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상숭배.jpeg



베이컨의 우상론 다시 읽기


당신은 당신 자신의 우상에서 자유로운가? 종족의 우상, 동굴의 우상, 시장의 우상, 극장의 우상과 무관한가? 당신은 편견, 지역감정, 언론조작, 학파, 탐욕, 질투, 시기, 군중심리, 파괴충동, 집단광기, 언론, 정치인, 힘을 가진 자들의 조작에 놀아나는 우상의 노예 또는 우상숭배자는 아닌가?

 

영국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로 유명하다. 베이컨은『새 논리학(Nouvum organum)』에서 '4가지 우상'(Idola)을 소개한다. 인간 정신-마음이 섬기는 우상들이다. 인간의 참된 지식, 인식을 방해하는 4가지 핵심적 논리적 오판, 오류, 편견을 ‘우상’으로 표현하여 비판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어느 누구도 베이컨이 말하는  '우상'에서 자유롭지 않을 듯하다.


1. 종족의 우상

 

종족의 우상(Idola tribus)은 사물과 현상을 자신에 속한 집단, 종족, 단체 등 인간의 관점에서만 보는 데서 발행하는 오판이다. 관습, 나태, 타성 탓으로 생기는 그릇됨이다. 사물을 의인화하여 이해하는 일종의 편견일 때도 있다. 예컨대 “저 새는 나의 마음을 알기라도 하듯이 구슬프게 운다”라고 하는 경우이다. 새가 내는 소리는 노래일 수도 있고, 새들 간의 의사소통의 표현일 수도 있고, 연인의 시선을 끌 목적의 애정의 호소일 수도 있다. 그런데도 종족의 우상에 포로가 된 사람은 자신의 관점에서 새가 ‘운다’라고 판단한다. 자신이 속한 민족, 국가, 정당, 학파, 파당에 속한 사람의 주장이 옳을 것이라고 미리 단정하는 편견이다.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나오겠는가” 식의 발상이다. 

 

2. 동굴의 우상

 

동굴의 우상(Idola specus)은 동굴에 갇혀 있는 사람이 자기의 눈에 들어오는 바깥 모습이 이 세상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오류이다. 자기가 알고 있는 일부분을 기준으로 삼아 전체를 판단하는 오판이다. 정신감옥에 갇힌 자는 개인적 경험을 절대시한다. 하늘 가운데 떠 있는 해가 지평선이나 수평선 위에 지한 해보다 더 멀리 있다는 식의 오판이다. ‘우물 안 개구리’라는 말이 이 범주에 해당한다.

 

3. 시장의 우상

 

시장의 우상(Idola fori)은 목소리 큰 사람의 주장을 옳다고 여기고 무비판적으로 지지하는 오류이다. 실증적 검증을 거치지 않고 진리라고 믿는 오류이다. 시장에서는 거짓말과 근거 없는 소문이 나돈다. ‘네모난 동그라미’가 존재한다고 고함을 지르면 듣는 사람은 그러한 실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 용어나 말에 상응하는 실체가 있다고 착각한다. 언론사의 시각, 주장, 판단을 참이라고 받아들이는 오류이다.


4. 극장의 우상


극장의 우상(Idola theatri) 무대에서 연출되는 연기를 사실로 받아들이는 오판이다. 조작된 무엇을 진실하다고 믿고 무조건 받아들이는 오판이다. 습관, 전통, 헛된 권위에 의지하여 어떤 것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오류이다. “텔레비전에 방영되었다” “신문에 났다”고 하면 무조건 믿고 수용한다. 극장의 우상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우상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언론의 음모이다. 영리한 자는 이를 이용한다. 조작된 정보와 음모로 인간을 의를 불의로, 불의를 의로 인식시킨다.

*

베이컨의 우상론은 지식인들로 하여금 그 시대를 지배하는 묵시적 협약에 의해서 이루어진 그릇된 것을 타파하도록 할 목적으로 쓴 것이었다. 지식인이 우상타파 사명을 성실히 수행하지 않으면 자신이 우상숭배자가 된다. 최근 필자 주변에서 일어난 기상천외한 사건을 보면서, 그리고 이에 대한 기독교 언론들의 음모성 여론몰이의 글들을 접하면서, 노예처럼 생각 없이 따라가는 대중의 반응을 보면서, 적어본다. 




  • ?
    dschoiword 2015.02.24 13:39

    홈피는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리포르만다>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침입하여 어지럽히고, 이상한 문자의 댓글이 수백개 달릴 때도 있었습니다. 애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손양원 목사는 고려신학교 총무였는가?

