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황 프란치스코.jpg

 

손봉호 박사께 묻는다

 

손봉호 박사(고신대 석좌교수)는  최근 <한겨레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방한한 교황 프란치스코를 격찬하고 칭송한다(“종교는 바른 일에 급진적이어야” <한겨레신문>, 2014.8.24.). 그러나 독자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 기독교가 무엇이며, 복음이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기 때문이다. 기독교의 존재의의와 필요성은 무엇인가? 무엇이 세상에 감동을 주고 사람을 진정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방한(2014)은 대한민국 국민에게 감동을 주었다. 어느 시인의 말마따나 감동에 목말라있던 한국 사회는 바티칸 종교 지도자의 모습과 가르침에 놀라운 반응을 보였다. 교황이 보여준 낮은 자세, 겸손, 검소함, 진실성, 자비한 모습은 복잡하고 고단한 삶에 지친 한국인들에게 청량제 같았다.

 

교황에 대한 한국사회의 긍정적 반응은, 우리 사회가 종교를 향하여 무엇을 기대하는지 알게 해 주었다. 프란치스코는 경호비가 몇 배가 더 들고, 훨씬 더 많은 경호원이 필요한 한국산 작은 자동차를 타고 이곳저곳으로 이동했다. 검소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신학자들에게 프란치스코 현상연구라는 과제를 남겼다.

 

개신교 안에도 이름 없이, 빛 없이 그리스도가 맡긴 사명을 묵묵히 감당하는 귀한 목회자들과 성인(聖人)들이 곳곳에 있다. 교황의 인기는 개신교를 규탄하는 목소리를 자아냈다. 개신교회가 로마가톨릭교회보다 더 시급하게 개혁되어야 할 대상이라느니, 자신감을 잃었다느니, 교리 차이를 내세우며 반대만 하는 개신교의 모습이 부끄럽다는 등의 혹평이 나왔다.

 

손봉호는 방한한 프란치스코를 격찬하고 한국종교계가 그의 모범을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교황이 한국에서 자기의 신앙과 임무에 철저히 그리고 진실하게 충실했으며, 자신이 섬기는 예수님을 따라 당연한 윤리적 삶을 살고, 자기가 믿는 종교의 가르침에 따라 낮고, 검소한 모습을 보였고, 고통당하는 사람들과 함께 아파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종교가 아닌 무엇이 위선과 거짓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진실을, 경쟁과 미움이 가득 찬 세상에서 양보와 사랑을, 부와 사치가 큰 자랑이 된 세상에서 겸손과 검소함을 가르치고 실천하고 심어주는 역할을 하겠는가라고 격찬한다.

 

손봉호는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의 존재 의의 또는 필요성을 윤리적 삶에서 찾는다. 그리고 정직과 겸손과 청빈의 삶 실천이 세상을 감동시키고, 변화시킬 것이라고 한다. “낮아지고 검소하고 자비롭고 참되라고 가르치지 않는 종교가 어디 있겠는가마는, 그것이야말로 이 세상에 종교가 필요한 이유다고 한다. “화려한 건물을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고 천막에 모여 예배나 불공을 드리면 세상이 감동할 것이고, 소형차를 타거나 걸어 다니면 탐심도 줄어들고 극심한 경쟁도 약해진다고 한다.

 

손봉호는 세상이 무엇에 감동하며, 무엇이 사람을 변화시키는가를 교황 프란치스코가 보여준 낮은 자세, 검소함, 겸손에서 찾는다. 교황에 열광하는 한국사회가 무엇에 목말라 하는가를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와 달리, 손봉호는 한국의 종교계 특히 기독교인들을 꾸짖는다. 사람들을 감동시킬 만큼 진실하지 않으며, , 권력, 인기 같은 세속적인 이익에 연연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진실과 양보, 사랑, 겸손과 검소, 평화 등을 가르치지만, 교회는 교회답지 않고, 종교인과 종교 지도자는 말만 하고 삶으로 실천하지 않는다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손봉호의 교황 칭송과 한국의 종교계 특히 기독교계에 대한 꾸지람은 일리가 없지 않다. 겸허히 듣고 생각하고 실천해야 할 교훈이다.

 

필자는 대학생 시절에 손봉호의 철학 강의를 들었다. 그 이후로도 여러 가지 통로로 그의 가르침을 접했다. 이모저모로 영향을 받았다. 우리는 같은 하늘 아래서 같은 공기를 마시고 살아왔다. 그의 교황 칭송과 한국 교회를 향한 꾸중은 오랫동안 지녀왔던 필자의 의문이 떠올리게 한다. 기독교의 근본에 관한 것이다. 교황 프란치스코와 진보계 기독교 지도자들께 드리는 질문이기도 하다.

