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바르트주의 신학의 독성


신학자들의 지적을 통해 칼 바르트신학의 문제점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자. 아래의 글은 <크리스천투데이>에서 옮긴 글이다.


'바르트주의’ 긍정적 평가 있는 반면, 계시·성경관 등에 반대 입장도     

                

▲칼 바르트.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하나다. 그리고 그는 한국교회에서 또한 가장 논쟁적인 신학자이기도 하다. 모두가 알듯 칼 바르트는 ‘신정통주의’(neo-orthodoxy) 신학자로, 그는 그가 생존할 당시 득세하던, 이른바 ‘자유주의 신학’에 반기를 들고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새로운 신학 사상을 전개했다.


한 신학자는 “칼 바르트가 일반적인 자유주의 신학자였다면 아마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는 자유주의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그렇다고 정통주의도 아니다. 이 같은 그의 위치가 특히 보수적 신학계에 논란을 불러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즉, 같은 개혁주의 노선에 있으면서도 보다 온건한 이들은 ‘인간 중심’의 신학을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으로 옮겨온 칼 바르트의 신학적 업적을 인정하지만, 보수적 성향이 좀 더 강한 이들에게 칼 바르트는 여전히 자유주의적 색채를 띤, 섞일 수 없는 존재인 것이다.


공과(功過), 무엇이 더 큰가


이 같은 차이는 칼 바르트의 신학 중 예정론이나 종말론, 성경에 대한 입장 등 정통주의 해석에 반한다고 평가되는 것들을 양자가 얼마나 비중있게 생각하느냐에 따른 것이다. 온건한 이들이 이 같은 부정적 측면이 있음에도 자유주의에 경도되지 않았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그의 신학을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인 반면, 그렇지 않은 이들은 그런 오류가 너무 크고 또 그것이 신학의 ‘첫 단추’와도 같은 것이어서 신학 전반을 수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주장이다.


지난 21일 열린 한국개혁신학회-한국칼바르트학회 공동심포지엄에서 발제를 맡았던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 숭실대 명예교수)는 칼 바르트 신학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도 “칼 바르트는 한국 보수교회에서 자유주의자로 평가절하되고 있다. 이는 바르트에 대한 올바른 평가라고 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는 칼 바르트가 “자유주의를 격파하고 하나님 말씀으로 되돌아가는 신학 혁명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한국개혁신학회 회장직을 역임하기도 한 권혁승 박사(전 백석대 교수)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그대로 두었다면 당시 기독교는 완전 자유주의로 흐를 수도 있었다. 이를 칼 바르트가 막았던 것”이라며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매우 사랑했던 사람이었고, 비록 약점이 있었지만 큰 틀에서 보면 교회를 위한 신학을 했고, 교회를 살리는 신학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승구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영한 박사와 함께 참여한 공동심포지엄에서 “적어도 칼 바르트는, 자신도 그렇게 이해하고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이해하듯이, 계시관과 성경관에서 정통주의적 입장과는 다른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며 “정통주의 입장에서는 과연 칼 바르트가, 우리가 상당히 수용할 수 있는 신학을 제시한 분이라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 여전히 질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이 박사는 이와 관련,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칼바르트 신학에) 중간중간 괜찮은 것도 있지만, 계시관과 성경관은 신학의 전제 혹은 출발점과도 같은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김길성 교수(총신대 조직신학) 역시 “칼 바르트가 성경의 영감과 무오를 전적으로 부인하진 않았지만 계시와 성경을 분리, 성경이 가진 절대 권위를 희석시켰다”고 비판했다.


왜 문제인가?


그렇다면 보수, 혹은 정통주의 신학자들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적하는 칼 바르트 신학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 많은 이들이 그의 성경관과 예정 및 구원관을 문제 삼고 있다.


먼저 성경관과 관련, 칼 바르트가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감을 일정 부분 인정하고 있고, 하나님의 계시가 담긴 경전으로 성경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자유주의적 해석의 틀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것을 문제로 꼽는다. 그가 예수 그리스도에 지나치게 강조점을 둔 나머지 성경조차 어느 정도 상대화시켰다는 것이다.


