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도전>의 촌천살인 명언들


페이스북에 실린 친구의 글


드라마 '정도전'명대사 44개 총정리--정치교과서

깊은 인상을 남긴 KBS 드라마 '정도전'이 막을 내려 허전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백성과 정치,민본주의,권력의 비정함,정의 등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남기며 국민들을 공부하게 했던 멋진 드라마였습니다.반년 간 50부작으로 진행. 시스템이 탄탄했던 조선 500년사를 되씹게 하기도 했지요.백성을 나라의 주체로 세우고자했던 한국 역사상 불세출의 혁명가인 정도전을 재발견하게했습니다.서구에서도 아직 민주주의가 덜 정립됐을 때,그런 생각을 했으니 대단한 선각자입니다. 명대사를 가장 많이 남긴 고려말 권신 이인임도 재발견됐습니다.


이 드라마는 특히 현재의 정치와 맞물린, 곰씹을수록 진국인 '명대사의 향연'이기도 했습니다. 정치교과서 '정도전'의 촌철살인 명언 44개를 정리해봅니다. 여운을 함께 하시지요.


--------------------


정도전 (조재현 연기)


                                      <이하 사진=KBS 화면>


1
.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社稷)이 다음,군주는 가장 가벼운 것이라 했습니다.
   
해서 백성의 고통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2. "내가 생각한 대의는 아주 평범한 것이네. 백성들 앞에 놓여진 밥상의 평화.
   백성이 오늘 저녁 먹을 따뜻한 밥 한 그릇이 고려의 영광보다 우선이지." 


3. "사서오경을 달달 외우고 주댕이로 공맹의 말씀을 달달 왼다고 해서 군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노동의 고통을 모르고 무의를 모른다면,머리에 똥만 가득찬 밥버러지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4. "참으로 나약해 보이지만 더없이 끈질기고 강인한 존재. 그게 백성들일세"


5."모든 백성이 존중받고,각자 자기 땅을 갖고 농사를 지으며,백성이 군자 처럼
  사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6."군주는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 도구이고,정치는 재상에게 맡겨야 합니다.

 못된 재상은 바꿀수 있지만,못된 군주는 바꿀수 없으니 민생에 고통만 부릅니다"


7. "기억해 두거라. 싸움에서 가장 긴장해야 될 순간은 이겼다 싶을 때다.
   해서 지금이 위기다"


8. "머리 속에 똥만 가득 찬 밥버러지가 무엇을 알겠는가? 자네들(백성)이 군자이니   자네들이 하는 말이 맞을 것일세" 


9. "네 죄가 아니다. 백성의 목숨조차 지키지 못한 이 빌어먹을 나라의 죄다"


10. "군주의 권위와 힘을 갖지 못한 자가 용상에 앉아 있다는 것은 모두에게 

    비극이네" 

11. "정치의 소임은 세상의 정의를 바로잡는 것입니다" 


12. "산다고 다 사는 것입니까. 사람답게 살아야지요. 그것이 우리가 이루고자 했던     대업이었습니다" 


13."배워라. 배우면 너의 소원을 들어 주는 것이 돌탑이 아니라

      너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14.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없는 것은 아니지요.
    가시가 언젠가 단검이 되서 돌아올 것입니다"


15. "장수의 운명이 그런거지요. 무찌를 적이 있으면 살고 적이 사라지면 죽는 것이 지요"


16. "남을 속이려면 먼저 자기 자신을 속이라고 말했습니다"


17. "장님에게 등불을 쥐어 준들 길이 보이겠습니까?"


18.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불위야 비불능야(不爲也 非不能也)라 하셨다.
     하지 않는 것이지 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는 뜻이다"


----------------

이인임 (박영규 연기)



1. "정적이 없는 권력은 고인물과 같소이다권세와 부귀영화를 오래 누리고 싶다면    정적을 곁에 두세요


2."힘없는 자의 용기만큼 공허한 건 없지요.세상을 바꾸려거든 힘부터 기르세요.    고작 당신 정도가 떼를 부린다고 바뀔 세상이었으면,난세라 부르지도 않습니다" 


3."권세를 오래 누리고 싶으면 내 말을 명심하세요권좌에 앉아있는 사람은 딱 한    사람만 다스리면 됩니다.자기 자신."