 

교회의 본질적 속성인 사도성 곧 사도적 직무 수행이다. 사도직은 단회적이다. 사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과 바울에게 국한된다.

 

오늘의 모든 교회와 기독인은 사도성을 부여받았다. 사도성 또는 사도적 직무의 핵심은 예수 그분이 구원자, 그리스도임을 알리는 증언 사역이다. 베드로와 바울을 포함한 사도들은 무엇에 전심 전력했는가? 예수가 예언자가 오리라고 말한 그 메시아, 그 그리스도, 그 구원자라는 사실을 증언했다(16:16; 5:42, 17:3-5, 18:5; 딤전 2:5; 요일 2:22).

 

교회와 기독인들의 사도성 또는 사도적 직무는 기독인의 타종교인과의 대화, 이웃 사랑과 섬김, 나눔 활동의 원천적인 동기이다.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 받기를 원한다. 그러나 조건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유일한 중보자이다(딤전 2:5). 중보자 그리스도를 자신의 구원자로 믿는 사람은 하나님과 화목하고 죄 사함을 받으며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 사도적 직무의 핵심은 이처럼 구원의 진리를 증언, 전파하는 활동이다.

 

사람들을 진정으로 변화시키고, 진정으로 감동을 주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다. 프란치스코나 다른 종교 지도자가 보여줄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윤리적 모범이 아니다.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 양식이 없어 주림이 아니며 물이 없어 갈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8:11).

 

인류의 목마름의 진정한 원인은 하나님의 말씀, 구원의 복음 결핍 때문이다. 기갈(飢渴)에 허덕이는 인류에게 필요한 것은 예수 사랑하심은 거룩하신 말일세, 우리들은 약하나 예수 권세 많도다라고 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기쁜 소식이다.

 

프란치스코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복음을 소개하지 않았다. 사도들이 전심전력한 사도적 직무를 외면했다. 로마가톨릭교회에 따르면, 예수 없이도 하나님의 구원을 받는다. 도덕적 삶이 훌륭하고 양심에 따라 살고 미지의 신을 찾는 사람은 누구든지 구원을 받을 수 있다(2차 바티칸공의회, 교회헌장 제16).

 

이런 점에서 프란치스코가 로마가톨릭교회에는 충실했으나 예수 그리스도께 그리고 사도적 직무에 충성하지는 않았다. 교황(주교)이 사도직을 배타적으로 계승했다고 하면서도 정작 가장 중요한 사도적 직무는 이행하지 않았다. 이 점이 중요하다. 교황은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에 순종하지 않았다. 구원의 길을 제시하지 않았다. 사도들이 전심 전력한 시도직무와 무관한 정치적 종교적 행보룰 보여주었다.

 

손봉호가 교황을 격찬하면서 그가 자기의 신앙과 임무에 철저했고, 자신이 섬기는 예수님을 본받는 삶을 보여주었다고 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손봉호의 교황 칭송은 과연 그에게 기독교는 무엇이며, 복음은 무엇이며, 하나님의 아들이 성육(成肉)한 목적이 무엇인지 의문을 갖게 한다. 필자는 지난 40년 동안 이러저런 형태로 그의 메시지를 듣고 접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말하는 것을 듣지 못했다. 필자가 경청할 기회를 얻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사람은 자기가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타인에게 알리고 싶어 한다. 말하고 싶어 한다. 복음을 아는 기독인은 그것을 타인에게 전하고 실어한다. 마음 안에 있는 기쁜 소식을 감추지 않는다.

 

손봉호께 묻는다. 기독교는 무엇이며, 복음은 무엇인가? 낮은 자세, 겸손, 검소함, 진실성, 자비 등의 윤리적인 실천이 세상에 진정으로 감동을 주고, 실제로 사람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침묵하는가? 생명(zoe)의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길을 제시하지 않으며, 암시조차 하지 않는가? 기독교 신앙의 주변적인 것에 연연하고 중심적인 구원의 복음은 쬐끔도 언급하지 않는가?

  

최덕성

브니엘신학교 총장, 기독교사상연구원 원장, 고려신학대학원 교수(1989-2009)

 

  • ?
    dschoiword 2014.09.05 07:09
    행하는 산믿음 님의 글

    로마서 8장이 제시한 바, 믿음으로 구원을 받고, 생명을 갖게 되면, 예수님께 도달하도록 완전히 자라나기를 갈망하게 되고, 예수님이 가르친 산상보훈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믿음과 선행(야고보서) 둘 다 필요하다. 믿고 구원 받으면 다 된 것처럼 함부로 사는 것이 문제이다. 행함이 없는 믿음이 진실된 믿음일까? 거짓일 가능성이 크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성화의 길은 과부와 객과 가난한 자를 돌보는 산상수훈의 삶을 포함한다.