구원관도 논란의 대상이다. 칼 바르트를 비판하는 이들은 흔히 그가 ‘만인구원론’ 혹은 ‘보편구원론’을 폈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영한 박사는 앞서 언급한 공동심포지엄 발제를 통해 “칼 바르트는 유기(遺棄)론을 다루기는 하나 그것을 인류를 대표하는 그리스도의 인성에 돌림으로써 죄인인 개인이 유기당하는 것을 기독론적으로 무위화시켰다”며 “이러한 바르트의 유기론 포기는 유기를 말하고 있는 성경의 계시를 신학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써, 정통주의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원예정론은 종말론에까지 영향을 주면서 만인구원론에 이르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동심포지엄 논찬자 중 하나였던 유태화 교수(백석대 신대원 교의신학)도 “칼 바르트가 성부 하나님이 인간과 화해하는 사건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지나치게 확대하는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며 “과연 성부가 단 한 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든 죄인의 죄를 심판하시고, 단 한 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든 사람을 자신의 백성으로 인양해 들이셨는가 하는 점이다. 사실상, 위르겐 몰트만이 칼 바르트가 남겨놓은 과제로써 보편화해론의 구원론적 적용을 시도했듯이, 보편구원론적인 차원으로 가지 않겠는가 싶은 것”이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칼 바르트가 ‘만인구원론’이 아닌 ‘만인화해론’을 주장했다는 반론도 있다. 공동심포지엄에서 최영 박사(기장 목회학박사원)는 “바르트에 의하면 화해와 구원은 다른 사건이다. 화해는 2천년 전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죽음, 그리고 부활을 통해 객관적으로 일어났고, 구원은 오늘 여기서 성령의 능력과 역사를 통한 인간의 주관적 수용을 통해 일어난다”고 반박했다.


한편 한국개혁신학회-한국칼바르트학회의 사상 첫 공동심포지엄은 국내 신학계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자리였다는 평가다. 이들 신학회 관계자는 “두 학회가 공개적으로 심포지엄을 가진 건 이번이 처음으로, 매우 역사적인 사건”이라며 “확정되진 않았지만 심포지엄을 계기로 공동 정기 학술대회나 연구 모임 등을 갖자는 의견들이 오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칼 바르트는 유럽은 물론 미국에서도 대부분 보수적이라고 할 만큼, 한국에서와는 다소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 사실 칼 바르트에 대한 국내 보수 신학계의 반응은 어느 정도 정치적 문제와도 관계가 있다”며 “그러나 이런 논쟁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국교회가 어느 한 신학자의 신학을 평가하는 차원을 넘어 오늘의 여러 위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신학이 과연 어떤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

  1. No Image

    죽음준비 설교

    죽음준비 설교 송영목 페이스북 죽음 준비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고 2년 지난 1519년, 루터는 죽음의 준비에 대한 설교에서 20가지 방법을 제시했다(루터 전집 42:97-115). 주의할 것은 여러 곳에(4-5, 13, 15-19단계) 가톨릭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1.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30
    Read More
  2. No Image

    동성애에 관한 입장, 예장통합 총회

    예장 통합 총회, 동성애에 관한 입장, 예장통합 총회 동성애에 관한 총회의 입장 총회는 이전 회기에 이미 동성애 문제와 퀴어 문화 축제, 미 장로교회의 동성애 결혼 개정 등에 대해 입장을 발표해 왔으나 생명 존중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41
    Read More
  3. No Image

    소아성애자들의 논리 일곱 가지

    소아성애자들의 논리 일곱 가지 미국의 신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인 마이클 브라운 박사가 얼마전 한 기독교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동성애 합법화로 인해 이제 소아성애 합법화 가능성까지 커졌다고 우려하면서 소개한 소아성애자들의 논리가 인상적입니다. 브라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87
    Read More
  4. No Image

    복음서는 왜 네 권인가?

    복음서는 왜 네 권인가? 조병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바른미디어, 2017.5.31. 네 권의 복음서가 있는 것은 초대교회 때부터 고민거리였습니다. 왜 복음서가 네 권이 있어야 하는가? 그래서 초대교회의 어떤 목사님, 어떤 신학자는 복음서가 네 권이 있어야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72
    Read More
  5. No Image

    한국인이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말

    한국인이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말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흔히 쓰는 말들 중에는 순우리말이 있는데도 일본말을 쓰는 것들이 있는데요. “의미만 전달되면 됐지”라는 잘못된 생각이 요즘 말하는 “한글파괴”의 주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요즘 학생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1 Views4786
    Read More
  6. No Image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들이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 이승구 교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뉴스앤조이 글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들이 과연 어떤 것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일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더구나 그것들이 기독교 세계관과 어떤 관계성을 가져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일은 더 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20
    Read More
  7. No Image

