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이철 목사는 이단인가?

 

예장합동 3차 총회실행위원회 회의에서 총신비상사태와 관련한 정이철의 신학사상 문제점 분석과 평가를 작성해서 발표했다(17-33). 보고서 작성에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조직신학주경신학선교신학실천신학 교수 7분이 참여했다

 

그런데 이 글을 비평하려고 글을 보는 순간 패닉에 빠져 버렸다그것은 첫 어휘가 총신대 김영우 총장은~라는 문장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첫째총신비상사태와 관련한 정이철의 신학사상 문제점 분석과 평가에서 주된 표적은 정이철이다

 

그런데 왜 총신비상사태에 정이철의 신학사상이 연결되는지 연관 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주된 표적은 김영우와 칼 매킨타이어이고두 사람이 잘못되었으니 이 사람과 연관된 정이철의 사상이 문제가 있다는 프레임으로 보아야 한다

 

칼 매킨타이어는 정이철과 전혀 관계없이 도출시킨 것이다그리고 박영돈이 표적으로 등장한다바른 개혁신학자 박영돈의 방언과 성령 이해를 비판했으니 정이철이 문제가 있다는 식이다부정적인 표적과 긍정적인 표적을 세워 정이철의 사상을 규정하는 이상한 방식을 구성했다

 

이러한 방식은 탐구 전에 이미 결론을 100% 확정하고 전개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문장 구성에서 감정까지 여과 없이  드러낸 것이다그렇기 때문에 글은 약 20여 쪽으로 풍성하지만 사상 비평에서 논리 연관성이 약하다

 

둘째개혁신학은 한 신학 계통의 라인을 갖고 있지 않다정이철은 과도한 경향 때문에 비평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그것은 신학 전문 교수들이 비평하지 않아도 이미 다수가 인지한 수준이다그렇기 때문에 이단성이 있다는 신학 보고서는 오히려 비판자들도 이상하게 여길 것이다그리고 자기 해석과 다르기 때문에 정이철의 사상에 문제가 있다고 규정하는 것도 정이철과 동일한 오류를 반복하는 수준이다

 

개혁신학의 스펙트럼을 넓게 잡고 활동하는 사역자와 좁게 잡는 사역자가 있을 뿐이다정이철은 그 스펙트럼을 작의적이고 협소하게 규정하고자의적인 해석으로 오해될 여지가 많다그것은 신학 연구를 진행하는 골방 학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와 판단에서 협소한 태도가 용인할 수도 있다그러나 신학교 교수들은 세계적으로 공인된 연구자로 광의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인데한 해석을 취하지 않으니 사상에 문제가 있다고 단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거나 대상자와 동일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방언 이해는 해석에 대해서 다양성이 있다연구자가 한 해석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고어떤 한 해석을 맹종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정이철이 주장하는 방언은 아주사 부흥 운동이 거짓이라는 것이고그 부흥운동의 표적인 방언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보고서에는 그것에 대해서 제시하지 않았다

 

정말 정이철의 신학 사상에 문제를 제기하려면 아주사 부흥 운동이 바른 성령 운동이고방언도 진짜 였다고 말한다면 정이철과 이해 대척점이 될 것이다아주사 부흥 운동에서 방언은 기도가 아니었고복음 전도를 위한 수단으로 여겼다

 

방언으로 복음 전도할 수 있었다고 본 것이고신사도주의에서 방언으로 설교하는 경우도 있다은사중지에 대해서는 정이철과 박영돈의 큰 대척점은 벤자민 워필드리차드 개핀이었다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보고서 작성자는 벤자민 워필드와 리차드 개핀의 사상을 거부할 것인지 말한다면 정이철과 대척점이 될 것이다.  

 

기적은사 중지론은 기적 중지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기적이 구원에 기여하는 것영적 유익을 주지 않은 것을 주장한 것이다생활에서 기적을 체험하는 그리스도인이 기적을 어떻게 부인할 수 있겠는가그 기적이 구원에 유익이 없는 사안이라고 자기부정 하는 훈련이다그런 분별이 없다면 기적은사 중지론에 대한 토론을 중지해야 한다

 

보고서에서 스프라울이 방언으로 기도했다고 개혁신학의 전형으로 평가했다그렇다면 워필드프레임리차드 캐핀칼빈(제네바교회 교리문답 247등이 방언을 금지하면 개혁신학에서 이단아가 되겠는가

 

넷째자기 해석을 과도하게 주장한 것이 무례(無禮)를 말할 수 있다무례와 사상의 오류를 구분해야 한다

 

방언을 개혁신학자가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정이철의 주장이고또한 개혁신학 안에서 방언이 가능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방언이 개혁신학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에 신학 사상에 문제가 있다고 규정하는 것이 오히려 위험하다

 

좀 더 엄격한 신학 태도를 용인해야 하고더 개방적인 신학 태도에 경종을 주어야 신학을 보호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개방에 힘을 주면 개혁신학은 더 빠르게 해체될 것이다.

