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르만다

 

2b5a6e3eac7d620e7d0bfaba22e61adb.jpg

 

김세윤, 칭의론을 또 바꾸다

 

김세윤 박사(전 풀러신학교 교수)"유보적 칭의론"을 주창하다가 비판을 받자 "예약 칭의론"이라고 바꾸었다.  식당 예약(reservation)을 하는 것 같이, 구원이 칭의로 예약되었으나 우리 자신이 그 예약을 무시하고 식당에 가지 않으면 식사를 할 수 없는 것과 같이 칭의로 그와 같다고 했다.

 

김세윤은 최근에 또다시 칭의론을 바꾼 책을 펴냈다. <칭의와 하나님의 나라>(서울: 두란노, 2020)이다. 부제는 "김세윤의 박사의 바른 칭의론"이다.  '바른'이라는 표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과거에 출판한 <칭의와 성화>가 바르지 않으므로 그것을 고쳐 바른 칭의론을 출간한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국교회의 이신칭의 교리가 틀렸고 자신의 칭의론이 바른 칭의론이란 것을 의미하는 지는 확실하지 않다. 추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박영돈 박사(전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는 위 책을 읽고 아래와 같이 자신이 간파한 요점들을 간단히 적어 페이스북에 올렸다.  전체 공개로 게재한 글을 옮겨 게재하는 것이니 <리포르만다> 아카이브에 수록함을 박영돈 교수가 양해해 주시리라 기대한다. 아래와 같다.

 

김세윤 박사의 <칭의와 하나님 나라> 라는 새 책이 나왔다. 전에 그가 쓴 <칭의와 성화>와 비교해서 달라진 점들이 엿보인다.

 

1. 칭의가 종말까지 유보된다는 그의 주장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받은 후라서 그런지 유보라는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판에 대응하여 자신의 입장을 상당히 다듬은 것 같다.

 

2. <칭의와 성화>에서는 칭의와 성화가 같은 패턴으로 진행될 뿐 아니라 거의 같은 의미라고 보았는데 새 책에서는 칭의와 성화가 함께 병행된다고 보지만 둘을 의미상 동일시하는 것 같지 않다.

 

3. 종말 때의 칭의는 꼭 성화의 열매에 근거하여 의롭다함을 얻는다고 보지 않는다. 비록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는데 실패했어도 예수님의 중보로만 의롭다함을 얻음을 인정한다(140).

 

4. 김 박사가 주장하는 행위대로 심판받는다는 것은 우리 자신의 선한 행위들(공로)을 통해 우리의 칭의를 얻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심판에 대한 말씀은 오직 믿음, 오직 은혜로만의 칭의론에 굳게 서서 죄에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경고하며 의로운 삶을 살도록 독려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141).

 

5. 김박사는 새 관점의 대표주자인 제임스 던과도 거리를 둔다. 바울의 칭의론은 이방인과 유대인 간의 사회문화적인 갈등이 야기되는 선교적인 상황에서 그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등장한 교리라는 던의 주장을 배격하고 칭의론은 바울이 원래 확신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6. 김박사는 새 관점을 꽃피게 한 톰 라이트와도 선을 긋는다. 2성전기 유대인들이 바벨론 포로기가 계속되고 있다고 믿었다는 라이트의 주장도 점검해보아야 한다고 했다(175). 더 나아가 톰 라이트가 칭의를 법정적인 의미로만 이해하고 관계적인 측면을 간과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김박사가 가장 아쉽게 생각하는 점은 톰 라이트가 칭의론을 아브라함과의 언약 성취라는 맥락에서 해석한 나머지 그보다 더 큰 틀인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적인 칭의를 아브라함의 언약 가족의 구성원이 되는 것으로 보고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 그 통치를 받는 백성으로 이해하지 못함으로 칭의를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의로운 삶과 긴밀하게 연결하지 못했다는 것이다(174-183).