    경제공동체, 입증 안 되면 어떻게 하나

    경제공동체, 입증 안 되면 어떻게 하나 어쩌다 592억 원이 된 박근혜 뇌물 <동아일보> donga.com [송평인 칼럼] 송평인 논설위원 입력 2017-04-19 03:00 수정 2017-04-19 05:04 미르·K스포츠 재단 출연금 어디는 뇌물, 어디는 강요 검찰도 확신 없이 특검 따...
    Date2017.04.19 Bydschoiword Reply0 Views1285
    Read More
  8. No Image

    은사운동의 혼란/ 김효성

    은사운동의 혼란 김효성 목사 2013년 2월 23일 내용 목차 은사운동의 기원과 특징과 세력 성령의 세례에 대하여 성령의 초자연적 은사들에 대하여 은사운동에 대한 비평 서론 어떤 이는 오순절주의 혹은 은사운동에 성령이 역사하심을 의심할 수 없다고 말하...
    Date2017.03.25 Bydschoiword Reply0 Views1063
    Read More
  9. 헌재 고발장, 우종창

    역사자료 고 발 장 고 발 인 우종창(○○○○○○-○○○○○○○) 서울 강북구 솔매로 ○○-○, ○○○호 연락처 : 010-5307-5472 피고발인 1. 이정미 : 헌법재판소 재판관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5(재동 83) 헌법재판소 2. 김이수 : 헌법재판소 재판관. 주소는 위와 같음 3. 이...
    Date2017.03.14 Bydschoiword Reply0 Views936 file
    Read More
  10. No Image

    진보를 가장한 좌익의 선전선동

    대한민국 부정…진보를 가장한 좌익의 선전선동 자유를 깨달은 이들의 절박함이 대한민국을 진보하게 해 <미디어펜>(승인 2017-03-12 09:20:55 | 편집국 기자 | media@mediapen.com) 진보진영은 진보적인가? 첫인상은 참으로 중요하다. 한번 형성된 첫인상은 그...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713
    Read More
  11. No Image

    한 중국 공산당 간부가 탄핵 정국에 대하여 한 말이다

    한 중국 공산당 간부가 탄핵 정국에 대하여 한 말이다 <대한신보> 2017.3.11. ​1. “권력자는 선전부를 장악하지 못하면 끝난다.” ​박근혜(朴槿惠) 대통령이 언론을 장악하기는커녕 적대적(敵對的) 관계를 유지하다가 종국엔 언론에 장악된 것을 평한 말이다. 2...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623
    Read More
  12. No Image

    김평우, 탄핵을 탄핵한다

    오늘부터 우리는 제2건국의 행군을 시작합시다!(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38709) 김평우 /전 대한변협 회장, 박근혜 대통령 대리인단 변호사 1. 3월 10일 헌법재판소는 8인 재판관 전원이 국회의 탄핵소추를 인용하여 박근혜 대통령님...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608
    Read More
  13. No Image

    박근혜의 책임-이념의 결핍

    보수조직의 붕괴와 박근혜의 책임 - 이념의 결핍/ 조갑제 (조갑제닷컴의 글) 조직붕괴 어느 중국 공산당 간부가 한국의 탄핵 정국에 대하여 한 말이다. 1. “권력자는 선전부를 장악하지 못하면 끝난다.” 박근혜(朴槿惠) 대통령이 언론을 장악하기는커녕 적대...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685
    Read More
  14. No Image

    조갑제, 어찌 이런 것을 헌재의 판결문이라 할 수 있나?

    조갑제, 어찌 이런 것을 헌재의 판결문이라 할 수 있나? 사랑하는 법치 애국 시민 여러분, 1. 여러분, 어제 우리는 결코 지지 않았습니다. 진 것은 우리가 아니라 헌법재판소입니다. 여러분, 어제 많이 긴장하고, 놀라고, 괴로우셨지요? 특히 저에게는 박근혜 ...
    Date2017.03.11 Bydschoiword Reply0 Views805
    Read More
  15. No Image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판결문

    헌법재판소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 판결문 지금부터 2016헌나1 대통령 박근혜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를 시작하겠습니다. 선고에 앞서 이 사건의 진행경과에 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저희 재판관들은 지난 90여일 동안 이 사건을 공정하고 신속하게 해결하기...
    Date2017.03.11 Bydschoiword Reply0 Views290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