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차별철폐교육의 재앙/ 바이어하우스


<크리스천투데이>(2015.1.19.) 보도문


럽의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 (1) 

                    

▲피터 바이어하우스 교수. ⓒ크리스천투데이 DB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WIDERSTEHT DER GENDER-IDEOLOGIE!):

세 주요 교단 기독교인들의 공동성명(2014년 12월 15일을 기점으로)


서론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지혜 안에서, 남자와 여자라는 상반성을 가지며 서로 보충·보완 역할을 할 수 있는 만물의 영장으로 창조하셨다(창 1:26-27; 2:21-24). 인간을 남자와 여자라는 상반성 가운데 창조하셨다는 사실은,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자신 안에 있는 사랑의 공동체를 반영하고 있다. 즉 성령으로 결합된 성부와 성자 사이에 존속하는 사랑의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성경은 남녀 간의 혼인관계와 그로 인해 형성되는 가족관계 속에서 인류 존속의 기초를 놓고, 시대 종말까지 존재하는 창조 질서를 세웠다. 또 십계명 가운데 4, 6, 10번째 등 세 계명을 통해 남녀 간의 혼인관계와 가정이 붕괴되는 것을 막으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부부를 분리할 수 없는 독특한 공동체로 선언하시고 거룩하게 하셨으며(마 19:6), 어린아이들에 대해 특별한 보호와 애정을 가지시고 대하셨다: “누구든지 나를 믿는 이 소자 중 하나를 실족케 하면 차라리 연자맷돌을 그 목에 달리우고 깊은 바다에 빠뜨리우는 것이 나으니라”(마 18:6).


사도들은 부모들과 그들의 자녀들에게 우선적으로 윤리적인 교훈을 가르쳤으며(엡 5:21-6:4; 벧전 3:1-7), 바울은 남편과 아내 간의 관계를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에 비유하여 묘사하였다(엡 5:23; 고전 11:3).


교회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전체 교회사 속에서, 그리고 모든 교단 안에서, 이러한 관점을 견고하게 유지하였다. 부부와 가정의 기초인 창조 질서를 해체시키려는 오늘날의 모든 동향들에 대항하여, 부부와 가정을 보호하는 것이 그들의 숭고한 의무이다.  


우리를 경악하게 하는 사례들


오늘날 가정들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파괴·해체되고 있는지에 대해, 기독교인들만 주목하고 경악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심지어 결혼제도와 남녀 각각의 사명과 역할까지, 현대 이데올로기(유사 종교)에 의해 전반적으로 의문시되고 있다.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연합하는 일부일처제라는 결혼 제도에 대항하여, 동성애적·레스비적·성전환적·혼음적 형태가 ‘성적 다양성’이라는 표현과 명목 아래 동등한 가치를 가진 생활 공동체로 왜곡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형태들을 반박하는 사람들은 ‘동성연애 혐오자’로 취급받고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성(Bipolarität)의 ‘성’(Geschlecht) 개념이 다양한 뜻을 가진, 원래 영문법 단어였던 ‘젠더’(gender)에 의해 구축되고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다.


1. ‘성차별교육 철폐론(Gender Mainstreaming)’의 개념

정의


정의를 파악하기 매우 어려운 외국어 ‘Gender Mainstreaming(성차별교육 철폐론, GM)’ 속에는 이데올로기적 프로그램이 숨어 있다. 그 프로그램의 목적은 남자와 여자라는 양성 사이에 존재하는 창조의 상반성과 한 가정 안에서 부모로서 갖는 위치를 완전히 폐지·무효화시키려는 것이다.


‘Gender’라는 단어는 생물학적 성별과는 전혀 상관 없이, 사람에 의해 교육되고 숙련된 사회적인 역할만을 묘사한다. 이 용어의 도입은 뉴질랜드의 심리학자인 존 머니(John Money, 1921-2008)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매우 위험한 실험을 하였는데, 그 결과를 토대로 성별 역할을 특정짓는 결정적인 것은 생물학적 천성이 아니라 양육과 교육이라 주장했다. 프랑스 철학자인 시몬느 드 보봐르(Simone de Beauvoir, 1908-1986)의 주장도 그와 일치한다: “여자로서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역사적 전개와 발전


이 ‘성차별교육 철폐론’은 19세기부터 앞서 일어난 여권운동의 지속적인 발전선상에서 시작됐다. 이 운동 초기에는 단순히 여성과 남성의 동등권을 요구했지만, 1990년 초 이래 ‘제3의 물결’인 페미니즘에서는 그 차원을 넘어 사회적·기능적 모든 삶의 영역에서 여성들의 동등한 위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이제는 각각의 성별에 상관 없이, 심지어 모든 사람의 동일성을 주장하게 됐다.


