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논문 쓰기 방법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 미국 미시건 대학교 사회심리학 석사
  • 미국 미시건 대학교 사회심리학 박사
  •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 현)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현)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 현)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소장
  • 현) 듀오 휴먼라이프 연구소 연구책임 교수
  • 한국 심리학회 소장학자상 수상

 

◎ 논문 작성시 유념해야 할 세 가지 요소


1. 보고된 연구가 흥미롭다 (interesting)라는 인상을 줄 것

2. 논문이 잘 쓰여졌다 (beautifully-written)라는 인상을 줄 것

3. 논문이 학술 논문의 구성 요소를 모두 갖추었다 (complete)라는 인상을 줄 것


논문은, 그 것이 학위 논문인든 학술지 논문이든, 자신의 연구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매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 연구는 기가 막히게 재미있는데 논문으로 표현을 못했어. 그래서 인정을 못 받는 것 같아"라고 하는 것은 결국 "내 논문은 형편없어"라고 말하는 것과 똑같다. 가능하면 다른 연구자들이, 특히 심사위원들이 자신의 연구를 중요하게 여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논문 쓰기의 목적이며 이는 그 논문을 "흥미롭게 잘 쓰는 것에" 상당 부분 달려 있다. 이 것은 "내용은 별 볼일 없는데 포장만 그럴듯하게 하면 된다"라는 것이 결코 아니다. 별 볼일 없는 내용이라면 처음부터 글 쓰기에 착수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어떤 논문이 흥미 있는가?


1) 첫 문장의 중요성: 첫 문장을, 혹은 첫 문단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독자들의 기대 수준은 거의 결정된다. 자신의 논문이 읽을 가치가 있다는 인상을 주지 못하면 그 논문은 연구 결과가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읽히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좋지 않은 쓰기의 유형:

a. 첫 문장에 너무 많은 말을 쓰는 것

b. 첫 문장에서 자신이 관심있어 하는 현상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연구를 단순히 기술 하는 것

c. 전문 용어를 남발하는 것

d. 자신의 요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우회적,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효과적인 쓰기의 유형:

a. 질문으로 시작하는 것

b. 구체적인 예로 시작하는 것

c. 아주 직접적으로 논문의 목적을 바로 기술하는 것

- 특히, 첫 문장에서 연구의 목적을 단도직입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2) Controversy를 만들어 낼 것: 독자들에게 자신의 연구 가설을 어필시키려면 자신의 가설이 "당연하다"라는 인상을 주면 안된다. 그 것보다는 자신의 가설이 왜 직관적이지 않은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가지 요령은 자신의 가설과 정반대의 가설이 왜 가능한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녀의 성비가 불균형일수록 그 사회의 폭력성이 증가한다.'는 가설이 있다고 증명하자. 논문의 저자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가설이 왜 타당한지를 입증하려 할 것이다. 그러면 독자는 논문 저자의 그러한 노력에 쉽게 설득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그 가설이 매우 직관적이라는 인상을 갖게 되어 논문에 대한 진정한 가치 인정 (appreciation)이 어려워진다. 이 때 만약 논문 저자가 '성비가 불균형일수록 사회의 폭력수준이 낮아진다'라는 가설, 즉 자신의 가설에 대한 대안 가설이 왜 설득력이 있는지를 제시하게 되면 독자들은 대립되는 가설들 사이에서 긴장감을 경험하게 되고 이것이 독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게 된다. 설사 매우 직관적인 연구 주제라 하더라도, 그 주제가 그렇게 직관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을 유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Literature Review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 많은 학생들은 문헌리뷰 부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문헌 리뷰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문헌 리뷰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들을 '있는 그대로' 요약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문헌 리뷰를 통해서 자신이 얼마나 많은 공부를 하였는지를 보여주려 한다. 하지만 이는 오해이다. 문헌 리뷰는 이전 연구를 단순히 요약 기술하기 위하여 있는 것이 아니다. 문헌 리뷰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자신의 연구가 왜 새로운 것인지, 기존의 연구가 밝히려고 한다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것이다. 문헌 리뷰는 자신이 이전 연구를 많이 읽었다 라는 것을 증명하는 작업이 결코 아니다. 문헌 리뷰를 통하여 자신의 연구와 기존 연구 사이의 갭 (gap)을 들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그것이 자신의 논문을 흥미롭게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 잘 쓰여진 논문이란?

