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산책

동서로마제국 지도 111.jpg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서로마는 476년에 멸망했다. 반면 동로마는 천 년 가까이 더 존속하며, 헬레니즘과 로마의 문명, 기독교 신학, 제국 관료제와 법제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러나 르네상스와 계몽주의를 거치며, 유럽은 동로마를 로마 문명의 중심에서 배제했다. 그들은 동로마를 퇴폐적이고 비이성적인 제국으로 묘사하고, 오히려 단명했던 서로마를 고전 문명의 정수로 이상화했다.

 

이러한 시선은 의도된 역사 왜곡이며, 문명과 역사에 대한 기획된 재편이었다. 근대 유럽은 자신이 계승하고자 하는 유산을 라틴어, 로마법, 공화정 이미지에 국한하고, 동로마의 그리스어 문화와 정교 전통, 황제권 중심 체제를 이질적이고 타락한 것으로 매도했다.

라틴 제국은 두 겹의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세운 서유럽 귀족들의 괴뢰국가다. 공식 명칭은 Imperium Romaniae, 로마니아 제국이었으며, 자신들이 로마의 정통 계승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나라는 1261년 동로마 복원 세력에 의해 무너진 허울뿐인 로마였다.

 

다른 하나는, 근대 유럽 지성사가 로마를 오직 라틴어를 사용하는 서방 문명으로 한정 지은 인식의 구조다. 이로 인해 동로마는 라틴 로마가 아닌 로마라는 점을 구실로 삼아 문명사에서 주변부로 밀어냈다. , 동로마는 그리스어, 동방정교, 황제 중심 정치라는 세 가지 요소 때문에 유럽 문명의 정통 후계자에서 의도적으로 제외된 것이다.

 

800, 교황 레오 3세는 샤를마뉴에게 로마 황제의 관을 씌웠다. 이는 명백히 동로마 황제를 무시하고 로마 제국의 계승성을 재편한 정치적 선언이었다. 이 조작은 훗날 962년 신성로마제국 성립으로 이어졌다.

 

신성로마제국은 로마 제국의 실질적 계보, 법제, 문화, 행정, 언어와 아무런 직접적 연속성을 갖지 않았다. 그러나 교황권과 서유럽 귀족사회는 이를 정통한 로마의 부활로 포장했다. 이로써 동로마는 오히려 가짜 로마’, ‘이질적 제국으로 전락했다.

 

이런 역사 서술은 실체보다 이미지, 정통성보다 이념이 우선한 기획된 서사였다. 요컨대, 신성로마제국이 서유럽 로마 계승자로 인정받은 것은 허울뿐인 명분이었다. 이는 정치 권력과 종교 권위가 만들어낸 의도적 허위이며, 동로마의 실제 유산을 지우는 문명적 삭제 행위였다.

 

오죽했으면 볼테르(Voltaire), "이 나라는 신성하지도, 로마적이지도, 제국도 아니다."라고 단언했겠는가? 그는 신성로마제국이 명목상 황제를 두었으나 실제로는 분열된 봉건제 국가들의 집합체에 불과했고, 로마의 법과 전통과는 거리가 멀며, ‘신성이라는 표현도 교황과의 갈등을 고려하면 어울리지 않는 위선적 명칭이라고 비꼰 것이다.

 

그들에게 동로마는 왜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는가? 동로마는 수백 년에 걸쳐 이민족의 침입, 종교 갈등, 경제 위기, 지정학적 압박을 견디며 변형과 재구성을 반복한 고도의 생존 국가였다. 동로마는 사산 왕조와 7세기까지 끊임없이 충돌하며, 이슬람 제국이 등장하기 직전까지 유프라테스 일대의 균형을 유지했다.

 

또한 발칸반도 일대에 슬라브족이 대규모로 이주하면서 동로마는 반복된 침공, 정착, 융합을 경험했다. 그러나 제국은 이를 억제하기보다 군사 식민제도, 지방행정개편, 종교 교화 전략으로 대응하며 사회 구조를 유지했다.

 

동로마는 단순히 장기 존속한 로마가 아니라 여러 문명의 압축적 실험실이었다. 그리고 바로 그것이 근대 유럽 지식인들에게는 불편한 존재였다. 자신들이 설계한 직선적 진보서사와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기번(Edward Gibbon)로마 제국 쇠망사(1788)에서 동로마를 비겁하고 미신적인 관료국가”, “성상 숭배에 중독된 정교 제국으로 기술했다. 그는 유스티니아누스의 업적조차 조롱했고, 천 년에 걸친 정치적 생존과 문화적 복잡성을 쇠락의 시간으로 호도해 버렸다.

 

이러한 시선은 근대 유럽이 자신의 정체성을 계몽, 이성, 시민, 공화, 라틴이라는 코드로 구성하면서, 그에 반하는 동방 문명을 타자화한 결과였다. , 동로마의 삭제는 근대 유럽인의 정체성 구성을 위한 정치적 필요에 따른 사관의 편향이었다.

 

서로마는 게르만 장군의 허수아비 정권으로 전락한 후 역사에서 퇴장했다. 반면 동로마는 천년 동안 고전 문명을 계승하며 동서 교류의 중심에 있었고, 그 유산은 근대 유럽 법제, 행정조직, 종교정치 모델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그럼에도 근대 유럽은 이를 비잔티움이라는 이름으로 격하하고, ‘로마라는 정체성에서 고의로 배제했다.

 

이것은 역사적 무지가 아니라 '정치적 역사'. 유럽은 자신이 원하는 과거만을 선택했고, 그 선택 과정에서 동로마는 체계적으로 삭제되었다. 그리하여 '진짜 로마'는 망한 것이 아니라 지워진 것이다. 그리고 이 '삭제'는 누가 지웠는지, 왜 지웠는지를 묻지 않는 한 계속될 것이다.