GM의 개념은 1985년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제3차 유엔 세계여성대회 때 처음 논의됐고, 1995년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4차 유엔 세계여성대회에서 진전됐다. 베이징 결의서는 국제연합(UN) 결의서로 채택됐고, 4년 후 유럽연합(EU)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확정됐다. EU는 이미 1997년 ‘GM’을 회원국들의 의무로 선포하고, 1999년 5월 1일부터 법적 구속력을 갖고 실행했다. 이에 따라 독일 정부를 포함하여 EU 모든 정부들도 GM을 자신들의 법적 준칙 속으로 정착시켰다. 이는 공적 삶의 모든 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양성을 취급할 때, 어떤 차별도 해서는 안 된다는 법적 원칙을 의미한다. 이후로 많은 유럽 대학에서 ‘젠더학’(Gender-Studien)을 새로운 학과로 도입했고, 그로 인해 대학생들은 남녀의 성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배워야 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의 교수였던 여성철학자 쥬디트 버틀러(Judith Butler, 1956- )는 ‘젠더 이데올로기’의 선구자로 알려졌는데, 자신을 레즈비언으로 밝히고 있다. 그녀는 1990년 출간된 저서 ‘Gender Trouble–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의 독일어 제목을 ‘성의 불쾌감’(Das Unbehagen der Geschlechter)이라 붙이면서, 제목부터 이미 남성과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전복과 파괴에 관해 다루고 있다. 그녀의 주장에 따르면 남자와 여자, 부부와 가족,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본래 생물학적 성별에 따른 천성적인 의무가 없다고 한다. 나아가 그녀는 생물학적 성별에 기초한 모든 의무들은 남성 우월주의에 근거했다는 전제 하에, 성에 기초한 모든 구별을 근절시키고자 했다.


그러한 주장의 불합리성과 무모함이 확인된 가운데서도, 그녀는 ‘중성적 언어’ 도입을 시도했다. 그녀의 본질적 의도는 남성적·여성적인 것의 모든 구별을 폐기시키는 데 있었다. 모든 인격적인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양성적 형태(남학생과 여학생들; Schüler und Schülerinnen)를 함께 사용하든, 아니면 여성과 남성에 관련된 포괄적 단어의 형태, 예를 들어 ‘남학생’ 대신 ‘학생들’의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스위스의 많은 초·중·고교에서는 실제로 지금 ‘부모1’ ‘부모 2’로 호칭함으로써,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양성적 역할의 차이에 대한 언급조차 회피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스웨덴에서는 선생님들이 학급 교실에서 남학생·여학생이라 부르는 것이 금지돼 있고, 학생들을 부를 때 공통적으로 ‘친구(Vänner)’라는 호칭어를 사용해야 한다.


젠더 이데올로기를 추종하는 사람들은 이런 방식으로 새로운 세계관을 도입하려 하며, 그 속에서 동성애를 포함해 젠더의 다양성을 위한 공간이 만들어지기를 추구한다. 거대한 호칭의 일률성 안에서 양성의 모든 차이들을 없애려 시도하면서, 그들의 새로운 세계관에 기초한 사회로 바꾸고자 한다. 심지어 ‘새로운 사람’을 창조하기 위한 선구자적 도구로, ‘중성적 언어’를 만들고자 한다.


쥬디트 버틀러(Judith Butler)는 새로운 이론으로 사회적 인정을 받게 됐다. 특히 2012년 9월 프랑크푸르트 시에서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상을 수상한 후, 20년 만에 그녀의 이론은 많은 대학에서 ‘젠더학’(Gender-Studies)이라는 이름 하에 정규 학과목으로 채택됐다.