4. "정치하는 사람에겐 딱 두 부류의 인간이 있을 뿐이네. 

   하나는 적 그리고 다른 하나는 도구 


5."전장에서 적을 만나면 칼을 뽑아야지만 조정에서 적을 만나면 웃으세요. 

   정치하는 사람의 칼은 칼집이 아니라 웃음 속에 숨기는 것입니다


6. "내가 원하는 사람은 남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무릎을 꿇는 사람이오. 

   그런 사람은 밥만 제때 주면 절대 주인을 물지 않거든요


7. "만두 한쪽이라도 얻어 먹을 수 있다고 믿는 자는 만두접시를 노리지 않으니까       요. 구걸에 맛을 들인 자는 결코 대들지 못합니다"


8. "정치에서 서열은 딱 두가지뿐입니다. 실세와 허세

 
9. "정치를 오래할 생각이라면 새겨 들으시오. 의혹은 궁금할 때 하는게 아니라
    상대를 감당할 능력이 있을 때 제기하는 것이오


10. "왜적보다 무서운 것이 나라의 곳간이 비는 것입니다"


11. "궁지로 더 몰아 넣으세요. 사람의 진면목은 그 때 더 드러납니다"


12."잘 들으시오. 힘이 없으면 그 누구에게도 그 무엇에도 헌신하지 마시오"


13."상투를 잡은 아이는 매부터 쳐야 합니다. 떡은 울 때 줘도 늦지 않습니다"


14. "엎질러진 물은 주워 담을 수 없으니 새로운 물을 따를 수 밖에요"


15. "이기지 못할 적 앞에서는 싸울 각오도 생기지 않는 것입니다


16. "하루 먼저 죽는 것보다 권력 없이 하루 더 사는게 두렵다"


17."답답하다고 먼저 찾아 가서야 쓰나.
     상대가 찾아 오게 만들어야지. 타협은 그리하는 것일세"


-----------
이성계 (유동근 연기)


1.“흘리는 피의 양이 많을수록 대업의 정당성은 줄어든다. 
  기케 맹글어진 나라에 무엇을 기대하겠느냐? 정치의 힘으로 대업을 이루갔다”


2. "전쟁터에서 적을 이기는 거보다 중요한게 뭔 줄 아니? 그건 싸우기도 전에 적이    제 풀에 항복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건 칼로 하는 게 아니라 인망, 마음으로
   하는 것이지"

3. "나무를 꺾는 것이 바람이고, 바위를 깎는 것이 파도일세. 부딪혀 보기도 전에
   포기부터 해서야
... 힘이 아니라 용기가 없어 보이네만"

--------------
이방원 (안재모 연기)


1. "아군에겐 인사, 적에게는 칼, 그게 소생의 신조입니다"


2. "산에는 대나무만 있는 것이 아니라 비틀리고 꺾인 칡넝쿨도 있는 것입니다"


3. "인명은 재천이니 뭐니 하는 말들 모두 위선이오. 사람 목숨은 결국 사람 손에 달려있는거 아니었소?"


4. "이건 어디까지나 정치니까요. 좋은 사람과도 뜻이 맞지 않으면 적이 되는 곳이     고, 싫은 사람도 뜻만 맞으면 언제나 동지가 되니까요. 그게 정치이지 않습니까"


---------------

정몽주(임호 연기)



1."힘 없는 백성들이 기댈 곳은 미우나 고우나,정치 뿐입니다"
  ("난장판같은 정치가 지겹지도 안수쿠마?"라는 이성계의 질문에)


2."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고 하지만,정치는 꼭 필요하고 누군가는 그것을 해야합니다"

3. "애들은 아무나 가르친다던가? 자기를 포기하는 자와는 말을 섞지 말고 자기를 버리는 자와는 행동을 함께하지 말라 하였거늘. 자네가 이러고도 남을 가르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나" (정도전에 충고)


세자 이방석(박준목 연기)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묵이지지(默而識之)라 하였습니다. 터득한 것은 묵묵히
 마음에 새겨야지 입 밖에 내는 것은 옳지 않다 하였습니다"


공민왕(김명수 연기)


"꽃이 피려면 누군가는 거름이 되야 하지 않겠소?" 



