 구원론을 구분하고 대립시키면서 전자는 틀렸고후자가 옳다고 합니다기독인의 거룩한 삶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믿음으로 구원받으나 믿음의 증표 곧 열매성품의 변화행위삶으로 드러내야 한다고 합니다결과적으로 이신칭의 구원을 부정하며, ‘행위구원으로 귀결됩니다아래와 같은 심각한 교리 오류와 위험을 담고 있습니다.

 

1. A 목사의 성화론적 구원론은 로마가톨릭교회의 구원론 곧 의화론(義化論: doctrine of justification, 1547)과 동일합니다. “천국에 가 봐야 안다,” “누가 구원받는가 하는 것은 하나님만 아신다,” “함부로 구원을 받았다고 말하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천국에 도달할 때까지는 구원을 받는다는 확신을 가질 수 없고가져서도 안 되고천국 심판대 앞에 가 봐야 구원을 받는지 확실하게 알 수 있다고 합니다로마가톨릭교회는 아무도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없고가져서도 안 되고심판대 서는 순간까지 행위실천성품열매로 의로운 변화를 가져야 하고만약 대죄를 지어 구원을 상실하면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하고 죄를 보속(補贖)하여 구원을 회복하거나 연옥에서 단련을 받아야 상실한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2. ‘성화론적 구원론은 이신칭의 진리를 불완전한 것으로 간주하고나아가 기독인의 구원의 탈락 가능성을 말합니다. A 목사는 구원은 믿음으로 받지만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다끝까지 가 봐야 한다고 합니다비행기비행기 표미국 도착을 비유로 등장시키면서 표를 가지고 있어도 미국에 도착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사고땅콩회항기타 이유로 그곳에 도착하지 못하고 중도에 탈락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3. A 목사는 성화론적 구원론을 강조하면서 갈라디아서 5:22-23의 성령의 9가지 곧 사랑희락화평자비오래 참음충성온유절제를 믿음의 열매라고 합니다이 열매들 곧 성화를 구원과 직결시키고 구원의 조건으로 삼습니다. ‘성화론적 구원론이라는 표현 그 자체가 행위-성화와 구원을 연결시키고 있습니다.

 

4. 기독인이 믿음의 열매를 맺으려고 노력해야 하는 것은 마땅합니다그러나 이 같은 조건으로 구원받을 수 있는 사람은 이 땅에 아무도 없습니다완전한 성결성화열매행위실천성령의 9가지 열매로 구원받을 자는 없습니다인간은 거룩한 하나님의 구원의 눈높이에 이를 수 없습니다전적으로 타락부패했기 때문입니다기독인은 하나님의 법정에서 의인이라고 선언받은 자이지만 실제로는 죄인입니다의인인 동시에 죄인입니다하나님의 구원과 은혜의 위대성(amazing grace)은 이 같은 죄인을 무조적으로 사랑하고 구원한 사실에 있습니다.

 

5. ‘성화론적 구원론은 칭의와 성화를 동일한 것으로 보는 전제를 가지고 있습니다칭의와 성화를 동의어로 보는 유보적 칭의론자 김세윤과 로마가톨릭교회의 의화론(칭의론)과 같습니다. A 목사는 종교개혁 신학자 칼빈과 루터가 성화론적 구원론을 펼쳤다고 주장합니다종교개혁 신학자들은 성화와 칭의가 연결되어 있고불가분의 관계이며성화가 기독인에게 필수적이라고 가르쳤지만이 두 가지를 구분합니다성화가 구원의 조건이라고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6. ‘성화론적 구원론은 결국 구원이 인간의 실천행위열매 곧 성화에 달려 있다고 주장입니다이를 약분(約分맞줄임)하면 행위구원론입니다. A 목사는 믿음으로 구원을 받지만이라고 말하면서도 성화론적 구원론이 옳다고 합니다믿음 구원은 행위 구원 구도의 들러리 또는 수식어에 지나지 않습니다.

