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신학라이브러리
  • Bread University
sitemap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신학라이브러리
  • Bread University
리포르만다

ECCLESIA SEMPER REFORMANDA

  •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 김경재 박사가 남긴 말
  • 정치 설교, 성경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
  •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하기아소피아대교회당 (현 이스탄불)
회원가입 ID/PW 찾기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 로그인
  • 회원가입




  • 인기글
  • 최신글
  •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대대한민국 헌법 ...

    2025-06-17

  • 손봉호 담론과 교회의 ...

    '도덕'의 옷을 입고 들어온 다른 복음 : 손봉호 담론과...

    2025-06-13

  • WCC에 대하여

      WCC에 대하여   김요셉의 페이스북 글   WCC는 이미 ...

    2025-06-14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

      위 사진은 아래의 글과 함께 기윤실 홈페이지에 게시...

    2025-06-23

  • 플립 러닝 시대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시대     펜실베니아...

    2025-06-29

  • 플립 러닝 시대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시대     펜실베니아...

    2025-06-29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

      위 사진은 아래의 글과 함께 기윤실 홈페이지에 게시...

    2025-06-23

  •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권력은 법 위에 있지 않다     대대한민국 헌법 ...

    2025-06-17

  • WCC에 대하여

      WCC에 대하여   김요셉의 페이스북 글   WCC는 이미 ...

    2025-06-14

  • 손봉호 담론과 교회의 ...

    '도덕'의 옷을 입고 들어온 다른 복음 : 손봉호 담론과...

    2025-06-13

  • 통역이 없을 때 방언하지 마라고 분명히 가르칩니다. 그건 성경의 가르침에 분명 위배되는 것입니다.   2025-06-02

  • ‘다수의 폭정’ 길 넓혀준 위험한 결정 입력 2025-04-07 문화일보 허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헌법...   2025-04-08

  • 귀신이 역사하는 걸 직접 본다면.. 방언기도할때 배가 꿈틀된다거나, 혀가 빠지거나 하는건 뭐조   2025-03-18

  • 김구는 중국 국적을 취득했는가? 김구의 국적에 대한 이견이 분분합니다. 프랑스 보고서에 따르면 김구 1934...   2025-03-14

  • 공감 합니다. 저희 교회도 가정 교회를 운영하고 있는데 주일 오후 예배와 금 요 예배가 갑자기 사라졌고 각...   2025-01-31

  • 안창호 선생님이 썼다고. 증언하시는 위대한 스승님들이 많습니다. 1919년생인 김흥호 선생님은 항상 생전에...   2024-12-31

  • 저것과 별개로    현 시점에서 김남준 목사 설교는 다시 보고 볼수록 참 아쉽긴 합니다. 일반적으로 여겨지...   2024-12-16

알림ㆍ후원

  • 최덕성 교수 프로필(Profile) file
  • 요점을 먼저 말하라 file
  • 리포르만다,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file
  • 리포르만다는 무슨 뜻입니까? file
  • 리포르만다는 언제 출범했습니까? file
  • 리포르만다, 재정후원이 필요합니까? file
  • HOME
  • > 아카이브

아카이브

간통 피해자와 담배꽁초 버리기

dschoiword
댓글 1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간통피해자


손봉호 교수

지난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 간통죄가 위헌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개인의 문제를 형법으로 다스릴 수 없다는 입장이 우세했던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을 지킬 수 있는 하나의 테두리가 없어진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손봉호 교수에게 간통죄 위헌 판정과 관련하여 물었습니다.

 

sbh


크로스로: 그 동안 간통죄가 가정을 지키는 역할을 했다고 보십니까?


손봉호: 어느 정도 그랬다고 봅니다. 간통이 많이 저질러졌지만 법이 없었더라면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크로스로: 간통죄가 몇 번의 헌법재판소의 의결을 거쳐서 오늘날 위헌 판정을 받았습니다. 무엇이 달라졌다고 생각하십니까?


(참고로 헌법재판소에서는 1990년 합헌 6:3(합헌:위헌), 1993년 합헌 6:3, 2001년 합헌 8:1 판결을 했습니다. 그러나 2008년 합헌 4:5 로 위헌의 의견이 더 많았으나 위헌 결정 정족수인 6명을 채우지 못해서 합헌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2015년 5년 합헌 2, 위헌 7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


손봉호: 사람들의 생각이 더 개인주의적이 되었고 결혼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었습니다. 점점 더 타락했고 쾌락에 탐닉하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게 되었습니다. 헌재는 그런 변화에 따라 입장을 바꾸었을 것입니다.