 

그럼에도 김박사의 견해가 여전히 전통적인 칭의론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1. 칭의를 무죄선언이라는 법정적인 의미로만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 회복, 즉 하나님의 통치 아래로 들어감이라는 관계적인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점이다. 개혁신학에서는 칭의를 법정적인 의미로만 이해한다. 칭의는 무죄선언일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의롭다는 선언이라고 본다. 죄만 사해진 윤리적인 중립상태를 의롭다고 볼 수는 없지 않는가. 칭의가 단순히 무죄선언이 아니라 적극적인 의롭다함의 선언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로움의 전가를 전제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성경신학자들처럼 김 박사도 전통적인 전가 개념이 성경적인 근거가 희박한 교리적인 비약으로 보는 것 같다(물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으니 단정할 수는 없다). 김 박사가 오래 전에 쓴 구원이라는 책에서는 전통적인 전가 개념을 그대로 따라서 하나님이 예수님이 순종하신 것을 마치 우리가 순종한 것으로 여겨주신다고 했는데 더 이상 그런 입장을 견지하지 않는 것 같다.

 

2. 개혁신학에서는 김 박사가 칭의의 한 요소로 본 것, 즉 죄와 사망의 권세에서 해방되어 예수의 빛의 왕국으로 옮겨짐을 결정적인 성화(근본적인 성화)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죄의 속박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통치 아래로 들어갔기에 거룩한 삶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이 성화와 칭의는 동시적이고 하나로 연합되어있다. 다만 그 특성상 논리적으로 구별해서 이해할 뿐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신자는 법적으로 의롭다함을 받는 동시에 결정적으로 죄의 속박에서 해방되어 하나님 나라로 옮겨졌다. 근본적인 성화라는 개념은 점진적인 성화의 확실한 바탕을 제공하는 동시에 칭의가 거룩한 삶을 부정하는 교리로 전락하는 것을 막아준다.

 

3. 김박사의 책에서 논리적으로 해명되어야 할 의문들이 많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그는 종말 때의 칭의는 세례 때 받은 칭의의 확인이라고 말한다. 그 점에서는 전통적인 입장과 차이가 없다. 그런데 그는 바로 이어서 그것은 칭의의 현재 과정의 완성이라고 한다(141). 김박사는 이제 유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지만 칭의를 계속 현재적인 과정으로 말한다. 그가 성화처럼 칭의도 발전 과정을 통해 완성됨을 뜻하는가. 꼭 그런 것 같지는 않다. 김 박사는 무죄선언과 하나님의 통치 아래 있음의 상태를 견지함을 뜻하는 듯 한데 명확한 설명은 없다. 이와 맞물린 의문은 칭의와 성화는 같이 병행된다는데 서로 어떤 유기적인 관계 속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없다.

 

4. 김 박사는 칭의론이 그리스도인의 의로운 삶과 분리되는 것을 우려해서 칭의를 무죄선언이라는 법정적인 의미로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 아래로 옮겨짐이라는 관계적인 개념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개혁신학에서도 칭의를 법정적인 의미로 이해하지만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실제적인 갱신을 의미하는 다양한 구원개념을 강조한다. 구원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바탕 위에서 중생과 회심, 칭의와 양자됨, 성화, 견인과 영화가 한데 연결된 것으로 본다. 이렇게 구원의 여러 가지 측면을 구별해서 이해하는 것은 그리스도 안의 구원의 은혜가 얼마나 부요하며 풍성한지를 드러내기 위함이다. 구원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가르쳐야 하는데 구원의 다양한 측면에서 칭의만을 달랑 떼어내어 그것이 구원의 모든 것인양 가르치기에 윤리적인 방종을 야기하는 것이다.

 

5. 성경신학과 교리(조직) 신학은 서로 협력하는 관계 속에서 발전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참 아쉽다. 조직신학자들은 성경 신학의 연구결과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교리화 작업을 해야 한다. 성경신학자들은 그들의 연구물을 최종 결론으로 고집함보다 교회의 역사적 가르침과 현교회의 상황적 맥락에서 논리적으로 숙고해야 할 여러 과제가 남아있음을 알고 조직신학이나 목회신학의 역할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6. 앞으로 구원론을 하나님 나라와 교회라는 큰 틀 속에서 구원의 다양한 측면을 한데 아우르며 구원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총괄하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가르친다면 오늘날 칭의론이 남용되는 문제를 극복하고 하나님의 아름답고 위대한 구원 사역을 더 풍성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김세윤 박사에 대한 이 글의 나(박영돈)의 평가는 단편적이고 주관적이라 많이 미흡함을 양해 바란다.