 

7. A 목사는 미국행 비행기 티켓과 미국 도착의 차이를 비유로 들면서 티켓을 가지는 것과 미국에 도착하는 것은 구분하면서 성화론적 구원론을 설명합니다이는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 또는 예약 칭의론’(reservational sanctification)과 똑 같습니다고급 식당에 예약을 했지만내가 그 식당에 가지 않으면 음식을 먹을 수 없는 것처럼하나님이 칭의를 주셨지만 우리 자신이 행위-실천-열매로 믿음을 보이지지 않으면 또는 믿음을 실천으로 완성시키지 않으면 구원을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8. 하나님의 나라에는 비행기나 식당이 없습니다천국 입성에는 비행기 표나 예약이 필요하지 않습니다성화론적 구원론유보적 칭의론예약 칭의론의화론은 하나님의 나라의 시공간을 초월하는 특징을 인간의 구도에 집어넣어 설명함으로써 하나님의 완전성과 전능성을 간과합니다하나님의 온전하고 절대적인 칭의를 비행기와 식당이라는 인간의 경험 구도에 집어넣어 창조주 하나님의 능력과 완전성을 격하시키고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을 왜곡시키고 은혜의 위대성을 인간 차원에 제한시킵니다.

 

9. 칭의는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입니다구원도 마찬가지입니다하나님은 완전한 분입니다하나님의 칭의도 완전합니다하나님의 선물인 구원과 칭의는 판사의 법정 선언처럼 확실합니다취소되거나 반복되지 않습니다.

 

10. “천국백성답게 똑 바로 살겠습니다고 고백하고 실천하라는 가르침은 바람직합니다그런데 목사는 믿음의 증표를 강조하다가 하나님의 나라에 도달해 봐야 구원받는지 알 수 있고그 때까지는 구원받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인간의 행위를 구원의 조건으로 천명합니다이는 하나님의 거룩성과 그러한 하나님 앞에 선 우리 자신이 참으로 부정한 존재라는 사실을 간파하지 못하게 합니다거룩한 하나님의 구원 눈높이에 인간이 자력 행위로 도달할 수 있다는 결과에 도달합니다.

 

11. ‘성화론적 구원론은 복음전도를 방해합니다이 구도로는 하나님의 놀라운 구원의 복음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구원받은 확신을 가진 예수 그리스도의 군사다운 성경적 실천을 방해합니다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 얼마나 위대하며죄인에게 베푼 창조주 하나님의 은혜가 얼마나 놀라운가를 알지 못하게 합니다구원받은 확신에 찬 기독인의 삶과 복음전도 활동을 위축시킵니다.

 

12.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을 때 우리의 이름이 하늘의 생명책에 기록됩니다예수를 입으로 진정으로 시인하고 영접하고 주로 고백할 때 우리의 과거와 현재의 죄원죄와 자범죄를 용서받습니다이 때 미래의 죄를 용서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확보됩니다장래에 이루어질 종말론적 사건-구원이 현재로 앞당겨져 이미 완성되었습니다하나님의 인간 구원은 현재완료형 사건입니다.

 

13. 개혁신앙의 선배들은 믿는 자의 종국적 구원을 성도의 견인이라는 용어로 강조했습니다구원에 필요한 믿음은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의 선물입니다하나님은 구원하기로 작정한 자들을 부르시고믿음을 선물로 주시고중생시키시고무죄선언 곧 의롭다고 칭하시고양자로 삼으시고그리스도와 연합 곧 접붙임 되게 하며하나님의 나라 호적에 입적시킵니다그리고 영원한 생명에 이르는 순간까지 우리를 신앙을 붙잡아 주십니다하나님이 완전한 분이듯이 하나님의 구원도 완전합니다진정한 기독인의 구원의 상실 가능성은 없습니다.

 

14. 성경에는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다 천국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행위로 구원을 이루라,” “한 번 비침을 받고 타락한 자” 등 마치 진정한 크리스천도 바르게 살지 않으면 구원을 받을 수 없으며구원에서 탈락되는 것처럼 생각되게 하는 구절들이 있습니다위대한 설교자들도 이런 뉘앙스의 설교를 하기도 했습니다그러나 문맥의 전후를 따져 살펴보면이 성경 구절들은 구원론 진술이 아닙니다기독인다운 실천을 강조하는 수사적 가르침들입니다.

 

15. 기독인다운 열매가 없는 크리스천은 구원받지 못합니다형식상 또는 명목상의 즉 이름뿐인 기독인이며실제로는 기독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형식적명목상의 크리스천은 하나님의 은혜구원영생과 무관합니다행위-실천-열매가 없는 크리스천은 기독인이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처음부터 하나님과 무관하며구원받은 신분이 아닐 수 있습니다이러한 사람은 복음진리로 타인을 구원받게 하고도 정작 자신은 구원받지 못합니다.