 

a. 논문의 모든 부분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b.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story)가 분명해야 한다.

 

c. 군더더기가 없는 글이어야 한다.

 

d. 비전문가도 논문의 요지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1) You don't know your story? Determine what to write: 논문 쓰는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은 가끔 글쓰기 기술의 부재로 인해 좋은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논문으로 쓰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은 글쓰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고에 있다. 자신의 연구 가설이 무엇인지, 자신의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이 무엇인지, 자신의 연구 결과가 무엇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 자신의 연구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스스로 분명하지 않을 때 논문 작성은 당연히 어려워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논문을 효과적으로 쓰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연구에 대하여 "자신의 스토리"를 확실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어떻게 쓸 것인가"를 걱정하기 전에 "무엇을 쓸 것인가"에 대한 분명한 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2) Writing should be a communicative process: 자료에 대한 분석이 모두 끝나고 마지막 글 쓰기가 남았을 때 가끔 학생들은 어디론가 잠적하고 싶어한다. 조용한 곳에서 글쓰기에 몰두하겠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런 학생들이 제출하는 논문들 중에서 잘 쓰여진 논문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 논무을 쓰는 사람은 글쓴이 자신이다. 그러나 자신 혼자 힘으로만 글을 쓰게 되면 대체로 실패하기 마련이다. 논문은 초기 단계에서부터 마지막 단계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눈이 아닌 "다른 사람의 눈"으로 살필 때라야 문제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연구 논리, 가설의 타당성, 결과 분석, 논의의 모든 부분을 다른 사람과 의논하는 것이 좋다. 논문을 작성한 후에 피드백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논문을 쓰기 전, 그리고 논문을 쓰는 전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의견을 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잊어서는 안되는 점은 사람들이 좋은 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은 없다 하더라도 어떤 논문이 잘 쓰여진 논문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은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의 눈을 통하여 얻는 피드백은 예상보다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논문을 쓸 때는 철저하게 다른 사람과 "대화하듯"써야 한다. 일상 생활의 대화에서 효과적인 대화를 나누기 위하여 우리가 지키는 많은 원칙들을 논문에서도 그대로 지켜야 한다. 따라서 논문을 쓸 때, 자신이 쓴 부분을 크게 읽으면서 마치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듯 써보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다.

 

3) Who is your audience? 훌륭한 논문은 이해하기 쉽다. 비록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전문 용어는 그 분야의 사람이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울지라도 그 논문의 요지, 의미 등은 비전문가, 심지어 여러분의 할머니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쉬운 용어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명쾌한 논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Your audience is not as well informed as you are: 학생들이 범하는 가장 보편적인 오류는 자신의 연구의 절차 및 결과 부분을 자세히 기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논문을 읽을 사람들은 자신보다 훨씬 배경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므로 모든 연구 절차를 "지나치게 자세하다 싶을 정도로" 기술하여야 한다. 자신의 논문의 독자들이 자신의 논문을 읽고 나서 그 연구를 그대로 반복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게 기술하여야 한다. 그런데 글을 쓰다 보면 학생들은 "이렇게만 기술해도 알겠지"라는 착각을 쉽게 하게 된다.