 

뱍영돈의 글, 박영돈 페이스북글 (2020.09.12).

 

 
 

저작권자  리포르만다

 

choicollege@naver.com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notice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사도행전 30장 운동이란 무엇인가? <리포르만다>가 펼치는 ‘사도행전 30장 운동’(ACTS 30 MOVEMENT)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은혜로 주어진 구원에 감격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기쁜 소식 전파에 전력하는 생명(zoe) 운동이다.  사도 바울은 "나는 복...
    Date2020.03.27 Byreformanda Reply0 Views1679 file
    read more
  2. 부활절 설교, 어떻게 해야 할까?

        부활절 설교,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교회에서 부활설교는 전통적인 관점과 현대적인 관점의 설교가 패턴을 이루어 왔다. 전통적인 부활설교는 "부활의 역사적 사실"에 초점을 둔다. 매년 부활절이면 찾아오는 레퍼토리는 "예수는 부활하셨다!"이다. 작...
    Date2021.04.04 Byreformanda Reply0 Views438 file
    Read More
  3. 교회사 속에 나타난 능동적 순종 교리

      교회사 속에 나타난 능동적 순종 교리   한국장로교신학회(회장 박용규 교수) 제36회 온라인 학술발표회가 20일, 우병훈 교수(고신대)는 ‘교회사 속에 나타난 능동적 순종 교리: 교부시대부터 종교개혁기까지 중요 인물들을 중심으로’를 제목으로 발표했다....
    Date2021.03.21 Byreformanda Reply0 Views244 file
    Read More
  4. 바람의 시작과 끝, 어느 것이 중생인가?

      손성은 목사(왼편)         바람의 시작과 끝, 어느 것이 중생인가? (1) 1. “바람이 임의로 불매 네가 그 소리는 들어도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하나니 성령으로 난 사람도 그러하니라”(요3:8). 중생의 신비에 대해서, 성령님의 중생의 사역의 ...
    Date2021.03.13 Byreformanda Reply0 Views177 file
    Read More
  5. 영상설교자의 각오

          영상설교자의 각오   영상설교자, 유튜브 채널을 이용하는 예배 방송자는 고민한다. 어떻게 하면 유튜브 예배자, 설교 시청자에게 다가갈까?   영상설교는 하나님의 말씀 전하는 공간이다. 말씀 전하는 법을 훈련하는 공간이다.   어떻게 하면 설교를 잘...
    Date2021.03.09 Byreformanda Reply0 Views75 file
    Read More
  6. 전광훈의 “서울고백서'에 대하여

            전광훈의 “서울고백서"(2019)에 대하여   아래의 글은 지난 2019년 10월 25일 서울 광화문 집회에서 발표된 '서울고백서'이다. 전광훈 목사의 신학 면모를 엿보게 하는 어설픈 일종의 '신앙고백서'이다. <크리스찬타임스>(2019.10.26.)에서 옮겨 온 것...
    Date2021.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415 file
    Read More
  7. HOW THE APOSTLES OF CHRIST DIED

        HOW THE APOSTLES and SOME DISCIPLES OF CHRIST DIED:   1. Matthew - suffered martyrdom in Ethiopia, killed by a sword wound.   2. Mark - died in Alexandria, Egypt, after being dragged by horses through the streets until he was dead.   3....
    Date2021.02.26 Byreformanda Reply0 Views18716 file
    Read More
  8. 도마복음서 (한글)

        도마복음서 전문   <도마복음서>는 초대교회를 괴롭힌 영지주의 한 그룹의 문서이다. 영지주의는 예수께서 육으로 왔음을 부정한 이단이다(요2 1:7). 영지주의는 오늘날의 자유주의 신학처럼 이원론에 근거한 하나의 사상풍조였다. 영지주의는 여러 가지 ...
    Date2021.02.26 Byreformanda Reply0 Views823 file
    Read More
  9. 능동적 순종과 관련된 문제점들