 

크로스로: 간통죄 폐지를 기독교인으로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손봉호: 마땅히 반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두 사람의 문제며 결혼식과 혼인신고는 두 사람이 죽을 때까지 서로에게 신실할 것을 약속하는 것과 같습니다. 간통의 피해자는 그 약속을 배신당한 약자입니다. 국가는 마땅히 약자가 억울하게 배신당하는 것을 막을 의무가 있습니다. 헌재의 결정은 간통을 저지른 두 사람의 자유결정만 존중했지 배신을 당한 피해자의 억울함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쓰지 않는 것입니다. 결혼의 약속은 사적인 것이 아니고 가족, 자녀, 친족, 사회가 직. 간접으로 연관되어 있는 공적인 행위입니다. 혼인신고를 하는 것도 그것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기독교는 부부간의 약속을 매우 중요하게 취급해야 하며, 성관계는 오직 부부간에만 허용된다는 것을 강조해야 하고, 약자는 마땅히 보호받아야 한다는 것을 주장해야 합니다.

 

 크로스로: 이 시대에 성적 도덕에 대해서 교회는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


손봉호: 성 관계는 오직 합법적인 부부간에만 허용되며, 그것을 어기는 것은 우상숭배 못지않게 큰 죄라는 사실을 강조해야 합니다. 그리고 결혼 당사자의 고통은 간과하고 개인의 쾌락을 위하여 성도덕을 무시하는 것은 배신 가운데 배신이며 그 배신을 바울은 불신보다 악한 것으로 취급합니다. 교회는 성적 순결을 강조해야 하며 그것은 동시에 사회에 대한 중요한 공헌이 될 것입니다.

 

크로스로: 덧붙이고 싶은 신 말씀이 있으시면 더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손봉호: 한국 교회가 성적 순결을 충분히 강조하지 않은 것은 큰 잘못이며 이번 헌재의 결정이 나기 전에 한국 교회가 위헌반대 운동을 했어야 했습니다. 나 자신도 이에 소극적이었던 것에 대해서 사과합니다.


<크로스로>에서 옮김


-------------------------------------------------------------------------------------------------------------------


남의 아내 도둑질하기’가 ‘담배꽁초 버리기’보다 경미하다니?


<이광호 목사, 실로암교회>


“간통죄 위헌 결정은 동성애와 동성 결혼 문제 물꼬 터주는 격”

“다음 세대 염려했다면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내릴 수 없었을 것”

 

지난 2015년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는 ‘위헌’이라는 딱지를 붙여 간통죄를 폐지했다. ‘성적 자기결정권’과 ‘사생활 비밀 보장’ 때문이란다. 


헌법 재판관이라는 자들의 무책임과 무지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은 보편 윤리를 파괴하면서 시대적 변화를 핑계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길을 가다가 ‘담배꽁초를 버리면’ 경찰이 와서 범칙금을 물거나 잡아간다. 그러나 ‘남의 아내나 남의 남편을 도둑질’ 해도 법적으로 죄가 되지 않게 되었다. 그 배우자가 간통현장을 신고해도 경찰이 와서 도와주지 않는다.


세상에 이런 경우가 어디 있는가? 다른 나라에는 이미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다는 식의 구차스런 이야기는 하지 말았으면 한다.


그런 자들은 결국 자신의 부패한 감정에만 충실했을 뿐 장차 이 땅에 살아가야 할 우리 자손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 다음 세대를 염려했다면 그와 같은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내릴 수 없다.


이는 간통 문제에 대한 경제적인 손실과 보상에 연관 지어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 자기 자녀들이 앞으로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야 할지 생각했다면 결코 그럴 수 없다. 헌법 재판소는 도리어 악법을 제시하면서 개인의 인권을 앞세웠지만 공공의 가치를 파괴하는 자신의 못된 모습을 보지 않았다.


헌법재판소라는 곳은 국민들의 근본 도덕과 윤리를 포함한 내용을 제멋대로 판단하고 유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지 않았다.


간통은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 될 더러운 죄일 따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월이 더욱 악하게 되면, 간통은 죄가 아니라고 판단한 자들이 마치 시대를 앞서간 인물처럼 평가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교회는 저들이 윤리와 도덕을 파괴함으로써 큰 해악을 끼친 인물로 기억해야 한다. 그들로 말미암아 우리의 자녀들이 얼마나 큰 혼란을 겪을 것인가 하는 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부부 사이에 허락된 성은 하나님의 선물에 해당된다. 그것은 욕정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 아니라 생명의 존엄성에 연관되어 있다. 성경은 간음이 얼마나 더럽고 추한 죄인가 하는 점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십계명 가운데는 ‘간음하지 말라’는 준엄한 명령이 들어있다. 그것을 어기면 하나님께 저항하는 범죄 행위가 된다.


