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9.11.21 19:57

고통보다 깊은 상처

조회 수 8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08327f0dd5945674ee99448e7427cfe.jpg

고통보다 깊은 상처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장애아들의 놀라운 천재적 재능을 소개한 적이 있다어느 아이는 악보를 보지 않고도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를 완벽하게 연주해냈다어느 아이는 천재적 화가의 재능을 발휘하기도 했다.

     

어떻게 흔히 "저능아"라고 불리는 장애아들이 어떻게 그토록 놀라운 재능을 발휘할 수 있을까의학적으로 발달장애나 자폐증 등 뇌기능 장애를 가진 이들이 그 장애와 대조되는 천재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서번트 신드롬(savant syndrome)"이라고 한다이것은 장애아들이 좌뇌에 손상을 입어 우뇌를 많이 사용하고이로 말미암아 천재적 재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모든 장애아들이 천재적 재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일까실제로 꼭 그렇지 만은 않은 것 같다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아마도 그들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상실에서 오는 결핍을 놀라운 창조적 에너지로 승화시킬 수 있느냐 아니냐의 차이일 것이다.


기술적인 의학만이 존재하던 시기에스위스의 내과의사 폴 트루니에는 의사와 환자가 인격적으로 만나야 한다는 "인격 의학"을 주장했다자신의 저서 고통보다 깊은 고통에 대한 창조적 반응과 온전한 성숙에서 이렇게 주장한다. "고통이나 상실 자체는 우리에게 저주도 축복도 아닌 중립적인 것이다다만 그 고통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삶은 창조적으로 혹은 파괴적으로 나아간다."


트루니에가 이 책에서 인용하고 있는 제네바의 의사 렌취니크 박사는 세계사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정치가들은 대부분 고아이거나 결손 가정에서 자라났음을 밝히고 있다알렉산더 대왕에서부터 카이사르조지 워싱턴링컨나폴레옹히틀러 등 300여 명에 이르는 거물들이 어린 시절 심각한 상실감과 좌절감으로 고통을 받았다이들은 자신들의 겪은 고통에 대한 반대급부로 권력을 추구했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자 앙드레 에이날은 여기서 더 나아가 "상실(deprivat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고아"는 우리가 직면하게 되는 수많은 상실 중의 하나일 뿐이다역사적으로 위대한 정치가종교 지도자철학자과학자작가예술가들 중에는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고 다양한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사실로 볼 때이들은 상실에서 오는 고통을 창조적 에너지로 승화시켰음을 말해준다고 설명한다에이날의 말대로라면결국 우리에게 주어지는 모든 상실과 고통은 우리 자신 안에 내재된 창조성을 캐내기 위한 특별한 기회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실과 고통을 창조적 에너지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무엇보다 먼저 자신에게 주어진 고통과 상실을 수용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고통에 대해 분노를 분출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분노는 더 완전한 수용으로 나아가는 단계이다이 과정에서 우리는 단순히 고통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고통 안으로 들어가 그것을 뚫고 나갈 수 있다.


"어느 날 갑자기 퇴직을 맞게 된 사람은 커다란 상실감에 직면한다그리고 퇴직과 함께소득명예지위그밖에 수반되는 모든 사회적 관계도 잃게 된다배우자를 잃는 것 혹은 그와 비슷한 비참한 사별사고나 심각한 질병실패나 배신... 그 때부터 삶은 더 이상 예전과 같지 않을 것이다그러나 이런 시련 앞에서 체념하고 있으면 안 된다삶의 새로운 단계를 직접 건설해야 한다. "고통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완전히 참여하는 것이자 현 순간을 회피하지 않고 살아 내는 것이다그것은 가치관의 변화새로운 영감의 추구를 함축하고 있다."


다음으로 필요한 것은 용기이다용기는 용기 있는 사람들을 접촉할 때 되살아난다우리는 나보다 더 큰 상실과 고통을 가진 사람이 보여주는 용기를 존경한다용기는 가르쳐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전염되는 것이다.