 

다섯째보고서에서는 상당히 독단적인 주장을 담고 있다

 

소결론에서 방언을 인정하면 풍성한 성령 이해이고방언을 부정하면 분리주의라고 규정한 것이다그리고 상대방을 정죄하면 이단이라는 식으로 규정했다

 

해석의 다양성이 확증되지 않을 때에는 피차에 주의가 필요하다정이철은 신학대학원 교수께 수학한 후진(後進)이다무례한 후진을 훈계하는 선진(先進)의 태도가 어떠해야 할까

 

여섯째종합정리에서는 앞부분과 전혀 관계가 없이 총신 사태로 이야기를 전개한다그리고 칼 매킨타이어의 신근본주의의 분리주의와 연결한다

 

아쉬운 것은 매킨타이어의 분리주의로 한국 교회 분열 원인으로 제시한 것이다한국 교회는 WCC 문제로 분열했고WCC를 용공으로 규정하고 반대하는 합동 측을 도운 매킨타이어를 분리주의로 규정한 것은 교단 분열의 책임이 합동 교단에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근본주의라는 ICCC와 단절이어도 매킨타이어에게 받은 재정 지원까지 반환하지는 않았을 것이다그리고 정이철이 분리를 주장한 경우는 없다고 생각한다오류를 지적한 것이 분리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그릇된 오류 인지로 과도한 비판은 있을 수 있지만 분리를 주장하지는 않았다.  

 

일곱째정이철이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고 한다허위사실 유포는 사상 문제의 범주가 아니다

 

그리고 허위사실 부분에서는 정이철의 문서 자료가 등장하는데정작 중요한 사상 문제에서는 정이철의 문장이 중요하게 제기되지 않는다허위사실 유포는 사상이 아닌 윤리 혹은 명예적인 분야에서 검증해야 할 분양이다

 

이러한 문제는 총신 사태에 대한 보도 내용과도 동일한 기준이다정이철이 허위사실을 유포했는지 유무(有無)나 총신 사태에 대한 편향된 보도의 유무는 사상 검증과 전혀 관련 없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들이 제시한 정이철의 사상은 다음과 같다

 

1) 방언은 개혁신학 범주에 포함시키면 안 된다2) 사도행전의 방언과 고린도교회의 방언은 동일하다3) 은사 중지론이 개혁신학의 바른 이해이다

 

이 사상이 이단적 사상으로 규정할 수 있을까인간적으로 편협무례독단편향적 성향 때문에 이단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부당하다

 

정이철 목사는 총신대학교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합동 교단의 목사이다어떤 때는 교단 목사이기 때문에 타 교단의 이단 비판에서 우호적으로 보호하고어떤 때는 외부의 고소도 없는데 스스로 교단 소속 목사를 이단으로 정죄하는 패턴도 이해하기 어렵다

 

고경태 목사광주 주님의교회조직신학(Ph.D.)

 

<크리스천포커스> (2018.4.25.)

?
  • ?
    Sin 2023.01.12 12:43
    정이철은 뇌가 썩은 사람으로 이단중에 이단이다
  • ?
    하나님의 자녀 2024.04.25 05:24
    인간아 네 놈의 뇌는 어떠나?
  • ?
    ㅇㅇ 2023.11.07 01:49
    정이철 특 = 본인 빼고 다 이단

  1. [매일묵상 46] 하나님의 임재 앞에 섬에 대하여

        하나님의 임재 앞에 섬에 대하여     주여, 나는 비록 먼지와 재에 지나지 않으나 주님께 말씀드립니다. 주님이 옆에 계심에도 나 자신을 스스로 높인다면 나의 죄를 숨길 수 없습니다. 그것을 부정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스스로를 겸손히 제어하...
    Date2023.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338 file
    Read More
  2. [매일묵상 45] 은밀한 헌신에 대하여

        은밀한 헌신에 대하여     나의 자녀야, 헌신은 은밀하게 하라. 은밀한 헌신은 더없이 좋은 일이다. 스스로를 높이지 말라. 헌신을 자주 입에 담지 말라. 헌신의 수준 때문에 강박관념에 시달리지도 말라. 낮은 자세를 취하라. 하늘의 은총이 자신에게는 ...
    Date2023.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317 file
    Read More
  3. [매일묵상 44] 완전한 사랑 실천에 대하여

        완전한 사랑 실천에 대하여     주님: 사랑하는 영혼아, 너는 아직도 진정으로 사랑의 사람이 아니다.     나: 오, 주여! 어째서 그렇습니까? 내가 옳지 못한 말을 하거나 행동한 적이 있습니까?     주님: 사소한 어려움에 직면하기만 하면 포기하기 때...
    Date2023.07.29 Byreformanda Reply0 Views332 file
    Read More
  4. [매일묵상 43]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에 대하여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에 대하여     나: 하늘에 계신 아버지, 나의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나와 같은 피조물을 생각하시는 하나님을 찬송합니다. 자비로우신 아버지시며, 모든 위로의 하나님, 나는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나를 사랑하시는 거룩한 주 ...
    Date2023.07.27 Byreformanda Reply0 Views381 file
    Read More
  5. [매일묵상 42] 진실하고 겸손한 삶에 대하여

