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Kidokshinmoon.jpg

 

기독신문’(www.kidok.com 2013.11.12. 예장 합동)  기고의 글

 

 

거대한 영적 쓰나미, 성경진리 흔들었다

 

"복음을 세속 개념화한 새 선교·전도 성명서반기독교적 중대한 결함 지녀

성경을 신앙 표준으로 삼지 않는 행보는 결국 교회를 죽음에 이르게 할 뿐"

 

최덕성 교수 (브니엘신학교 총장·전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 10차 부산총회는 거대한 영적 쓰나미를 몰고 왔다. 예수 그리스도를 전 피조물의 생명 지킴이, 환경 운동 전도사, 인민 해방 운동가로 등장시켰다. 다원주의, 포용주의, 신앙무차별주의와 더불어 교회로 하여금 진리에 대한 민감성을 상실하게 했다. 유럽, 북미, 대양주의 주류 교회들처럼, 교회가 WCC 신학을 따르면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감염환자처럼 서서히 생명력을 잃을 수밖에 없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부산총회가 선포한 새로운 선교-전도 선언서 함께 생명을 향하여: 지형 변화 속의 선교와 전도”(2012)는 이른바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구도에 따라 선교를 생명의 하나님의 인도를 따라 만물의 생명 충만을 향한 헌신 활동으로 정의한다. 인간화, 인권, 혁명 투쟁 활동에 초점을 모으며, 피조 만물의 생명, 생명 충만으로 지평을 확대시킨다. 그러나 기독교 선교와 전도의 핵심에 대한 설명이 없다. 인류와 만물이 학수고대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증거를 방해한다.

 

1. 새 선교-전도 성명서

 

새 선언서는 교회의 사회적 문화적 책임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피조물의 생명과 생명 충만 활동을 하도록 자극하는데 일조한다. 그러나 기독교 선교-전도 선언서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심대한 결함을 지니고 있다. 그 핵심 주장은 반기독교적이며, 이단적이다.

 

첫째, 선교와 전도 마당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복음을 밀어내고 그 자리에 마르크스주의 복음을 대체시킨다. 십자가의 복음과 영생의 진리를 소개하지 않는다. 믿음으로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 도리, 중생, 구원, 은혜,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죽음과 대속 사역, 화목 제물의 중요성을 말하지 않는다.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유일성도 언급하지 않는다. 예수가 누구이며, 왜 그가 그리스도이며, 왜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시인하고 믿어야 하며, 믿음이 무엇인지 말하지 않는다.

 

둘째, 인간의 타락과 죄성을 도외시한다.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 앞에 있는 죄를 사회적 불의와 구조 차원의 모순, 자본주의적 탐욕, 생태학적, 경제적, 사회적 결함으로 간주하는 오류를 범한다. ‘하나님의 나라를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추구하는 정의와 평화가 유지되는 이상 사회로 환원시킨다. 교회의 정체성을 소외되고 가난한 자들의 연대성에서 찾는다. 복음을 세속 개념으로 이해하면서 하나님의 나라와 세상의 나라를 동일시한다. 인간화와 혁명투쟁을 하나님 나라 확장 수단으로 여긴다.

 

셋째, 하나님의 세계 돌봄 역사(役事)와 구원 역사를 구분하지 않는다. 성령 하나님은 모든 피조물에 자연적 생명을 부여하고 돌보고 계시지만 이스라엘 민족 공동체와 영적인 이스라엘인 신앙고백 공동체 곧 교회 안에서 일하는 방식은 같지 않음을 간과한다. 모든 인간과 전 피조물에 부여된 자연적 생명이 제한받지 않고, 최대한으로 충만히 그 자체를 누리도록 하는 일을 선교와 전도의 목적으로 설정한다. 하늘에서 내려온 떡빵을 먹는 자들에게 주어지는 새 생명을 말하지 않는다.

 

넷째, 신약성경의 핵심 메시지 생명(zoe)을 자연적 또는 생물학적 생명목숨(bios)로 환원시킨다. 이러한 생명과 생명 충만은 아프리카의 부족 종교도 공감하고 한국의 박수무당도 환영할 수 있다. 인도의 범신론적 종교 사제도 받아들일 만한 개념이며 뉴에이지 운동의 구루(guru)도 마다하지 않는다. 미신적 신앙인들과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 신봉자들도 호감을 가질 수 있다. 새 선언서가 말하는 성령은 타종교인들이 말하는 보편적인 힘, 에네르기, 정령(精靈)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다섯째, 종교다원주의를 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유일성을 말하지 않는 반면 이웃 종교들과 공동의 증언에 근거한 쌍방통행의 대화를 강조한다. 만인보편구원주의에 근거하여 전도는 하나님의 구원하는 은총에 대한 한계를 두지 않고(without setting limits to the saving grace of God)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고난, 그리고 부활의 중심성을 명백하고 확실하게 하는 선교활동이다라고 한다. ‘중심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잡다한 여러 가지 해석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아울러 개종전도금지주의(Proselytism)를 비기독교세계에 확대 적용한다.