            능동적 순종과 관련된 문제점들   아래 기사는 <리폼드 뉴스>를 발췌한 것이다. 서철원 박사(전 총신학교 신학대원 조직신학교수)는 근래에 예장 합동의 한 기구가 주선한 자리에서 "능동적 순종과 관련된 문제점들"이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했다. "[흔...
    Date2021.02.23 Byreformanda Reply0 Views384 file
    Read More
  10. 김세윤이 칭의론을 또 바꾸다

        김세윤, 칭의론을 또 바꾸다   김세윤 박사(전 풀러신학교 교수)는 "유보적 칭의론"을 주창하다가 비판을 받자 "예약 칭의론"이라고 바꾸었다.  식당 예약(reservation)을 하는 것 같이, 구원이 칭의로 예약되었으나 우리 자신이 그 예약을 무시하고 식당...
    Date2020.09.16 Byreformanda Reply0 Views671 file
    Read More
  11. 개혁교회는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개혁교회는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개혁주의 전통의 교회들은 신앙고백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신앙고백서는 올바른 믿음을 고백, 고수, 확인하고 교회 안팎에서 제기된 이견들과 이단사상들을 견제하려고 작성되었다. 신앙고백서는 성경에 부속된 ...
    Date2020.09.12 Byreformanda Reply0 Views265 file
    Read More
  12. 칼빈의 제네바교리문답(1542)

    제네바아카데미, 현 제네바대학교 칼빈칼리지  칼빈의 제네바교리문답(1542) 제네바교리문답서(1542)는 종교개혁 신학자 존 칼빈(John, Calvin)이 제네바교회의 자녀들과 새 신자들의 성경 교육 목적으로 사용하던 교리문답서이다. 후대에 장로교회가 전통적...
    Date2020.07.04 Byreformanda Reply0 Views859 file
    Read More
  13. 갑바도기아 성령 이해, 김석환 박사의 글 중에서

            갑바도기아 성령 이해, 김석환 박사의 글에서   바질   위격과 실체 휘포시스타시스와 우시아. 세 위격 내의 한 실체. -> 한 실체 한에 세 위격이라는 표현이 아니라, 세 위격 안의 한 실체로 제시한다(대 바실).   김석환은 바실이 아타나시우스의 ...
    Date2020.06.16 Byreformanda Reply0 Views304 file
    Read More
  14. 보수는 진보를 이길 수 없다

    보수는 진보를 이길 수 없다 노우호 목사/ 에스라 하우스 역사는 진보를 향해 달려가는데, 보수는 무엇을 하고 있나 문재인 정부가 시작된 후 우리나라 정치인들 대부분 착각속에 살고 있는 것 같다  여당이라는 더불어 민주당과 현 정부의 사람들은 아직도 ...
    Date2020.06.14 Byreformanda Reply0 Views264 file
    Read More
  15. 예장 합신, 코로나19 사태와 목회 대응제안

    예장 합신, 코로나19 사태와 목회 대응제안  아래의 제안문은 논점일탈의 오류, 순환논리의 오류, 수구주의 정신성을 담고 있다. 우리는 코비드 19가 사라지고 오순절날부터 2019년까지 지속된 방식의 예배를 드리고 목회를 하기를 바란다. 과학자들이 절대로...
    Date2020.06.10 Byreformanda Reply0 Views104 file
    Read More
  16.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성경과 그리스도에 대한 주장

      자유주의자 신학자들의 성경과 그리스도에 대한 주장 (손오공) 우리 인류의 역사는  봉건주의,제국주의,사회주의,자본주의...등 이데올로기 투쟁의 역사로 부터 회피할 수 없다고 본다.그러나  인류에게 가장 적합한 이데올로기는 무엇인지에 대한 해답은 ...
    Date2020.05.30 Byreformanda Reply0 Views31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