2. ‘성 차별 교육 철폐론’의 영향과 결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옹호·주장하는 자들은 모든 분야에서 ‘성’의 절대 동일성을 요구하고, 그것을 관철시키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고 있다. 나아가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성 외에도 다양한 성들이 있음과, 모든 성적 성향들이 동등한 가치로 인정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각자가 고유의 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자유도 존중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동시에 옛부터 전승된 덕성, 도덕, 그리고 정절 같은 숭고한 가치 개념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새로운 젠더 이데올로기들로 문화를 채우기 위해 지금까지의 고유 중심개념들을 무가치하게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진리와 책임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 ‘자유’의 개념을 “당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라!”는 개념으로 파기하거나, 역기능화시킨다. 이로 인해 동성애주의에 대한 가치 평가와 양성주의(Heterosexualität)와의 동등성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심지어 사회나 언론에게서 동성애에 대한 두려움이나 미움 때문이라는 ‘호모포비아’(동성애 혐오자)로 지탄받거나 정신 이상자로 취급받고 있다.


3. 생물학적 또는 인류학적인 혁명


GM은 생물학적 혁명의 결과이다. 두 번에 걸쳐 선행된 거대한 혁명들, 즉 프랑스 대혁명(1789)과 볼셰비키 혁명(1917) 이후 세 번째 세계사적 혁명으로 간주되고 있다. 두 거대한 혁명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제도에 대항하여, 즉 정치적 신분제와 경제적 계급사회에 대항했다면, 세 번째 혁명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와 하나님 주권에 대항하여 일어나고 있다.


젠더주의(Genderismus)는 무신론적이며 반신론적일 뿐 아니라, 교황 프란치스코가 강조했듯 사단적 근원들을 갖고 있다. 2012년 12월 21일 추기경단 전체 모임에서,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젠더 이데올로기 안에 깊이 숨겨진 비진리성과 그 근간을 이루는 ‘인류학적 혁명’을 경고했다. 그는 이렇게 선포하였다.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투쟁은 인간 자신,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 하나님이 부인되는 그곳에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도 무너져 버린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계속>


/피터 바이어하우스(Peter Beyerhaus)
신학박사, 독일 튀빙겐대학교 신학교수 은퇴
번역: 피터 장(Peter Chang)
(약학박사, 현 유럽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명예대표)


?

  1. No Image

    죽음준비 설교

    죽음준비 설교 송영목 페이스북 죽음 준비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고 2년 지난 1519년, 루터는 죽음의 준비에 대한 설교에서 20가지 방법을 제시했다(루터 전집 42:97-115). 주의할 것은 여러 곳에(4-5, 13, 15-19단계) 가톨릭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1.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29
    Read More
  2. No Image

    동성애에 관한 입장, 예장통합 총회

    예장 통합 총회, 동성애에 관한 입장, 예장통합 총회 동성애에 관한 총회의 입장 총회는 이전 회기에 이미 동성애 문제와 퀴어 문화 축제, 미 장로교회의 동성애 결혼 개정 등에 대해 입장을 발표해 왔으나 생명 존중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40
    Read More
  3. No Image

    소아성애자들의 논리 일곱 가지

    소아성애자들의 논리 일곱 가지 미국의 신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인 마이클 브라운 박사가 얼마전 한 기독교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동성애 합법화로 인해 이제 소아성애 합법화 가능성까지 커졌다고 우려하면서 소개한 소아성애자들의 논리가 인상적입니다. 브라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284
    Read More
  4. No Image

    복음서는 왜 네 권인가?

    복음서는 왜 네 권인가? 조병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바른미디어, 2017.5.31. 네 권의 복음서가 있는 것은 초대교회 때부터 고민거리였습니다. 왜 복음서가 네 권이 있어야 하는가? 그래서 초대교회의 어떤 목사님, 어떤 신학자는 복음서가 네 권이 있어야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71
    Read More
  5. No Image

    한국인이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말

    한국인이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말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흔히 쓰는 말들 중에는 순우리말이 있는데도 일본말을 쓰는 것들이 있는데요. “의미만 전달되면 됐지”라는 잘못된 생각이 요즘 말하는 “한글파괴”의 주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요즘 학생들...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1 Views4779
    Read More
  6. No Image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들이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 이승구 교수/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뉴스앤조이 글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들이 과연 어떤 것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일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더구나 그것들이 기독교 세계관과 어떤 관계성을 가져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일은 더 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19
    Read More
  7. No Image