"우리는 심각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놀라운 기쁨을 볼 때 그 기쁨이 전염되는 것을 느낀다버스 안에서 목격하는 건강한 사람들의 침울한 분위기와 대비되는 그 기쁨그것은 그들의 삶이 끊임없이 용기를 소모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용기는 그들의 마음에 스며들어 기쁨을 발산한다그것은 운명에 승리한 기쁨이다단 하루의 승리가 아니라 매일의 승리이며소유한 것에서라기보다는 고통에 맞서 용기 있게 투쟁한 데서 나오는 기쁨이다시련의 시기에 왜 용기가 필요한가그것은 절망하기보다 용감하게 맞설 때 고통이 훨씬 덜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을 쓰는 동안 우연히 접하게 된 한 생물학지에서 자신의 통찰에 영감을 주는 단락을 발견한다. "전화선의 결함으로 잡음이 생기면 의사소통이 방해를 받아 상대방이 말한 내용을 알아듣기 힘든 것처럼생명체라는 자동기계 장치에도 DNA 정보 전달 과정에서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며 이 인자들은 "잡음인자(noise)"로 불린다유전자들이 보내는 유전 암호는 주체가 일생 동안 경험하는 어떠한 변화과정에도 영향 받지 않고 그대로 보전되나 잡음은 이러한 불변의 과정에 우발적 변화를 가져온다해부학적생리학적심리학적 분화 과정에서 환상적인 진보를 보여주는 필요충분적인 열쇠는 잡음즉 암호 복제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 일련의 우발적 오류다잡음은 정보 전달 과정에 새로운 요소를 끌어들이고 그리하여 정보를 풍성하게 만든다."


정해진 유전 정보에 의한 일상성은 생명의 근원이나동시에 그것은 생명체의 독특함을 빼앗아 생명체를 화석화할 것이다그렇다면 결국 이 잡음이야말로 두꺼운 일상성의 껍질을 깨고 풍요로운 정보를 통해 인간과 세상을 더욱 다양하고 다채롭게 만들어 주는 요소가 되는 것이 아닌가여기서 저자는 이 잡음과 상실 사이의 놀라운 유사성을 간파한다죽음사고질병실패사랑의 슬픔신체장애노화이러한 상실은 잡음이 정보를 파괴할 때처럼 우리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그렇다면 상실의 딜레마즉 상실은 파괴인가 창조인가결국 창조를 일으키는 것은 잡음 자체가 아니라 잡음에 대한 주체의 반응이다. 

  

우리 역시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잡음에 대해 창조적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우리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어 나갈 수 있다유전 암호 전달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으로 인해 장애를 안게 된 아이가 주체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창조적 재능을 발휘하듯이 말이다.


<Early Morning from Boston 글>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1. 유관순과 김만덕

      유관순 (옥에서 찍은 사진을 현대기술로 편집한 그림)   유관순과 김만덕   1. 유관순   대한민국 최고액 화폐의 주인공은 사임당 신 씨가 아니라 유관순, 조수옥, 이금순, 정순말이 적합하다. 한 사람 더 꼽으라면 기녀 출신 조선 여인 김만덕(1739-1812)이...
    Date2022.09.12 Byreformanda Reply0 Views924 file
    Read More
  2. 신사임당의 등극

        신사임당의 등극   대한민국 최고액 지폐 오만 원 권을 접할 때마다 나는 과연 '신사임당'이 대한민국 최고액 지폐의 주인공으로 적합한 인물인가 하는 의문이 앞선다. 아들 하나 잘 키웠다는 이유로 한 나라 최고액 지폐의 주인공 ‘등극'시키는 것은 석...
    Date2022.09.12 Byreformanda Reply0 Views1786 file
    Read More
  3. 세월호 침몰의 진짜 원인은 밝혀졌는가?

      국민일보 그림   세월호 침몰의 진짜 원인은 밝혀 졌는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의 침몰과 꽃 같은 젊은이들을 포함한 299명이 사망했다. 참으로 안타깝고 슬픈 사건이었다. 최근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보고한 시간 등을 사후 조작한...
    Date2022.07.22 Byreformanda Reply0 Views723 file
    Read More
  4. 아, 어찌 우리 잊으랴 6.25

          아, 어찌 우리 잊으랴 6.25     한국동란, 한국전쟁 곧 6.25 전쟁이 일어난지도 72년이 됐다. 1950년 6월25일 주일 새벽 4시에 북한은 공산주의 종주국인 소련과 중공을 끌어들여 불법으로 기습 남침했다.     북한은 지금도 “한반도에서 외세를 몰아내...
    Date2022.06.27 Byreformanda Reply0 Views729 file
    Read More
  5. 욥기의 신비 다시 읽기

        욥기의 신비 다시 읽기   역사가 칼라일은 “욥기는 인간의 펜으로 쓰인 것 중에 가장 위대한 작품”이라고 말했다. 신학자들은 욥기를 고금 전체의 “최고의 시편”이라고 칭한다. 그 정도로 욥기 안에는 기독교의 구원 교리가 절묘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래...
    Date2022.06.17 Byreformanda Reply0 Views866 file
    Read More
  6. 대힉총장의 연령