 

5) Writing itself is a good source of feedback about your writing: 좋은 논문을 쓰는 과정에는 끝이 없다. 쓰고 또 고치고, 쓰다가 자료 분석을 다시하고, 어휘를 바꾸고, 글의 순서를 바꾸고 하는 과정이 수 없이 일어난다. 따라서 논문을 쓰는 것 자체가 논문 쓰기에 대한 기술을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6) Don't end your paper with an apology: 한국 학생들은 논문의 마지막에 "고해성사"를 한다. 자신의 연구는 이러이러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더 좋은 연구를 하였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죄송하다 라는 투의 자백이 존재한다. 이런 끝맺음은 글쓴이가 의도한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오기 십상이다. 글쓴이는 자신의 연구가 왜 흥미로우며 중요한지를 설득하기 위하여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된다. 만일 그렇게 허점이 많은 연구라면 처음부터 더 철저하게 연구를 했어야 옳다. 아니면 글쓰기를 미루어야 할 것이다. 좋은 논문은 좋은 연구 없이 있을 수 없다. 자신이 최선을 다한 연구라면 자기 연구의 장점을 강하게 부각하는 것이 독자들에게 효과적이다. 연구자 스스로 문제가 많다고 인정하는 논문을 누가 인정하려 들 것인가?

 

7) Don't peter out: 마지막으로 지적하고 싶은 사항은 대부분의 경우 학생들은 종합 논의 부분에서 꼬리를 내린다는 것이다. 이 점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하나는 종합논의 부분의 길이가 다른 부분의 길이보다 매우 짧다는 것이다. 논의 부분 이전까지 쓰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 나머지 마지막 논의 부분을 허술하게 작성하는 경향을 보인다. 두 번째 형태는 노의 부분을 참신하지 않은 무난하고 관례적인 내용으로 채우는 것이다. 종합 논의 부분은 전체 논문 중에서 저자의 개인적인 사고와 주장을 강하게 펼 수 있는 곳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자신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배짱 있게 자신의 주장과 소신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신의 주장이 터무니 없이 황당하지 않는 이상 wild speculation이나 bold prediction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신의 연구 결과의 의의나 시사점들을 용기 있게 제시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고를 유도하고, 저자 자신도 후속 연구에 대한 지적 자극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최덕성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서울: 지식산업사, 2010) 참고

 

 

?

  1. No Image

    친구의 조건 다섯 가지

    친구의 조건 다섯 가지 첫째, 유정(有情) 인간미, 눈물, 사랑 무정한 사람이거든 친구로 삼지 말라. 인간다움의 첫째 조건이 인정이다. 원만한 성품 우정의 제1덕목을 '좋은 성품'이다. 둘째, 예의 예의가 없거든 보지 말라. 듣지 말라, 말하지 말라. 예의가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13
    Read More
  2. No Image

    종교인 과제법 연기/ 이혜훈

    종교인 과제법 연기/ 이혜훈 김진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한 종교인 과세 2년 유예 법안에 바른정당 소속 의원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이혜훈 대표가 10일 이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했다. 이 대표는 "2015년에 통과된 소득세법 일부개정안에 의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56
    Read More
  3. No Image

    대한민국 육군대장의 갑질

    대한민국 육군대장의 갑질 육군대장의 갑질/ 이한의 난 1975년도 3월에 군입대하여 논산훈련소에서 기본훈련을 받고 또 102보충대에서 자대 배치전 마지막 훈련을 받는 중에 사단수색대에 착출이 되어 만기제대 할 때까지 죽을 고생을 했다. 적 GP 코앞에서 날...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1 Views1482
    Read More
  4. No Image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김효성

    복음주의 비평 김효성 목사 2017년 6월 12일 수정 머리말 본서는 저자가 이전에 쓴, 그러나 지금은 절판된, 현대교회문제: 배교, 타협, 혼란이나 현대교회문제자료집 등에 있는 ‘복음주의’와 ‘근본주의’에 관한 자료들을 다시 정리하고 또 그 동안 수집한 기타...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783
    Read More
  5. No Image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김영환 교수 들어가는 말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이 시작된 이후 스위스 제네바는 프랑스 사람 존 칼빈에 의해 참된 교회 건설의 전초기지가 되었다. 유럽의 수많은 개혁 지도자들은 이 곳 제네바 교회와 그 교회의 지도자 칼빈으...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565
    Read More
  6. No Image