    경제공동체, 입증 안 되면 어떻게 하나

    경제공동체, 입증 안 되면 어떻게 하나 어쩌다 592억 원이 된 박근혜 뇌물 <동아일보> donga.com [송평인 칼럼] 송평인 논설위원 입력 2017-04-19 03:00 수정 2017-04-19 05:04 미르·K스포츠 재단 출연금 어디는 뇌물, 어디는 강요 검찰도 확신 없이 특검 따...
    Date2017.04.19 Bydschoiword Reply0 Views1283
    Read More
  8. No Image

    은사운동의 혼란/ 김효성

    은사운동의 혼란 김효성 목사 2013년 2월 23일 내용 목차 은사운동의 기원과 특징과 세력 성령의 세례에 대하여 성령의 초자연적 은사들에 대하여 은사운동에 대한 비평 서론 어떤 이는 오순절주의 혹은 은사운동에 성령이 역사하심을 의심할 수 없다고 말하...
    Date2017.03.25 Bydschoiword Reply0 Views1062
    Read More
  9. 헌재 고발장, 우종창

    역사자료 고 발 장 고 발 인 우종창(○○○○○○-○○○○○○○) 서울 강북구 솔매로 ○○-○, ○○○호 연락처 : 010-5307-5472 피고발인 1. 이정미 : 헌법재판소 재판관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5(재동 83) 헌법재판소 2. 김이수 : 헌법재판소 재판관. 주소는 위와 같음 3. 이...
    Date2017.03.14 Bydschoiword Reply0 Views934 file
    Read More
  10. No Image

    진보를 가장한 좌익의 선전선동

    대한민국 부정…진보를 가장한 좌익의 선전선동 자유를 깨달은 이들의 절박함이 대한민국을 진보하게 해 <미디어펜>(승인 2017-03-12 09:20:55 | 편집국 기자 | media@mediapen.com) 진보진영은 진보적인가? 첫인상은 참으로 중요하다. 한번 형성된 첫인상은 그...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712
    Read More
  11. No Image

    한 중국 공산당 간부가 탄핵 정국에 대하여 한 말이다

    한 중국 공산당 간부가 탄핵 정국에 대하여 한 말이다 <대한신보> 2017.3.11. ​1. “권력자는 선전부를 장악하지 못하면 끝난다.” ​박근혜(朴槿惠) 대통령이 언론을 장악하기는커녕 적대적(敵對的) 관계를 유지하다가 종국엔 언론에 장악된 것을 평한 말이다. 2...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622
    Read More
  12. No Image

    김평우, 탄핵을 탄핵한다

    오늘부터 우리는 제2건국의 행군을 시작합시다!(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38709) 김평우 /전 대한변협 회장, 박근혜 대통령 대리인단 변호사 1. 3월 10일 헌법재판소는 8인 재판관 전원이 국회의 탄핵소추를 인용하여 박근혜 대통령님...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608
    Read More
  13. No Image

    박근혜의 책임-이념의 결핍

    보수조직의 붕괴와 박근혜의 책임 - 이념의 결핍/ 조갑제 (조갑제닷컴의 글) 조직붕괴 어느 중국 공산당 간부가 한국의 탄핵 정국에 대하여 한 말이다. 1. “권력자는 선전부를 장악하지 못하면 끝난다.” 박근혜(朴槿惠) 대통령이 언론을 장악하기는커녕 적대...
    Date2017.03.12 Bydschoiword Reply0 Views684
    Read More
  14. No Image

    조갑제, 어찌 이런 것을 헌재의 판결문이라 할 수 있나?

    조갑제, 어찌 이런 것을 헌재의 판결문이라 할 수 있나? 사랑하는 법치 애국 시민 여러분, 1. 여러분, 어제 우리는 결코 지지 않았습니다. 진 것은 우리가 아니라 헌법재판소입니다. 여러분, 어제 많이 긴장하고, 놀라고, 괴로우셨지요? 특히 저에게는 박근혜 ...
    Date2017.03.11 Bydschoiword Reply0 Views804
    Read More
  15. No Image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판결문

    헌법재판소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 판결문 지금부터 2016헌나1 대통령 박근혜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를 시작하겠습니다. 선고에 앞서 이 사건의 진행경과에 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저희 재판관들은 지난 90여일 동안 이 사건을 공정하고 신속하게 해결하기...
    Date2017.03.11 Bydschoiword Reply0 Views289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