명덕태후(이덕희 연기)


"진시황의 아방궁은 백년을 갔습니까? 천년을 갔습니까?


진시황이 죽고 3년 만에 흔적도 없이 타버렸습니다.


다 부질없고 미망없는 욕심인 것을 정녕 모르시겠오?" 


--------------


작가 정현민


이 드라마의 성공은 작가인 
정현민씨의 경력과 유관하다는 분석입니다. 그는 국회의원 보좌관생활을 10년하며 정치의 생리를 터득한 뒤,나이 40이 넘어 늦깍이로 작가가 됐지요. 그의 말도 들어볼 만 합니다.

"정도전의 궤적을 쫓던 중 조선조 지배 철학인 유학
(儒學)이 일반적 선입견과 달리 그리 고루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유학은 당대에 상당히 이상적이고도 급진적인 학문이더라. ‘임금을 바꿔야 한다’는 사고부터 얼마나 파격적인가. 불교가 지배적인 시대에 내세를 부정하고 현실 모순을 좌시하지 말라는 주장은 또 얼마나 놀라운가. 유학을 알면 알수록 깜짝 놀라게 되더라”



?

  1. No Image

    다윗의 막춤

    다윗의 막춤 삼하 6:12b~20 이성환의 글 <Pen of Truth>에 게시된 글 문제 제기: 당신은 이런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다윗도 언약궤가 들어올 때에 바지가 내려가도록 춤을 추었다. 당신도 그렇게 춤을 춰야 하지 않겠느냐? 사람들 앞이라고 부끄러워하지 ...
    Date2016.07.12 Bydschoiword Reply0 Views5599
    Read More
  2. 바빙크와 급진적 개혁파

    바빙크와 급진적 개혁파 급진적 개혁파(Radical Reformed)를 위한 바빙크 다시 읽기 <새물결플러스>에 게재된 글을 옮김 2016년 7월 7일 글_ 이승용 변혁을 위한 서론 개혁파 신학의 변혁Transformation은 가능할까? 개혁주의 전통을 만난 이후로 줄곧 따라다...
    Date2016.07.09 Bydschoiword Reply0 Views2468 file
    Read More
  3. No Image

    부모의 10계명/ 오은영

    부모의 10계명 오은영 (페이스북에서 옮긴 글) 1. 아이 말을 중간에 끊지 마세요. : 부모에게 거절당했다는 생각에 자신감을 잃게 됩니다. 2. 따뜻한 눈길로 바라봐 주세요. : 학습 지도나 밥 차려 주기는 다른 사람도 할 수 있지만, 진심 어린 사랑의 표현은...
    Date2016.06.30 Bydschoiword Reply0 Views3187
    Read More
  4. No Image

    방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라

    방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라 방언을 옹호하는 자들은 고전14:2("방언을 말하는 자는 사람에게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하나니 이는 알아 듣는 자가 없고 그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니라.")을 제시하면서 방언이야말로 오랜 시간동안 기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Date2016.06.28 Bydschoiword Reply1 Views2762
    Read More
  5. No Image

    영국의 EU 탈퇴 분석

    영국의 EU 탈퇴 분석 최바울 (뉴스파워, 2016.6.26.) 1. 영국의 EU탈퇴의 원인 유럽연합(EU) 안에는 그 동안 누적된 불만으로 인해 내부 분열이 고조되어 왔다. 첫째, EU 집행부가 갈수록 독재체제로 강화되어 가는 것이다. 집행부는 유럽을 단일 통합국가로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2152
    Read More
  6. No Image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조용기의 방언과 방언통역   방언연구가 노우호 목사의 해석   1. 조용기 목사의 방언 녹취록   리피야 라샤카파테 라시야다 로야로 바칸나기 리키키고 나카치 라시카파타리 니미카니야 아파타카카야 시키키코 바야   2. 조용기 목사의 이상한 통역문   ...
    Date2016.06.27 Bydschoiword Reply0 Views3256
    Read More
  7. No Image