 

2. 인류와 만유 배반

 

하나님이 창조한 세계는 인간의 탐욕 때문에 부서지고 있다. 자연은 황폐화되고, 인간의 빈부격차와 소외는 점점 심해진다. 부정의와 억눌림과 탐욕에서 인간과 피조물을 자유하게 하며 활동은 중요하다. 생명을 주신 하나님은 그 생명들을 사랑한다. 벌레 한 마리,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에서 생명-삶의 소중함을 배우면서 함께 생명을 향하여전진하자고 하는 구호는 불평등, 분열, 갈등을 타파하고, 피조세계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고 화해시키는 일은 고무시킨다.

 

WCC 부산총회는 인류에게 유익한 많은 주제들을 다루었다. 그러나 인류에게 시급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복음이다. 피조물들도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하나님의 진정한 생명, 생명 충만, 정의, 평화를 가질 수 없다. 인간의 불순종과 타락으로 땅이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냈다”(3:18). 인간에게 진실, 인애, 하나님 지식이 없고, 오직 저주, 속임, 살인, 도둑질, 간음하며, 포악하며, 살인이 계속되자 이 땅이 슬퍼하며 거기 사는 자와 들짐승과 공중에 나는 새가 다 쇠잔”(4:1~3)해졌다. 만물의 생명과 생명 충만에 이를 수 있는 첫걸음은 인간의 죄 문제 해결이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는 제자들에게 가서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을 내 제자로 삼으라”(28:19)고 말씀했다. 이 명령은 인권, 인간화, 해방투쟁, 신토불이 유형의 생명, 생명 충만 활동을 하라고 하는 부름이 아니다. 정치가, 경제학자, 과학자, 사회학자, 기타 전문가들, 국제연합(UN)과 비정부기구(NGO)가 수행하고 해결해야 수 있는 과제가 아니다.‘하나님의 선교를 하라는 명령이 아니다.

 

새 선언서는 기독교의 기본적인 본질과 선교와 전도의 사명을 왜곡시킴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전파의 기회를 방해하고 결과적으로 인류와 만물의 진정한 회복을 방해한다. 교회의 세속화와 인본주의화와 퇴락을 가속시킨다. 죄 문제 해결의 길과 영원한 생명의 복음을 소개하지 않으며, 성령론을 왜곡시키고, 하나님의 나라를 세속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교회의 우선적 과제를 전도시킨다.

 

부산총회는 인류와 만유를 배신했다. 십자가에 달린 예수 그리스도와 순교의 피를 흘린 사도들과 신앙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수많은 순교자들을 배신했다. 성경을 앞세웠지만 실상 쓰레기 취급했다. 역사적 기독교를 배신했다.

 

3. 항의

 

WCC 부산총회 바깥마당의 항의자들(protesters)은 한국교회가 살아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이러니하게도 WCC의 복음화에 이바지했다. 종교다원주의, 종교혼합주의, 용공주의 타도는 강렬했다. 가장 눈에 띄는 항의 글귀는 ‘WCC가 교회를 죽인다’(WCC KILLS CHURCH)였다. 여러 명의 총대들이 이 글귀 피켓 곁에서 사진을 찍곤 했다. 부산총회가 선포한 새 선언서가 언급하는 지형변화곧 이 단체를 충실히 따르던 유럽, 북미, 대양주 교회들의 퇴락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동방교회 모 신학자는 행사장 바깥의 항의와 “WCC가 교회를 죽인다는 글귀를 언급하면서 일치문서에 동성애자 거부에 대한 문안을 넣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많은 총대들이 술렁이면서 그의 의견에 반대했다. 루마니아정교회 대주교는 주제 행사장에서 일치를 깨는 원수는 바깥에 있지 않고 우리 안에 있다면서 동성애자를 수용하면 탈퇴하겠다는 어조로 말했다.

