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기독개혁신보


새 관점은 전가 교리를 대신한다.



새관점(NPP)은 통상 목적격으로 해석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갈 2:16)를 “예수의 신실함으로”라고 소유격으로 해석한다. 이것은 헬라어의 소유격이 목적격적 소유격으로도, 속격적 소유격으로도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처음 루터가 목적격적 소유격으로 해석한 이래로 종교개혁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이라는 방식으로 해석을 해왔다. 그리고 그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법정적으로 전가되어 우리를 의롭다고 간주하는 것으로 믿음을 해석했다.


여기서 ‘전가’는 말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충분한 구원의 공로로써 그리스도의 순종과 형벌적 대속을 우리의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물론 ‘그리스도와의 연합 교리’가 자리하고 있고 이는 칼빈 신학의 핵심 원리 중 하나다.


그런데 새관점은 이 부분을 “예수 그리스도의 신실함”이라고 해석한다. 아담이 실패한 것을 온전히 순종하고 형벌적 대속을 함으로써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본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리스도가 신실함으로 우리에게 본을 보였으니 우리도 그 길을 따라 신실히 행함으로써 구원 얻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성령의 연합케 하는 역사’가 전제되어 있다.


톰 라이트의 경우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롬 1:17)를 주해하면서 전자의 믿음을 그리스도의 신실함으로, 후자의 믿음을 신자의 신실함으로 해석한다. 즉 그의 ‘믿음’에는 ‘언약에 신실함’이라는 행위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즉 그리스도는 이전 세대에 모든 사람들이 실패했던 길을 신실하게 행하셨으므로 우리는 그 본을 따라 신실하게 삶으로 의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는 성령의 연합케 하는 역사가 전제되지만, 믿음은 언약적 신실함이므로 칭의 역시 이 언약에 신실한 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열매와 더불어 그 결실을 거두는 미래적 칭의 개념을 더하게 된다.


물론 성령으로 연합한 시점에 칭의의 요소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톰 라이트의 믿음 이해에는 ‘신실함’이라는 개념이 들어 있다. 이렇게 되면 전통적으로 종교개혁의 신학인 믿음으로 의로워지는 ‘이신칭의’에 행위를 결부시키지 않는 것과는 달리, 그의 신학은 칭의와 성화를 구분하지 않던 시절, 즉 의화라고 불리던 종교개혁 이전 시기의 신학으로 회귀하게 된다.


새관점은 칭의 속에 성화의 요소로써 우리가 언약적 삶을 신실하게 사는 것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성령의 연합을 설정해 두고 있다. 대신에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신학적 개념 중 하나인 전가의 개념을 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종교개혁 신학이 ‘의인은 오직 믿음으로 산다’고 할 때, 여기에는 또 다른 신학적 장치들이 있다.


곧 믿음은 우리 구원의 효력인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공효, 곧 은혜를 받는 내적 방편이다. 그리고 이 내적 방편으로 외적 방편인 ‘은혜의 수단들’을 사용함으로써 이 공효들을 공급받고 선행이라는 열매를 맺는 구조로 설명했다. 선행은 우리의 행위나 결단이나 노력이 아니라 우리가 그리스도께 더 잘 붙어 있을 때, 곧 그리스도와 더 잘 연합할 때 비로소 우리에게 열매를 맺는 것으로 설명한다.


새관점의 언약적 신실함이라는 개념은 믿음이 결여하고 있는 행위를 믿음에 부여함으로써 믿음을 더 믿음 되게 한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성령의 연합이라는 전제에도 불구하고 기본적 구조가 예수의 신실함을 본받는 우리의 신실함이기 때문에 오히려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우리 편의 행위를 더 강조하게 되므로써 오히려 연합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또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성경이 오랫동안 인간의 부패에 대해 지적하고 이스라엘의 실패로 이 사실을 분명하게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믿음을 구원론적 문제가 아니라 교회론적 문제로 만듦으로써 인간의 부패를 간과하고 그리스도의 신실함을 따라 우리가 그것을 본받을 수 있다고 전제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미 지적한 대로 전가 교리가 철저하게 구원의 공효를 그리스도 안에만 둠으로써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만 그 공효가 우리에게 흘러 들어오도록 한 구조와 그 장치들, 예컨대 은혜의 방편과 믿음 그리고 거기에 역사하시는 성령의 역사라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아주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선행이라는 결실을 맺는다는 신학적 해석을 버리고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전통적인 성경 해석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한 채 이 새관점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는 점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것은 신학이 현실과의 대화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원인에서 찾을 수 있다. 곧 ‘이신칭의’를 오해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행함 없는 믿음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새관점이 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회의 ‘이신칭의’ 신학을 떠나 새관점이 제시하는 길로 갈아타기보다는 우리가 어떤 신학적 전통에 서 있는가를 명백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

  1. No Image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현재 일본의 기독교인 수는 약 105만 명이다. 이는 일본의 총인구 약 1억2천만 명 가운데 대략 1%에 해당하는 숫자다. 약 150년 동안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전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지금도 결정적으로 소수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680
    Read More
  2.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총대, 그리고 교회 (신재형, 페이스북 글, 2017.10.11.) 최근 고신 교단 총회에 김세윤 교수가 포함된 이신칭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와 신학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질의가 상정되었다. 신학위원회는 이에 대해 논의를 했...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06 file
    Read More
  3. 문 닫는 교회 스타일 15가지