    기독교인들이 동네 개처럼 무시 당하는 이유는 후자를 행하지 아니하고 입으로만 사랑과 구원을 떠들기 때문이다. 세상사람들이 우리가 믿고, 믿음의 증거로 후자를 잘 행하는 삶을 본다면, 이를 보고 이끌려와서 전자의 믿음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반면, 믿음 없는 선행은 뿌리 없는 나무와 같다. 부질없는 것이다. 손봉호 씨는 자신의 윤리로 세상과 특히 기독인을 재단하는 못된 버릇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 장로라고 말하지 말고 윤리 선생이라고 하라.
  • ?
    은반 2014.09.06 22:46
    글을 기고하고자 하여 한겨레에 요청을 한 것인지, 아니면, 한겨레가 요청을 한 것인지, 이런 논지의 글은 그동안 존경을 받아왔던 장로로서 기고를 안했으면 더 나을 뻔했다.
    김영한 교수와 같은 차원에서 본다고 할 때에, 요즘 아이들에게 교육하는 내용, '사탕준다고 아무나 따라가면 안된다'는 말이 생각난다. 이러한 주장은, 음흉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그래도 사탕을 주니까 그 사람을 존경하라는 식이다. 어느 정도의 인기인이 되고, 공인이 되면 정말 신앙의 원칙을 지키기가 어려운 것인가? 그럴것 같으면 무명으로 살면서 신앙의 정도를 걸었으면 한다. 사실 공중파 방송에 나와서 윤리적인 교훈을 한번씩 하는 것을 들어 보지만, 그 자리에서 여느 일반인의 가르침과 다른 점이 무엇인가? 그렇다면 그런 장소가 아니라, 정말 신앙적인 가르침을 받기를 원하는 신앙의 후배들을 훈련시키는 것이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훨씬 유익하지 않을까.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 세상의 황제나 관원들에게 자랑하러 가신 것이 아니라, 그의 부활을 증거할 사람들에게 확신을 주시러 가셨던 것처럼 말이다.
  • ?
    늘새롬 2014.09.14 18:00
    윤리는 중생자로서 더더욱 타당하다. 그러나 윤리가 생명을 건지는 것이 아니다. 손박사님은 사회윤리로 기독교가 끼칠 영향에 대하여 하나님의 은혜로 되어지는 구속사적 역사관, 섭리를 도외시한 나머지 니버같은 윤리주의 신학으로 보편 복음사상을 어쩌면 공격하고 있는지 모른다. 상당히 조심스럽다.
  • ?
    dzezy 2014.10.23 02:19

    큰- 교회들 로비에 나란한 주일 영업 가게 같은 or 그 가게의 신실한?? 주인들 같은!! 분.


  1. 손양원 목사는 고려신학교 총무였는가?

    양원 목사는 고려신학교 총무였는가? 이상규 교수 /고신대학교 손양원 목사(1902-1950) 순교 60주년을 맞으면서 그의 순교를 기념하는 여러 모임이 개최되고 있다. 지난 5월 14일에는 한국복음주의협의회에서 ‘용서와 화해의 순교자 순양원 목사’...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299 file
    Read More
  2. 문화와 위선

    문화와 위선 아래는 독일에서 수학하고 목회를 하고 있는 송다니엘 목사의 글이다. 저서 <산상보훈>의 일부에 실린 것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옮겼고, 다시 본지에서 게재한다. 위선이란 존재보다 외관이 무겁다는 의미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이 원래의 모...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075 file
    Read More
  3. 칼빈주의와 적십자사

    칼빈주의와 적십자사 1. 칼빈주의 기독교 칼빈주의(Calvinism)는 하나님의 절대주권(Sovereignty)을 강조하는 역사적 기독교 신학과 신앙 체계이다. 종교개혁신학자 존 칼빈(Jean Calvin, 1509-1564)의성경적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체계화 된 프로테스탄트 주...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195 file
    Read More
  4. '교인총유 ' 판례변경, 다수그룹 인정

    '교인총유 ' 판례변경, 다수그룹 인정 리포르만다 (기독교사상연구원) 제11차 학술회(2018.12.06.)가 송'상석 목사와 한국교회'라는 주제로 학술회를 모이면서, 이른바 '송상석 법' 또는 '송상석 판례'를 설명할 자료의 필요...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872 file
    Read More
  5.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성애