        진실하고 겸손한 삶에 대하여     주님: 나의 자녀야, 내 앞에서 정직하게 살아라. 언제나 순수한 마음으로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악에서 보호받고 속이거나 부당하게 험담을 늘어놓는 사람이 사라질 것이다. 진리가 자유하게 하면 진정으로 자유롭게 되...
    Date2023.07.27 Byreformanda Reply0 Views307 file
    Read More
  6. [매일묵상 41] 말씀을 듣고 신뢰함에 대하여

        말씀을 듣고 신뢰함에 대하여     주님:  나의 자녀야, 내 말을 들으라. 철학자와 현자들의 모든 지식을 능가하는 유익한 말을 들으라. 내 말은 영이고 생명이다.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은 영이요 생명이라”(요 6...
    Date2023.07.27 Byreformanda Reply0 Views271 file
    Read More
  7. [매일묵상 40] 말씀을 듣고 순종함에 대하여

        말씀을 듣고 순종함에 대하여     주님이여, 말씀하소서! 주의 종이 듣고 있습니다. 나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을 깨닫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주님의 교훈이 이슬처럼 맺히게 하소서.     오래 전에 히브리인들은 모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Date2023.07.27 Byreformanda Reply0 Views390 file
    Read More
  8. [매일묵상 39] 신실한 자에게 주시는 말씀에 대하여

      지구를 찍은 최초의 사진/ 1968 아폴로 8호   신실한 자에게 주시는 말씀에 대하여     주 하나님이 내게 이르시는 말씀에 나는 귀 기울일 것이다. 주님의 말씀을 청종하고, 그분이 주시는 위로의 말씀을 받는 사람은 복 있다. 하나님의 속삭임을 듣고 세상...
    Date2023.07.27 Byreformanda Reply0 Views312 file
    Read More
  9. [매일묵상 38] 십자가의 왕도에 대하여

        십자가의 왕도에 대하여     적지 않은 사람이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마 16:24)는 말씀을 어려워한다. 그들은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을 지고 주님을 따르는 것이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영영한 불에...
    Date2023.07.26 Byreformanda Reply0 Views325 file
    Read More
  10. [매일묵상 37] 십자가를 사랑함에 대하여

      십자가를 사랑함에 대하여     예수님의 하늘나라를 사랑하는 사람은 많지만 십자가를 지는 사람은 드물다. 많은 사람이 위로를 원하지만 소수의 사람들만이 고난을 소망할 뿐이다. 많은 사람이 예수님의 식탁에 함께 앉고자 하지만 많지 않은 자들만이 금...
    Date2023.07.26 Byreformanda Reply0 Views319 file
    Read More
  11. [매일묵상 36] 은총에 감사함에 대하여

      은총에 감사함에 대하여     사람은 일하도록 태어났다. 사람이 어찌하여 일하지 않기를 구한단 말인가? “사람은 고생을 위하여 났으니 불꽃이 위로 날아가는 것 같으니라”(욥 5:7). 정상적인 사람은 위로을 받기보다는 인내를, 즐거움보다는 십자가를 ...
    Date2023.07.24 Byreformanda Reply0 Views304 file
    Read More
  12. [매일묵상 35] 진정한 위로 찾기에 대하여

        진정한 위로 찾기에 대하여     사람의 위로를 무시하기는 어렵다. 사람의 위로 없이 살아갈 수 있음은 대단하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마음의 유배생활을 기쁘게 자발적으로 감수함도 대단한 일이다. 자신을 위하여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음은 더욱 대...
    Date2023.07.24 Byreformanda Reply0 Views389 file
    Read More
  13. [매일묵상 34] 예수와의 친밀한 교제에 대하여

          예수와의 친밀한 교제에 대하여     예수님이 우리와 함께하시면 모든 일이 잘 되고 이기지 못할 것이 전혀 없다. 반대로 예수님이 우리를 떠나시면 모든 일이 힘겨워진다.     예수님이 내면 깊은 곳에서 우리에게 말씀하시지 않으면 어떤 위로도 의미...
    Date2023.07.24 Byreformanda Reply0 Views348 file
    Read More
  14. [매일묵상 33] 예수를 사랑함에 대하여

        현대 법인류학적 분석과 컴퓨터 합성으로 재현한 예수의 얼굴 (출처: Wikipedia)     예수를 사랑함에 대하여     행복은 예수님을 사랑하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자신을 낮추는 법을 아는 사람에게 찾아온다. 예수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은 다른 모든 사랑...
    Date2023.07.23 Byreformanda Reply0 Views305 file
    Read More
  15. [매일묵상 32] 투명한 양심의 즐거움에 대하여

        투명한 양심의 즐거움에 대하여     선한 사람의 영광은 투명한 양심이다. 양심을 투명하게 유지하면 행복하다. 선한 양심은 무거운 짐도 감당하게 한다. 어려움에 처할 때 용기를 준다. 자기 마음에 거리낄 것이 없으면 단잠을 잘 수 있다.     나쁜 양...
    Date2023.07.23 Byreformanda Reply0 Views28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