 

서깁수 글

 


  1.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신사참배거부운동은 독립운동인가?     일제말기의 신사참배거부운동은 순전한 기독교 신앙운동인가, 항일독립운동인가? 광복 80주년 신사참배 거부운동 재조명 제4회 국회 학술세미나가 8월 21일 오후 국회 대한민국헌정회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최덕성 ...
    Date2025.08.22 Byreformanda Reply0 Views44 file
    Read More
  2.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와 개신교인   중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선교사는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34)이다. 영국인 모리슨은 1807년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소속으로 중국 광저우에 도착하여 27년간 선교 활...
    Date2025.08.10 Byreformanda Reply0 Views169 file
    Read More
  3.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The King’s Gallery, Edinburgh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눈물   원제:  예배당에 미술관 간판이 걸리게 된 사연   Scotland 수도 Edinburgh에는 군사 요충지 역할을 하던 에든버러성이 있고 거기에서부터 동쪽으로 1마일 거리에 스코틀랜드 왕실의 공식 거처...
    Date2025.08.08 Byreformanda Reply0 Views86 file
    Read More
  4.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김재준, 배교를 역사의식 행동이라 변명하다   원제: 김재준의 신사참배 합리화와 기독교장로회의 자기 서사     김재준은 신사참배를 “역사 윤리적 참여”로 해석하면서 주기철 목사의 순교는 “계율적 고집”이었다고 비판했다. 순교한 이는 “지나친 계율...
    Date2025.07.25 Byreformanda Reply0 Views252 file
    Read More
  5.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유럽인의 동로마 제국에 대한 왜곡 시선   서로마는 476년에 멸망했다. 반면 동로마는 천 년 가까이 더 존속하며, 헬레니즘과 로마의 문명, 기독교 신학, 제국 관료제와 법제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러나 르네상스와 계몽주의를 거치며, 유럽은 동로마...
    Date2025.07.15 Byreformanda Reply0 Views296 file
    Read More
  6.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고 김경재 박사(좌)와 김영한 교수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김경재 박사(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가 2025년 5월 3일에 향년 85로 세상을 떠났다. 35년 동안 신론 등을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   종교다원주의자 김경재가 남긴 가장 유명한 말은 “유일...
    Date2025.05.15 Byreformanda Reply0 Views627 file
    Read More
  7.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만장일치 판결은 무효이다     현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만장일치 결정하려 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국론분열을 막기 위해 만장일치 결정이 좋다는 이야기이다. 일부 언론들이 그런 분위기를 부채질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 헌법재판소...
    Date2025.03.05 Byreformanda Reply0 Views969 file
    Read More
  8.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박형룡의 개혁파 정통신학     죽산 박형룡 박사(1897-1978)는 개혁파 정통신학(Reformed Orthodoxy)을 보급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1 그가 꽃다발처럼 엮어 한국교회에 소개한 신학은 오늘날에도 한국장로교회 신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한국기독교 전...
    Date2025.01.05 Byreformanda Reply0 Views492 file
    Read More
  9.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한강, 은혜의 강물에 발이라도 적셨더라면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조카에게 공개편지를 보낸 뒤의 소회   조카 한강 작가에게 보낸 공개편지로 소란스럽고 분주한 두 주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잠잠해져서 잠깐 소회를 나누고 싶습니다. 편지가 ...
    Date2024.11.29 Byreformanda Reply0 Views646 file
    Read More
  10.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한강: 문학에는 구원이 없댜   원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에게 보내는 삼촌의 편지     [편집자 주: 아래의 글은 한충원 목사의 페이스북 글(2024년 11월 2일)이다. 한강의 삼촌(작은 아버지) 한충원은 현재 대전에서 목회를 하는 목사이다. 침례...
    Date2024.11.11 Byreformanda Reply0 Views1095 file
    Read More
  11.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일제시대의 한국인의 국가와 국적     1. '금주가'에 등장하는 '국가'     일제통치 기간의 우리의 선조들의 국가는 어느 나라인가? 근래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의 국회 청문회는 근대 한국사 인식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얼마 후 국회환경노동위...
    Date2024.09.17 Byreformanda Reply1 Views1841 file
    Read More
  12.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프린스톤신학교 교사   미북장로교회 신학논쟁: 현대주의 대 근본주의   ―교회의 생명력은 신학에 달려 있는가?―     신학은 교리논쟁에서 벗어나 다원화 사회에서 대화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아야 하는가? 신학이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할...
    Date2024.06.01 Byreformanda Reply0 Views726 file
    Read More
  13.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1차 국민공청회 기조발제문 이만열(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1. 문제제기 : 지금 시점에서 친일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해방된 지 56년, 반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세기 속으로 민족사적...
    Date2024.04.01 Byreformanda Reply0 Views631 file
    Read More
  14. 고려신학대학원 졸업생 명댠 (1947-2011)

          고려신학대학원 졸업생 명댠 (1947-2011)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은 1946년에 고려신학교로 출발했다. 아래는 1947-2011 졸업생 명단이다. 출옥성도들 중심으로 부산에서 시작한 고려신학대학원은 1998년 가을학기부터 천안 교정에서 목사후보생...
    Date2024.03.15 Byreformanda Reply0 Views1554 file
    Read More
  15. 이승만과 양민학살사건

        이승만과 양민학살사건     다큐멘타리 영화 ‘건국전쟁’의 흥행과 함께 역사전쟁이 한창이다. 그 동안 폄훼되어 온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晚, Syngman Rhee, 1875-1965)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그의 공이 칭송되고 있다. 이승만기념관이 만들...
    Date2024.03.01 Byreformanda Reply0 Views110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