    감리교회의 본산지 런던 중심가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성애 감리교신학대학교의 성경해석학 동아리가 동성애 주제 강연 계획에 대하여 '무지개감신'이라는 동아리가 반발문을 공개했다. 감리교신학대학교(김진두 총장) 성소수자 인권 동아리 '무...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1 Views1213 file
    Read More
  6. 로마가톨릭교회가 진짜인 다섯 가지 이유

    로마가톨릭교회가 진짜인 다섯 가지 이유 아래는 로마가톨릭교회가 진짜 교회라고 확신하는 어느 여자 언론가의 글이다. 감리교회에서 자라서 천주교로 개종을 한 자신의 교리적인 까닭을 설명한다. 예수가 베드로와 천주교회에 준 권위, 일관된 기독교 역사,...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7683 file
    Read More
  7.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

    장신대, 총신대, 한신대의 역사날조 신사참배 80년 회개 및 3·1 운동 100주년을 위한 ‘한국교회 일천만 기도대성회’가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사거리에서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행사 주체는 교회가 아니라 교회협의체들이었...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808 file
    Read More
  8. 교황 프랜치스코와 중국 공산당

    교황 프랜치스코와 중국 공산당 1517년 마틴 루터에 의해 시작된 종교개혁이 독일 전역뿐 아니라 알프스를 넘어 밀라노에까지 영향을 미치자, 그동안 루터에 대한 이단 공세와 비방선전에만 머무르던 가톨릭은 자구적인 개혁에 착수하여 스스로 뼈를 깎는 개...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881 file
    Read More
  9. 교회의 시국 선언문 (합신 총회, 제103회)

    교회의 시국 선언문 (합신 총회, 제103회) 교회는 항상 자기 시대의 과제에 충실해야 하고, 실천 가이드를 제공해야 한다. 신학자의 과제는 교회의 질문에 답을 제공하는 일이다. 이런 측면에서 예장 합신 총회(총회장 홍동필 목사)가 발표한 아래의 긴급 시...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129 file
    Read More
  10. 레바논의 참극과 코라비아 로맨스

    레바논의 참극과 코라비아 로맨스: 인도주의 앞세운 순진한 다문화주의, 썩은 동아줄 1. 기윤실의 성명 주일예배를 마치고 하버드대학 스퀘어까지 택시를 탔다. 택시운전사는 내전을 피해 미국으로 온 레바논 사람이었다. 운전사에게 “한국인들 상당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2 Views1217 file
    Read More
  11. 한반도기(韓半島旗), 석연치 않다

    한반도기(韓半島旗), 석연치 않다 한반도기(韓半島旗, Korean Unification Flag)를 보면 석연(釋然)치 않다는 생각이 든다. 흰색 바탕에 하늘 색 지도가 새겨진 이 깃발은 올림픽 등 국제 행사에서 남·북한을 상징할 목적으로 두 국가가 합의하여 만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930 file
    Read More
  12. 성장하는 미국교회도 있다

    YWAM 집회 청년들 (한국일보 사진) 성장하는 미국교회도 있다 기독교는 가난과 박해, 타락과 모순 속에서 끈질긴 생명력을 키워왔다. 소멸할 것 같은 순간에도 신앙은 예기치 못한 형태로 새롭게 꽃을 피워 왔다. 기독교가 자유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아 절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262 file
    Read More
  13. 직통계시파 목사부부

      그림: 연합뉴스, 조혜인의 합성 사진그림            직통계시파 목사부부   의정부지방법원 형사합의13부(부장판사 이영환)는 2018.6.8., 자살교사 혐의자 임 모 씨(64·여)에게 징역 5년의 형을 선고했다. 부모에 대한 자살방조범인 딸 이 모 씨(44)에게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66 file
    Read More
  14. 설교폭력

    설교폭력 (원제: 설교언어의 폭력성) 1. 설교자로 살아가면서 설교에서 상처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고통스럽다. 프란시스코 페레(Ferrer Guardia, Francisco)는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마라"고 했는데 설교로 위로와 치유, 회복은커녕 회중에게 상처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95 file
    Read More
  15. 포스트모더니즘의 너그러움

    포스트모더니즘의 너그러움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적 진리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라는 신념을 깔고 있다. 교회마다 주일학교가 줄어들고, 청년층도 눈에 띄게 줄었다. 가장 큰 이유는 사상적인 변화다. 젊은이들이 깊이 포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0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