    인터콥(선교단체)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연구보고서

    인터콥(선교단체)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연구보고서 고신선교위원회에서는 이미 인터콥이 선교에 유해하다는 판정을 한 바가 있다. 고신 선교위원회와 여러 교단과 선교단체의 지적을 받은 인터콥은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신학지도위원회의 자문을 받...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903
    Read More
  7. No Image

    폐쇄위기의 오프라인 신학교들

    - [취재수첩] 풀러신학교 지역 캠퍼스 매각과 온라인 추세에 대한 우려 뉴스앤조이 (2017.07.31.) [미주뉴스앤조이=양재영 기자] 얼마전 일부 지역 캠퍼스를 폐쇄한다고 발표한 풀러신학교의 발표는 에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이 되었다는 자조섞인 목소리가 높...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94
    Read More
  8. No Image

    중년이어서 아름다운 사랑

    중년이어서 아름다운 사랑 배정원 졸혼·황혼이혼으로 가족 울타리 벗어나는 독신중년들의 불타는 로맨스 최근 중년들의 로맨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중년의 로맨스 하면 쉽게 《메디슨카운티의 다리》를 떠올린다. 미국 아이오와주에서 평범하고 한적한,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03
    Read More
  9. 루이스 벌콥과 한국교회의 신학

    루이스 벌콥과 한국교회의 신학 <김영규 목사>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이제라도 한국장로교회는 건전한 개혁주의 신학 사상 회복해야” 한국장로교회에서 루이스 벌콥(Louis Berkhof)의 조직신학이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특히 그의 생애에 있어서 신학...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05 file
    Read More
  10. 사도신경의 한계

        사도신경의 한계   "너희가 하나님의 영을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요일 4:2).   1. 신조(Creed)는 기독교의 근본 교리를 새롭게 세우려는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신...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40 file
    Read More
  11. No Image

    네덜란드개혁교회의 여자 직분 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

    네덜란드개혁교회의 여자 직분 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 <개혁정론> 2017.7.15. 임경근 목사 (다우리교회 담임목사) 임 목사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신학대학원 Kampen(Drs.)과 Apeldoorn(Ph. D.)에서 공부했으며, 그의 박사학위 논문제목은 “Het spoor van de vro...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56
    Read More
  12. No Image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법정 진술 모두 발언 전문>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법정 진술 모두 발언 전문> 저는 대학을 졸업한 뒤 23년간 검사로 근무하였고, 이후 1년의 변호사 생활을 거쳐 2년 6개월간 다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및 민정비서관으로 근무하였습니다. 학교 졸업 후 제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공...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936
    Read More
  13. No Image

    청소년 감소 현상과 교회 교육의 대처 방안

    청소년 감소 현상과 교회 교육의 대처 방안 - 2017년 7월호 김성중 교수 (장신대) 청소년 감소 현상과 교회 교육의 대처 방안 - 2017년 7월호 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청소년 통계’에 의하면, 9-24세(청소년 기본법 기준에 따른 청소년 연령)에 해...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78
    Read More
  14. No Image

    김성수 목사에 대한 보고서 (예장합신, 2015)

    김성수 목사에 대한 보고서 (예장합신, 2015)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012
    Read More
  15. No Image

    종교개혁과 교리개혁: 사도신경을 중심으로/ 유해무

    미정리 상태입니다. 조금 후에 정리하겠습니다. 아래의 글은 2017년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린 하계목회대학원의 강의안입니다. - 편집자 주 개혁정론 2017.06.23 종교개혁과 교리개혁: 사도신경을 중심으로 ? ?유해무 교수/ 고려신학대...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118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