        대힉총장의 연령   최근 모 대학교 이사회는 신임 총장을 선출하면서 지원자의 퇴임 시의 정년 연령을 70세로 제한하는 기존의 규정을 따랐다. 이 제한 정책은 학생 지원자가 많고 위기가 전혀 없는 시절에 만든 것이다. 사립대학교의 총장 후보자에 대한...
    Date2022.06.11 Byreformanda Reply0 Views924 file
    Read More
  7. 미국 총기문화의 비극

      ▲뉴욕의 유엔본부 건물 앞에 있는 분쟁 없는 세계를 상징하는 조형물 ‘매듭 묶은 총’. /사진=UN 페이스북   미국 총기문화의 비극   며칠 전 텍사스 주 유벨디라는 시골 초등학교에서 끔찍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 21명의 어린이들과 2명의 교사가 아까운...
    Date2022.05.29 Byreformanda Reply0 Views516 file
    Read More
  8. '어머니', 가장 아름다운 이름

        '어머니', 가장 아름다운 이름 황현조 박사 미 동부에는 긴 겨울이 가고 이제 새 봄이 왔다. 신록의 계절 5월은 가정의 달이요 둘째 주일은 어머니주일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름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곧 “어머니”라는 이름일 것이다. ...
    Date2022.05.06 Byreformanda Reply0 Views664 file
    Read More
  9. 이재명은 링컨을 생각나게 한다

          이재명은 에이브라함 링컨을 생각나게 한다/ 김세윤     주: 아래의 글은 신학자 김세윤 박사가 모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특정 후보를 공개 지지한 영상을 인공지능이 녹취한 것이다. 영상 출처: 유튜브, 양희삼TV- 카타콤/ 목동TV, "이재명의 삶이 ...
    Date2022.03.09 Byreformanda Reply3 Views2071 file
    Read More
  10. 낮잠

        낮잠   일제 시대에 신사참배 반대운동으로 옥고까지 치른 고 한부선(Bruce Hunter) 선교사의 아버지 역시 선교사였는데 그가 임종하기 직전 아들을 부르더니 꺼져 가는 목소리로 이렇게 귓속말을 하더란다. "아들아, 종종 낮잠을 자도록 해라" 평생을 선...
    Date2022.02.21 Byreformanda Reply0 Views447 file
    Read More
  11. 황산기행기

          황산기행기     나는 중국에 머무는 16년 동안 나름대로 유명한 중국의 명소들을 방문해봤다. 때로는 재중 한인교회 연합회의 공적인 행사로, 때로는 아예 마음먹고 중국의 명소를 섭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봤다. 그 목록을 열거하자면 장가계 2회, 서...
    Date2022.02.15 Byreformanda Reply0 Views498 file
    Read More
  12. 유유미션: 신학강의공급선교

        유유미션: 신학강의공급선교   유유미션(University Ubiquitous Mission)은 신학강의공급선교를 하는 비영리 선교 단체이다. 아래의 글은 어느 언론사의 기사에서 아래와 같은 온라인 장점과 단점들을 메모한 것이다.   팬데믹이 우리 일상의 모든 영역에...
    Date2022.01.15 Byreformanda Reply0 Views390 file
    Read More
  13. 메타버스 신학교육

        메타버스 신학교육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히 11:1).   신발 회사 아디다스와 나이키가 경쟁을 해 왔다. 근래에 나이키가 아디다스를 10배 정도 앞질렀다. 근년에 아이다스는 60조 원을 벌지만, 나이키는 200조 원...
    Date2021.12.20 Byreformanda Reply0 Views442 file
    Read More
  14. 마리안 앤더슨

        마리안 앤더슨     미국인 마리안 앤더슨(Marian Anderson; 1897~1993)은 세계 최초의 흑인 오페라 가수이자 미국의 위대한 여자 성악가 중 한 사람입니다.   1955년 미국, 쉰 살이 넘은 나이에 흑인 가수로는 처음 메트로폴리탄에서 영감(靈感)있는 노래...
    Date2021.12.03 Byreformanda Reply0 Views1399 file
    Read More
  15. 방언과 공수

    방언과 공수   아래은 어느 무속인이 쓴 것으로 무속인 초연의 글이다. 오늘날의 방언, 방언기도와 무속인이 접신상태에서 하는 공수를 견주어 설명한다. 이 무속인은 기독교의 방언이 접신상태에서 일어나는 신탁 곧 공수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말한다...
    Date2021.07.02 Byreformanda Reply0 Views95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