 

16. 형식적 또는 명목상의 크리스천들에게는 예수를 진심으로 믿고 회개하고 구원을 받으라고 설교함이 마땅합니다믿는 자다운 실천이 부실한 크리스천에게는 기독인다운 열매를 맺으라고 가르칠 필요가 있습니다칭의와 성화는 불가분의 관계이며구분되지만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개혁신학은 성화를 강조합니다기독인다운 행위와 실천은 구원받는 자의 책무이고 성령의 도움으로 맺어지는 열매이기 때문입니다.

 

17. ‘성화론적 구원론은 모순투성이 논리에 근거합니다. ‘이신칭의 교리를 부정하는 이신행칭의(以信行稱義교리입니다결과적으로 행위구원에 도달합니다성경적이지 않고 합리적이지 않습니다복음전도에 방해됩니다로마가톨릭교회의 의화론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과 같습니다종교개혁신학의 구원론칼빈주의성도의 견인론에 불일치합니다이신칭의 교리의 위협을 받던 고신교단의 2019년 총회가 받아들인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내용과 상충됩니다도르트총회(1618-1619)의 관점에서 보면 이단사상입니다.

 

최덕성 목사 (현 브니엘신학교 총장교의학 교수)

 

<저작권자  리포르만다무단 전재-재배포-출처 밝히지 않는 인용 금지>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조안나 2019.12.08 18:57
    A 목사라고 하면, 누구인지 모르지 않습니까.
    본명을 밝혀서 더 이상의 미혹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reformanda 2020.03.27 11:06

    조안나 님, 위 글은 부산 지역의 예장고신에 속한 어느 큰 교회 목사(저의 제자)가 2019년 봄에 저에게 분석을 의뢰한 것에 대한 답변입니다. 의뢰자가 이름을 밝히지 않으므로 저도 누구인지 모릅니다. 아마도 그 교회에 교역자로 봉사하다가 이 주제로 교회를 떠난 분의 주장 같습니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은 젊은 목회자로 추정됩니다.


  1. notice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리포르만다>가 펼치는 ‘사도행전 30장 운동’(ACTS 30 MOVEMENT)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은혜로 주어진 구원에 감격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기쁜 소식 전파에 전력하는 생명(zoe) 운동이다.  사도 바울은 "나는 복...
    Date2020.03.27 Byreformanda Reply0 Views2086 file
    read more
  2. 박영식 교수의 지속창조론(유신진화론)과 종교다자중심주의

        박영식 교수의 지속창조론(유신진화론)과 종교다자중심주의   원제: <박영식 교수의 저작물에 대한 신학검증위원회 보고서>에 대한 의견   박영식(교양교육원),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2022년 1월 18일 화요일, <신학검증위원회 보고서 송부 및 의견 ...
    Date2024.04.05 Byreformanda Reply4 Views1757 file
    Read More
  3. 제4차 로잔대회 서울 2024를 한국대회를 환영하면서

    WCC 제11차 총회 (2022)   제4차 로잔대회 서울 2024를 한국대회를 환영하면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므로 하나님께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도다....
    Date2023.12.14 Byreformanda Reply0 Views389 file
    Read More
  4. 이근삼 신학, 김영한 교수, 크투의 기사 옮김(연구자료용)

      이근삼의 개혁주의적 문화신학(1) 아브라함 카이퍼의 신칼빈주의적 문화신학 수용     [김영한 칼럼] 고신대 신학거장으로 개혁신학의 초석을 놓은 이근삼 박사 출생 백주년을 기념하며 SHAREMore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샬롬나비 상임대표, 숭...
    Date2023.11.10 Byreformanda Reply0 Views234
    Read More
  5. No Image

    감신대 모 총장 후보자의 정견발표

      감신대 총장 후보자의 정견발표    장성배 감신대 교수   이날 정견발표에서 기호 1번 장성배 감신대 교수는 “사명을 다하는 감신대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 신학교의 존재 이유는 교회와 세상을 살리는 신학을 정립하는 것”이라며 “감신대 교육 범위를 학부...
    Date2023.11.10 Byreformanda Reply0 Views248
    Read More
  6. No Image

    이정기 총장에게 바란다/ 이성구,코닷에서 옮김

        이정기 총장에게 바란다/ 이성구   (코람데오닷컴의 글, 고신대 연구용으로 옮김)   고려학원 이사회는 두 차례 공모 끝에 단독 후보임에도 두 차례나 투표하여 어렵게 신임 고신대 총장을 선출하였습니다. 총장 선임 절차 전후로 끊임없이 악성 문자로 총...
    Date2023.11.09 Byreformanda Reply0 Views271
    Read More
  7. Belgic Confession