    방언 지지 견해

    방언 지지 견해 “방언이 외국어였다는 노우호 목사 주장 틀려” - 김동수 교수와 김동찬 목사가 ‘방언부정론’ 반박에 나서 한국교회의 방언은 100% 거짓방언이며 악령운동이라며 <방언을 검증하자>는 책을 내놓은 노우호 목사(에스라하우스 원장)의 주장에 김...
    Date2016.06.26 Bydschoiword Reply0 Views2525
    Read More
  8. No Image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교리문답 설교 고재수 이 글은 리포르만다 대표자의 고려신학대학원의 동료 교수였던 고재수 박사(N.H. Gootjes)가 교리문답 설교(CATECHISM PREACHING)라는 제목으로 1993년 9월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 모임에서 발표한 논문이다. 손정원 목사가 번역한 ...
    Date2016.06.24 Bydschoiword Reply0 Views2258
    Read More
  9. No Image

    웨슬리가 동역자들에 준 열두 가지 지침

    존 웨슬리가 동역자들에게 준 열두 가지 지침 1. 부지런하십시오. 어느 한 순간도 일하지 않고 보내는 시간이 없게 하십시오. 결코 단 한순간도 그런 시간이 없도록 하십시오.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절대로 필요한 시간, 필요한 장소, 필요한 일에 매달...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268
    Read More
  10. No Image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오병세 박사가 보는 고신교단 인터뷰 박윤선, 박형룡 박사 이후 고신교단의 신학적 기초를 다진 신학자 중 하나로 교단 안에서 상징적 의미를 가진 오병세 박사. 이근삼, 홍반식 등과 함께 이른바 ‘동방박사 3사람’으로 불리우며 존경받았던 그는 최근 교단의 ...
    Date2016.06.10 Bydschoiword Reply0 Views2185
    Read More
  11. No Image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

    미국 케임브리지 신앙선언(1996)의 의의 시작하는 말 어느 종교도 마찬 가지지만 기독교는 신앙고백서가 많다. 초대교회 때의 니케아신경(Nicene Creed, 325), 아타나시우스신경(The Athanasian Creed, 420-450, 500), 콘스탄티노플신경(The Nicene-Constanti...
    Date2016.06.08 Bydschoiword Reply0 Views2683
    Read More
  12. No Image

    자살과 구원

    리포르만다는 자살과 구원에 관한 아래의 견해와 동일하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 떠도는 글을 붙잡아 이곳에 저장하였습니다. 신원하 교수의 양해를 부탁합니다. 자살과 구원에 대한 신학적 해석 신원하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I. 한국사...
    Date2016.06.07 Bydschoiword Reply2 Views2576
    Read More
  13. No Image

    주옥타은 영문 100개

    주옥같은 영문 100개 1.Too much is as bad as too little.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큼이나 좋지 않다. 2.Soccer is more exiting than baseball. 축구가 야구보다 더 재미있다. 3.Seoul is the largest city in Korea. 서울은 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4.L...
    Date2016.05.17 Bydschoiword Reply0 Views1803
    Read More
  14. 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 500문장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 500문장 [A] A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지. Absolutely. 당근 빠따! After you. 먼저 가세요. Always. 항상 그렇지요 Amazing. 대단하네요 And then? 그리고 나서는요? Any good ideas? 어떤 좋은 생각이라도? Any time. ...
    Date2016.05.14 Bydschoiword Reply0 Views988
    Read More
  15. No Image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손봉호의 전병욱 보기 <뉴스앤조이> 2013. 옮김 무거운 책임감 목회자의 책임은 무겁고 무섭다. 목회자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의미, 가치관, 행동 방식, 직업 선택, 자녀 교육, 심지어 영원한 미래에까지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잘못 가르치고 그...
    Date2016.05.06 Bydschoiword Reply0 Views18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