    양원 목사는 고려신학교 총무였는가? 이상규 교수 /고신대학교 손양원 목사(1902-1950) 순교 60주년을 맞으면서 그의 순교를 기념하는 여러 모임이 개최되고 있다. 지난 5월 14일에는 한국복음주의협의회에서 ‘용서와 화해의 순교자 순양원 목사’...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299 file
    Read More
  2. 문화와 위선

    문화와 위선 아래는 독일에서 수학하고 목회를 하고 있는 송다니엘 목사의 글이다. 저서 <산상보훈>의 일부에 실린 것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옮겼고, 다시 본지에서 게재한다. 위선이란 존재보다 외관이 무겁다는 의미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이 원래의 모...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078 file
    Read More
  3. 칼빈주의와 적십자사

    칼빈주의와 적십자사 1. 칼빈주의 기독교 칼빈주의(Calvinism)는 하나님의 절대주권(Sovereignty)을 강조하는 역사적 기독교 신학과 신앙 체계이다. 종교개혁신학자 존 칼빈(Jean Calvin, 1509-1564)의성경적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체계화 된 프로테스탄트 주...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198 file
    Read More
  4. '교인총유 ' 판례변경, 다수그룹 인정

    '교인총유 ' 판례변경, 다수그룹 인정 리포르만다 (기독교사상연구원) 제11차 학술회(2018.12.06.)가 송'상석 목사와 한국교회'라는 주제로 학술회를 모이면서, 이른바 '송상석 법' 또는 '송상석 판례'를 설명할 자료의 필요...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874 file
    Read More
  5.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성애

    감리교회의 본산지 런던 중심가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성애 감리교신학대학교의 성경해석학 동아리가 동성애 주제 강연 계획에 대하여 '무지개감신'이라는 동아리가 반발문을 공개했다. 감리교신학대학교(김진두 총장) 성소수자 인권 동아리 '무...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1 Views1215 file
    Read More
  6. 로마가톨릭교회가 진짜인 다섯 가지 이유

    로마가톨릭교회가 진짜인 다섯 가지 이유 아래는 로마가톨릭교회가 진짜 교회라고 확신하는 어느 여자 언론가의 글이다. 감리교회에서 자라서 천주교로 개종을 한 자신의 교리적인 까닭을 설명한다. 예수가 베드로와 천주교회에 준 권위, 일관된 기독교 역사,...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7685 file
    Read More
  7.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 신사참배 80년 회개 및 3·1 운동 100주년을 위한 ‘한국교회 일천만 기도대성회’가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사거리에서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행사 주체는 교회가 아니라 교회협의체들이었...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810 file
    Read More
  8. 교황 프랜치스코와 중국 공산당

    교황 프랜치스코와 중국 공산당 1517년 마틴 루터에 의해 시작된 종교개혁이 독일 전역뿐 아니라 알프스를 넘어 밀라노에까지 영향을 미치자, 그동안 루터에 대한 이단 공세와 비방선전에만 머무르던 가톨릭은 자구적인 개혁에 착수하여 스스로 뼈를 깎는 개...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881 file
    Read More
  9. 교회의 시국 선언문 (합신 총회, 제103회)

    교회의 시국 선언문 (합신 총회, 제103회) 교회는 항상 자기 시대의 과제에 충실해야 하고, 실천 가이드를 제공해야 한다. 신학자의 과제는 교회의 질문에 답을 제공하는 일이다. 이런 측면에서 예장 합신 총회(총회장 홍동필 목사)가 발표한 아래의 긴급 시...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129 file
    Read More
  10. 레바논의 참극과 코라비아 로맨스

    레바논의 참극과 코라비아 로맨스: 인도주의 앞세운 순진한 다문화주의, 썩은 동아줄 1. 기윤실의 성명 주일예배를 마치고 하버드대학 스퀘어까지 택시를 탔다. 택시운전사는 내전을 피해 미국으로 온 레바논 사람이었다. 운전사에게 “한국인들 상당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2 Views1219 file
    Read More
  11. 한반도기(韓半島旗), 석연치 않다

    한반도기(韓半島旗), 석연치 않다 한반도기(韓半島旗, Korean Unification Flag)를 보면 석연(釋然)치 않다는 생각이 든다. 흰색 바탕에 하늘 색 지도가 새겨진 이 깃발은 올림픽 등 국제 행사에서 남·북한을 상징할 목적으로 두 국가가 합의하여 만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932 file
    Read More
  12. 성장하는 미국교회도 있다

    YWAM 집회 청년들 (한국일보 사진) 성장하는 미국교회도 있다 기독교는 가난과 박해, 타락과 모순 속에서 끈질긴 생명력을 키워왔다. 소멸할 것 같은 순간에도 신앙은 예기치 못한 형태로 새롭게 꽃을 피워 왔다. 기독교가 자유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아 절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262 file
    Read More
  13. 직통계시파 목사부부

      그림: 연합뉴스, 조혜인의 합성 사진그림            직통계시파 목사부부   의정부지방법원 형사합의13부(부장판사 이영환)는 2018.6.8., 자살교사 혐의자 임 모 씨(64·여)에게 징역 5년의 형을 선고했다. 부모에 대한 자살방조범인 딸 이 모 씨(44)에게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67 file
    Read More
  14. 설교폭력

    설교폭력 (원제: 설교언어의 폭력성) 1. 설교자로 살아가면서 설교에서 상처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고통스럽다. 프란시스코 페레(Ferrer Guardia, Francisco)는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마라"고 했는데 설교로 위로와 치유, 회복은커녕 회중에게 상처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97 file
    Read More
  15. 포스트모더니즘의 너그러움

    포스트모더니즘의 너그러움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적 진리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라는 신념을 깔고 있다. 교회마다 주일학교가 줄어들고, 청년층도 눈에 띄게 줄었다. 가장 큰 이유는 사상적인 변화다. 젊은이들이 깊이 포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0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