 

WCC 사무총장 울라프 트베이트는 기자들을 향하여 우리는 WCC에 대하여 찬성도 반대도 하지 않는다고 했다. 성경은 동성애를 명백하게 죄로 규정한다. 트베이트의 입장 표명은 이 단체가 성경에 따라 믿고 고백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폐회예배 설교자 남아공 성공회 사제 미카엘 랩스리는 동성애자들에게 죄송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했다. “나의 꿈은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 모든 위대한 종교들의 지도자들이 나와 똑 같은 사과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성경이 끝나나는 데서 하나님의 계시가 끝난다고 믿는가, 아니면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를 모든 진리에로 계속 인도해 준다고 믿는가하고 탄식했다. 성경을 따르지 말고 의견수렴을 거쳐 동성애자를 포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교회 바깥에 있는 이단보다 교회 안에 있는 이단이 더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성경을 신앙과 행위의 표준으로 삼지 않는 신학자, 교회지도자들의 행보는 교회를 부지중에 죽음에 이르게 한다. WCC 부산총회는 기독인의 사회-문화적 책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성경이 말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 ?
    qufs 2015.03.12 01:43

    "저는 못하는 큰-일을 이루셔서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전에 하신 노고에, 이제야 인사를 드립니다.

    그 때 저는 해운대 불꽃축제에 온 김에 부산금식기도원에 들러서 기도하고 있었는데,
    WCC 반대 항의를 위해 기도원에서 단체로 벡스코에 간다기에 기꺼이 동행하였습니다.

    60m쯤 저 앞에 있는 집회주최측 단상은 수많은 인파에 가려 전혀 보이지 않고, 멀어서 불분명하게 들리는 사회자의 소리에 따라 중간 중간 구호를 외치고 찬양을 따라하면서, 그 작고 소극적인 동참과 동작이 죄송하고도 가슴이 뛰었습니다.

    초반에 핵심 주요인사 누군가를 기다리다가, 어느 순간 "최덕성 교수님 오십니다!" "최교수님 이리로 오십시오" 등의 흥분된 소리가 스피크를 통해 거듭 들렸고 . . 짧은 말씀 . . .직접 외치시는 구호를 또 따라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가 소요리문답을 한국성도에게 선물한 분인 줄 꿈에도 모른 체로^^ (그때 알았더라면 제 심장은 두 배로 뛰었을 테고^, 어떻게든 찾아뵈어 조우하였을 것입니다), 참으로 어렵고 귀한 충성을 하시는구나 싶어 감격하고 존경스러웠습니다 !!


  1. 가톨릭 미사 참여, 무방한가?

    웅천왜성 성역화 기원 미사 장면 가톨릭 미사 참여, 무방한가? 칼빈은 프로테스탄트들에게 양심을 향해 로마가톨릭교회의 미사에 참석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망명이나 또는 순교를 선택하라고 엄히 촉구했다. 아래의 글은 조진모 교수의 "칼빈의 미사 참석자...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977 file
    Read More
  2. 크리스천 트랜스젠더

    사진: 기무라 사오리, 본문 내용과 무관 (유튜브 캡처) 크리스천 트랜스젠더 육군 병사는 트랜스젠더 수술을 받으려고 기다리고 있었다. 군국 병원 채플 주일 예배가 끝난 뒤였다. 채플 설교를 한 나에게 말을 걸어 왔다. 잠시 입원 치료를 받으려고 상당히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2876 file
    Read More
  3. 이광호 목사의 심방론

    이광호 목사의 심방론 우리 교회는 당회 심방(가정방문) 시 목사와 장로들 가운데 두 사람 정도 참여하며, 때로 당회원의 부인이 동행하기도 한다. 심방을 받는 가정에서는 아이들도 참여하지만, 나중에는 어른들만 따로 남아 전반적인 대화와 교제를 나눈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413 file
    Read More
  4. 제네바 교회의 선교

    남미 식 최후의 만찬 (Basilica Catedral, Cusco, 브라질) 제네바 교회의 선교 [임종구 목사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칼뱅의 제네바 사역에서 선교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또 제네바교회는 어떻게 선교사역을 감당했을까? 여기에 관한 자료는 애석하게...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00 file
    Read More
  5. 서울시민교회 40년, 사도행전의 연장

    서울시민교회 40년, 사도행전의 연장 [아래의 글은 <서울시민교회 40년사>(2017)에 실린 격려사이다. 교회관에 근거한 정중한 칭찬, 격려, 권면이다. 교회와 교회사의 주 관심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를 지적한다. ] 최초의 교회사 ‘사도행전’에는 형식을 갖...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76 file
    Read More
  6. 사순절, 지켜야 하는가? (글)