    문 닫는 교회 스티일 15가지 <기독일보> 20170506 1. 전도 하지 않는 '불임(不姙)교회' 흔히 전도지만 돌리는 형식적으로 전도로는 생명을 잉태시킬 수 없습니다. 입으로 발로 뛰면서 세상 사람들의 삶속에 뛰어들어야 합니다. 한 생명을 천하보다 더...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869 file
    Read More
  4.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My Response I just read a disturbing, I mean for me personally, earth-shatteringly disturbing essay by Christiane Tietz about Karl Barth entitled: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As most of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1595 file
    Read More
  5. No Image

    박영돈의 칭의론, 고신신학자답지 않다.

    박영돈의 칭의론, 고신신학자답지 않다. 정이철 <바른믿음> (2017.10.05). 박영돈 교수의 칭의에 대한 글에 대해 사람들의 말이 많다. 어떤 분이 박 교수의 “값싼 은혜의 복음은 종교개혁의 가르침을 왜곡한 것”이라는 글을 자신이 페북에 올리면...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25
    Read More
  6. 예장 통합, 천주교 영세 인정 수용

    예장 통합, 천주교 영세 인정 수용 (교회와 신앙 기사) [ 주요 교단들의 정기총회에서 이단 사이비 관련 보고서들이 제출돼 채택되었다. 먼저 예장통합(총회장 최기학 목사) 제102 총회에 보고된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의 연구 및 조사 보고서들을 소개한다. ①...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059 file
    Read More
  7. 제2의 종교개혁 : 로마서 9-11장을 중심으로 (1)

    제2의 종교개혁 : 로마서 9-11장을 중심으로 (1) 소기천 교수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성서신학, 예수말씀연구소 소장 I. 서론 ▲ 소기천 교수 본 소고를 통해서 제2의 종교개혁이 주는 도전과 의지가 봉화처럼 타오르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 시간 이스라엘에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6970 file
    Read More
  8. No Image

    샌디메니안주의 (Sandymanianism, Believism)

    샌디메니안주의 (Sandymanianism, Believism) 마틴 로이드존스 “18세기말경에 스코틀랜드에 존 글라스(John Glas)라는 사람이 살았습니다. 그는 영국인 사위를 두었는데 그의 이름은 샌디멘(Sandyman)이었습니다. 그 두 사람은 같이, 매우 인기가 있고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30
    Read More
  9. No Image

    한 명 전도한 목사

    스코틀랜드의 한 교회에서 있었던 일화입니다. 평소처럼 주일 예배가 끝난 후, 장로님들이 목사님과 면담을 하기 위해서 회의실에 모였습니다. 장로님들중 대표 한 사람이 목사님에게 사임을 요청했습니다. 장로들은 목사님이 직무를 감당하시기에 너무 늙었다...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912
    Read More
  10. No Image

    웨슬리의 구원의 조건 / 장기영

    --- 웨슬리의 “구원의 공로”와 “구원의 조건” 사이의 구분 --- 장기영 교수 하나님께서는 구원의 과정에서 인간이 신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에 반응하기를 원하시는가? 아니면 인간의 어떤 반응도 전혀 고려하시지 않고, 심지어 그가...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972
    Read More
  11. No Image

    휫필드가 웨슬리에게 보낸 표지

    조지 휫필드가 존 웨슬리 목사에게 보내는 편지 서론 사랑하는 웨슬리의 설교에 반대하여 이 편지를 출판하는 것이 얼마나 다른 결과를 초래할지를 매우 잘 알고 있다. 만인 구원론을 불굴의 의지로 지지하고 있는 많은 내 친구들은 당장 기분이 상할 것이고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31
    Read More
  12. No Image

    이재용 판결문에 나타난 의문 4가지

    ‘대통령과 피고인 이재용 사이에는… 각 단독면담과 이에 따라 이뤄진 승마지원행위 과정에서, 피고인 이재용의 포괄적 현안인 ‘승계작업’에 대해, 대통령이 우호적 입장을 취하거나 부정적 입장을 취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852
    Read More
  13. No Image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 동성애 관련 대 정부 메시지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 오늘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 발표에는 한국 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교회교단장회의 소속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교단을 포함한 26개 교단장들이 참여했습니다. 한국교회교단장회의(공동대표 김선규, 이성희, 전명구 목사)에는 예장...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938
    Read More
  14. No Image

    목회자의 실수 10가지

    목회자의 실수 10가지 미국 목회전문 인터넷매체 '처치리더스'가 최근 '교인들을 망치는 목회자들의 행동 10가지'란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이 칼럼을 쓴 미국의 목회 전문가이자 기독교 작가인 조 맥키버(Joe McKeever) 목사는 먼저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05
    Read More
  15. No Image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존 스토트 다음은 존 스토트의 저서 ‘복음주의의 기본진리(Evangelical Truth)’에서 제시한 근본주의와 복음주의를 구분하는 10 가지 기준입니다. 저는 복음주의자입니다. 근본주의는 배격합니다. 첫 번째, 근본주의는 반지성주의 경향을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8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2 Next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