          Belgic Confession   Background The Belgic Confession, written in 1561, owes its origin to the need for a clear and comprehensive statement of Reformed faith during the time of the Spanish inquisition in the Lowlands. Guido de Brès, its...
    Date2023.10.27 Byreformanda Reply0 Views280 file
    Read More
  8. 벨직 신앙고백서 (1561)

      벨직 신앙고백서 (1561) (The Belgic Confession)     제1조 유일하신 하나님에 관하여     우리 모두는 단일 본질이시며 영적 존재이신 유일하신 한 분 하나님만 계신다고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고백합니다. 그분은 영원하시고, 파악될 수 없으시고, 보이...
    Date2023.10.27 Byreformanda Reply0 Views243 file
    Read More
  9. 주자십회(珠子十悔)

        주자십회(珠子十悔)   주자 선생의 열 가지 후회에 대한 가르침     不孝父母死後悔(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 뉘우친다. 不親家族疎後悔(부친가족소후회) 가족에게 친절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少不勤學老後悔(...
    Date2023.10.02 Byreformanda Reply0 Views492 file
    Read More
  10. 심리효과 130가지, 심리학 용어

        심리효과 130가지, 심리학 용어     1.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
    Date2023.09.25 Byreformanda Reply0 Views13304 file
    Read More
  11. 고신대는 난파선인가?

          지금의 고신교단의 상황은 난파 직전이 맞다.     지난 9월 9일자 ‘난파 직전의 고신호(號)의 새 선장 후보는 과연 누구인가?’ 기사가 무려 2,500여 조회 수를 기록할 만큼 폭발적인 반응이 있었다. 그리고 상당한 찬반 댓글이 올려진 것만 봐도 이 기...
    Date2023.09.23 Byreformanda Reply0 Views437 file
    Read More
  12. 복음병원 연구자료/ 이성구

        복음병원 연구자료/ 이성구 목사   부산 최초의 구호병원   복음병원은 모두가 잘 아는 대로 본래 구호병원으로 출발하였다. 영도 남항동 한 귀퉁이에서 전영찬 선생의 헌신으로 복음진료소로 시작한 복음병원은 장기려박사라는 출중한 인물이 가세하면서...
    Date2023.09.20 Byreformanda Reply0 Views363 file
    Read More
  13. No Image

    고신총회: 항존직분자 봉사 연령 유예

      고신총회: 교회의 항존직분자의 봉사기간 유예 가능성   장로, 집사(집사) 항존직은 최대 3년 유예 가능, 목사는 현행대로 70세 은퇴   예장 고신교단 총회(2023) 신학위원회는 ‘목사, 장로 정년 연장의 건’과 ‘항존직 정년 연장에 대한 연구 검토 청원 건’...
    Date2023.09.20 Byreformanda Reply0 Views306
    Read More
  14. 정의철의 고신 총회 문건 능동적 순종에 대한 비판

          정의철의 고신 총회 문건 능동적 순종에 대한 비판     원제: 2023년 총회, 합동을 고신 같이 되게 할 수도 개혁신학 교단으로 남게 할 수도     최근 <도르트신조> 라틴어 본을 한국어로 번역하신 어떤 원로 신학자는 칼빈주의 선조들이 도르트신조를 ...
    Date2023.09.18 Byreformanda Reply0 Views255 file
    Read More
  15. [건강] 발아현미, 쌀의 위대한 진화

              발아현미, 쌀의 위대한 진화     항산화 식품은 노화를 촉진하고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몸속 활성산소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젊음과 건강을 원한다면 백미도 현미도 아닌 발아현미에 주목하자.         ■ 발아현미란 무엇인가?     맛으로 보면 ...
    Date2023.09.18 Byreformanda Reply0 Views197 file
    Read More
  16. 바울과 칼빈이 본 칭의와 성화

        바울과 칼빈이 본 칭의와 성화     개혁주의 교의학은 구원론에 이르러 그 절정에 도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삼위 하나님의 속성과 경륜과 은혜에 대한 계시는 인간을 구원하시는 그의 사역을 통하여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며, 구원론은 바로 ...
    Date2023.09.17 Byreformanda Reply0 Views61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