예수님께서는, 여인을 보고 음욕을 품는 자는 이미 간음한 자라는 사실을 말씀하시면서 그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셨다. 간통이 죄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그것을 법적으로 제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인간성 포기를 요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어느 누구라 할지라도 그와 같은 판단에 동조한다면 사회를 어지럽히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전반적으로 볼 때 제정신이 아니다. 간음과 살인 가운데 과연 어느 쪽이 더 악한 죄라고 생각하는가? 물론 사람의 생명을 박탈하는 살인은 무서운 죄이다. 하지만 한 사람의 생명이 아니라 한 가정을 파괴하여 죽이는 행위는 살인 못지않게 악하다. 욕정을 채우기 위해 남의 배우자를 도둑질하고 한 가정을 파멸에 빠뜨리는 간통이 죄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자들의 논리를 받아들일 수 없다.


헌법재판소는 간통죄를 폐지하면서 현 시대를 반영하고 개인의 인권과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지만 이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저들이 생각하는 인권과 우리가 알고 있는 참된 인권 개념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들은 개인의 추한 인권만 앞세웠을 뿐 가정과 그에 속한 가족 구성원들과 사회적 인권에 대해서는 기본 인식조차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우리는 이제 악한 죄를 보고도 죄라고 말하지 못하는 혼탁한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간통죄 폐지는 성도덕 의식 자체를 파괴할 것이 분명하다. 헌법 재판관이라는 자들의 도덕적 무지로 인해 앞으로 나라 전체가 성적으로 문란해 질 것이 분명하다. 교회의 자녀들은 그 악한 분위기 가운데서 힘겹게 살아가야 할 것이다.


이 나라의 장래와 자라나는 다음 세대가 심히 염려된다. 그렇잖아도 국가와 기독교 지도자를 자처하는 자들 가운데 더러운 간통을 저지르면서도 뻔뻔스런 태도를 보인자들이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자녀들은 세상의 악법과 권력에 달리 저항 할 방도가 없다는 사실이 아쉽다.


이와 더불어 대두될 심각한 문제는 간통죄 폐지가 동성애와 동성 결혼 문제에 직접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개인의 성적 결정권을 앞세운 터에 성적 취향을 제한하는 것도 동일 선상에서 파악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성장하는 아이들이 간통이나 동성애를 죄가 되지 않는 것처럼 배우게 된다는 것은 안타깝기 그지없다.


우리는 세상의 더러운 논리에 정신적으로 저항할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그것이 교회를 상속해가는 성도들의 자세이며 어린 자녀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길이 된다. 지상 교회는 결코 이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며, 간음 문제를 엄격하게 다루어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에 저항하는 악법에 대해서는 양심으로 거부할 수 있다. 교회는 절대로 이와 같은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기독개혁시보>에서 옮김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디터 선택하기
✔ 텍스트 모드 ✔ 에디터 모드
?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Comments '1'
  • ?
    cothdghk 2015.03.15 22:17

    누군가는 꼭 해야할 참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간통'이 개인의 성에 관한 것이어서 법이 제제할 수 없다는 이들이, '결혼=두 개인의 성적 합의=서로의 성을 독점하기로 계약함'이란 기본 사실을 몰랐겠는가? 그들은 원래 명료함이 탁월한 사람들이다. 이목사님 말씀대로 그들은 부패한 재판관들로 악하고 무책임하다.

    수정 삭제 댓글

  1. No Image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현재 일본의 기독교인 수는 약 105만 명이다. 이는 일본의 총인구 약 1억2천만 명 가운데 대략 1%에 해당하는 숫자다. 약 150년 동안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전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지금도 결정적으로 소수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682
    Read More
  2.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총대, 그리고 교회 (신재형, 페이스북 글, 2017.10.11.) 최근 고신 교단 총회에 김세윤 교수가 포함된 이신칭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와 신학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질의가 상정되었다. 신학위원회는 이에 대해 논의를 했...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06 file
    Read More
  3. 문 닫는 교회 스타일 15가지

    문 닫는 교회 스티일 15가지 <기독일보> 20170506 1. 전도 하지 않는 '불임(不姙)교회' 흔히 전도지만 돌리는 형식적으로 전도로는 생명을 잉태시킬 수 없습니다. 입으로 발로 뛰면서 세상 사람들의 삶속에 뛰어들어야 합니다. 한 생명을 천하보다 더...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870 file
    Read More
  4.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My Response I just read a disturbing, I mean for me personally, earth-shatteringly disturbing essay by Christiane Tietz about Karl Barth entitled: Karl Barth and Charlotte von Kirschbaum. As most of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1648 file
    Read More
  5. No Image

    박영돈의 칭의론, 고신신학자답지 않다.