             사순절, 지켜야 하는가? (글)   사순절을 교회의 절기로 지켜야 하는가? 사순절을 영어로 렌트(Lent)라고 한다. 만물이 소생하는 봄(lencten)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사순절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되새기는 40일 동안의 절기이...
    Date2017.03.30 Bydschoiword Reply1 Views1764 file
    Read More
  7. 교회개혁의 성공조건: 윤리적 우위

    교회개혁의 성공조건: 윤리적 우위 임종구 목사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기독신문 2017.3.21.): 제네바 회에는 목회자윤리규정 있었다 칼뱅이 주도한 개혁파가 제네바에서 살아남아 개혁교회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었던 여러 이유 가운데는 신학적 우위도...
    Date2017.03.21 Bydschoiword Reply0 Views3363 file
    Read More
  8. 방언, 역지사지로 생각해 본다

    방언, 역지사지로 생각해 본다 강용자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남과 처지를 바꾸어 생각한다는 뜻이다. 세상사의 많은 것들이 이 단어 하나를 숙고하고 실천하면 풀리지 않을까 싶다. 교회 안에 방언을 하는 자와 하지 않는 자들이 있다. 방언을 하는 자와 하지...
    Date2017.01.10 Bydschoiword Reply0 Views3385 file
    Read More
  9. 성령세례, 단회적인가?

    성령세례, 단회적인가? 이영숙 성령세례는 중생할 때 단번으로 끝나는가, 아니면 반복적인가? 성령세례를 받지 않으면 성령충만은 없는가?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은 성령님의 사역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주지하다시피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문제는 오순절 ...
    Date2017.01.10 Bydschoiword Reply0 Views3560 file
    Read More
  10. 특별계시, 지금도 존재하는가?

    대둔산 전경 특별계시, 지금도 존재하는가? 김응열 주후 2세기경의 몬타누스주의 운동은 기독교회의 주류에서 벗어난 신령주의 기독교였다. 몬타누스주의자들은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아 예언을 외치며 그리스도의 임박한 재림과 종말의 날을 강조했다. 일...
    Date2017.01.09 Bydschoiword Reply0 Views2408 file
    Read More
  11. 톰 라이트는 크리스천인가?

    톰 라이트는 크리스천인가? 톰 라이트(N. T. Wright)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학파의 대표적인 신학자이다. 정통 신학자들은 라이트의 신학은 심각한 질문을 제기한다고 본다. 라이트는 크리스천인가? 그의 칭의론은 '복음'인가 아니면 '다른 복음'인가? 미국 ...
    Date2016.10.31 Bydschoiword Reply0 Views135871 file
    Read More
  12. 유보적 칭의론과 지옥 공포심

    유보적 칭의론과 지옥 공포심 하나님이 율법을 주신 근본 목적은 율법주의자들이나 계몽주의자들의 주장처럼, 사람을 위협하여 선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물론 개혁주의자들도 선을 독려하고 악을 제어하는 '율법의 제3용도(tertius usus legis)...
    Date2016.10.25 Bydschoiword Reply0 Views1717 file
    Read More
  13. 월터스토프, 동성결혼은 정의에 부합한다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월터스토프, 동성결혼은 정의에 부합한다 미국 기독개혁교단(CRC: Christian Reformed Church) 구성원인 기독교철학자 니콜라스 월터스토프(Nicholas Wolterstorff) 박사가 최근 동성애와 동성결혼을 지지하고 나섰다. 동성애자들의 “위...
    Date2016.10.23 Bydschoiword Reply0 Views5006 file
    Read More
  14. 새 관점학파와 유대인 장학금

        크리스터 스탠달 박사(하버드대학교)   새 관점학파와 유대인 장학금   바울과 관련하여 20세기 후반에 신약신학계에 등장한 이른바 '새 관점'은 크리스터 스탠달 박사(Krister Stendahl, 1921-2008)가 쓴 “사도 바울 그리고 서방의 자기 성찰적 양심"...
    Date2016.10.19 Bydschoiword Reply0 Views6073 file
    Read More
  15. 연세대여, 연세대여

    연세대 교정 (서울) 연세대여, 연세대여 연세대가 본래의 사명에서 이탈했다. 멀어도 너무 멀어졌다. 설립자 언더우드 선교사는 오직 한 가지 이유로 이곳, 한국(조선)에 왔다. 그것은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자 이 세계의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Date2016.10.12 Bydschoiword Reply0 Views299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