    박영돈의 칭의론, 고신신학자답지 않다. 정이철 <바른믿음> (2017.10.05). 박영돈 교수의 칭의에 대한 글에 대해 사람들의 말이 많다. 어떤 분이 박 교수의 “값싼 은혜의 복음은 종교개혁의 가르침을 왜곡한 것”이라는 글을 자신이 페북에 올리면...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25
    Read More
  6. 예장 통합, 천주교 영세 인정 수용

    예장 통합, 천주교 영세 인정 수용 (교회와 신앙 기사) [ 주요 교단들의 정기총회에서 이단 사이비 관련 보고서들이 제출돼 채택되었다. 먼저 예장통합(총회장 최기학 목사) 제102 총회에 보고된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의 연구 및 조사 보고서들을 소개한다. ①...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2064 file
    Read More
  7. 제2의 종교개혁 : 로마서 9-11장을 중심으로 (1)

    제2의 종교개혁 : 로마서 9-11장을 중심으로 (1) 소기천 교수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성서신학, 예수말씀연구소 소장 I. 서론 ▲ 소기천 교수 본 소고를 통해서 제2의 종교개혁이 주는 도전과 의지가 봉화처럼 타오르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 시간 이스라엘에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6970 file
    Read More
  8. No Image

    샌디메니안주의 (Sandymanianism, Believism)

    샌디메니안주의 (Sandymanianism, Believism) 마틴 로이드존스 “18세기말경에 스코틀랜드에 존 글라스(John Glas)라는 사람이 살았습니다. 그는 영국인 사위를 두었는데 그의 이름은 샌디멘(Sandyman)이었습니다. 그 두 사람은 같이, 매우 인기가 있고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31
    Read More
  9. No Image

    한 명 전도한 목사

    스코틀랜드의 한 교회에서 있었던 일화입니다. 평소처럼 주일 예배가 끝난 후, 장로님들이 목사님과 면담을 하기 위해서 회의실에 모였습니다. 장로님들중 대표 한 사람이 목사님에게 사임을 요청했습니다. 장로들은 목사님이 직무를 감당하시기에 너무 늙었다...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914
    Read More
  10. No Image

    웨슬리의 구원의 조건 / 장기영

    --- 웨슬리의 “구원의 공로”와 “구원의 조건” 사이의 구분 --- 장기영 교수 하나님께서는 구원의 과정에서 인간이 신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에 반응하기를 원하시는가? 아니면 인간의 어떤 반응도 전혀 고려하시지 않고, 심지어 그가...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973
    Read More
  11. No Image

    휫필드가 웨슬리에게 보낸 표지

    조지 휫필드가 존 웨슬리 목사에게 보내는 편지 서론 사랑하는 웨슬리의 설교에 반대하여 이 편지를 출판하는 것이 얼마나 다른 결과를 초래할지를 매우 잘 알고 있다. 만인 구원론을 불굴의 의지로 지지하고 있는 많은 내 친구들은 당장 기분이 상할 것이고 ...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1033
    Read More
  12. No Image

    이재용 판결문에 나타난 의문 4가지

    ‘대통령과 피고인 이재용 사이에는… 각 단독면담과 이에 따라 이뤄진 승마지원행위 과정에서, 피고인 이재용의 포괄적 현안인 ‘승계작업’에 대해, 대통령이 우호적 입장을 취하거나 부정적 입장을 취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852
    Read More
  13. No Image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 동성애 관련 대 정부 메시지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 오늘 한국 교계 긴급 성명서 발표에는 한국 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교회교단장회의 소속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교단을 포함한 26개 교단장들이 참여했습니다. 한국교회교단장회의(공동대표 김선규, 이성희, 전명구 목사)에는 예장...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940
    Read More
  14. No Image

    목회자의 실수 10가지

    목회자의 실수 10가지 미국 목회전문 인터넷매체 '처치리더스'가 최근 '교인들을 망치는 목회자들의 행동 10가지'란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이 칼럼을 쓴 미국의 목회 전문가이자 기독교 작가인 조 맥키버(Joe McKeever) 목사는 먼저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05
    Read More
  15. No Image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존 스토트 다음은 존 스토트의 저서 ‘복음주의의 기본진리(Evangelical Truth)’에서 제시한 근본주의와 복음주의를 구분하는 10 가지 기준입니다. 저는 복음주의자입니다. 근본주의는 배격합니다. 첫 번째, 근본주의는 반지성주의 경향을 ...
    Date2019.11.21 Bydschoiword Reply0 Views88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2 Next
/ 52

리포르만다는 예수구원, 복음전파, 신학강의 공급(중국어,스페인어,영어), 선교에 주력합니다.

부산시 연제구 중앙천로 85

choicollege@naver.com

© 2007 REFORMANDA All rights reserved

  • 리포르만다소개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개인정보취급방침
zkapfhslicense XE1.11.6 NEAT2.0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리포르만다
  • 신학저널
  • 교회사산책
  • 목회저널
  • 삶과문화
  • 아카이브
  • 신학라이브러리
  • Bread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