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6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없음-4.jpg

 

 

'어머니', 가장 아름다운 이름

황현조 박사

미 동부에는 긴 겨울이 가고 이제 새 봄이 왔다. 신록의 계절 5월은 가정의 달이요 둘째 주일은 어머니주일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름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곧 “어머니”라는 이름일 것이다. 여성으로서의 젊음은 세월과 함께 비록 시든다 할지라도,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만큼은 좀처럼 시들지 않는다. 어찌 갖난 아이가 태어나서 어머니의 희생적 사랑없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겠는가?  통계에 의하면 한 아이가 출생하여 18세 성년에 이르기까지 어머니가 자식에게 쏟는 시간은 약 1만 8천시간, 달 수로는 총 54개월이라고 한다. 1년중 3개월은 온전히 자식을 키우는데만 시간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수년 전에 마이클 민톤이라는 변호사가 어머니가 자녀를 키우며 가사를 돌보는 노동을 금전적 가치로 계산해 보았다. 주급이 1천2백85달러였고 년봉으로 치면 약 6만9천달러라고 했다. 하지만 자식을 키우며 돌보는 어머니의 희생과 사랑을 어찌 그 정도의 돈으로만 측량할 수 있을까?  그래서 시인 양주동은 어머니의 사랑을 이렇게 시를 썼다. “진자리 마른 자리 갈아 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 어머님의 희생은 가이없어라.” 우리가 어머니 날이 되면 부르는 참 좋은 노래다.

독일 나치의 유대인 학살(Holocaust) 시대에 일어난 얘기다. 솔로몬 로젠버그 유대인 부부는 두 아들과 함께 나치에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수용소 안의 규율은 엄격하고 단순했다. 신체가 쇠약해져 노동 능력이 없는 죄수는 사정없이 끌려가 사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둘째 아들 제시는 너무 몸이 병약해져 가고 있었다. 로젠버그는 매일 강제 노동을 마치고 저녁에 수용소로 돌아올 때마다 가족들의 얼굴을 찾으며 그들의 생존을 확인하고 안심하는 것이 규칙적인 일과였다. 그는 음침한 수용소 감방에서 가족들이 서로 껴안고 살아 있는 것을 볼 때마다 또 한 날의 생존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하루하루를 이어갔다.

그런데 어느 날 힘든 노동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가족들의 얼굴이 보이지 않았다. 그는 불안한 마음으로 여기저기 가족들을 찾아 헤멨다. 한참 후 그는 첫째 아들 조슈아가 어두운 감방 구석에서 혼자 흐느끼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불길한 예감속에 그에게 다가가서 어깨를 두들겼을 때 조슈아는 청천벽력같은 말을 그에게 전했다. “오늘 제시는 아주 몸이 쇠약해서 아무 노동을 할 수 없었어요. 그래서 간수들이 그를 끌고 갔어요.”  “뭐라구??? 그럼 네 어머니는 어디 계시니?” 다급하게 물었을 때 조슈아는 눈물 범벅이 된 얼굴로 겨우 이렇게 대답했다. “그들이 제시를 끌고 나갈때 동생은 너무 무서워하며 크게 소리치며 울었어요. 그때 어머니는 말 없이 제시의 손을 꼭 잡고 함께 그들에게 끌려 가셨어요.” 눈물나는 스토리다.

어머니의 사랑은 정말 신비롭다. 성경은 이와같이 신비한 어머니의 사랑을 비유하며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더 신비롭고 크신 사랑을 가르쳐 준다. “여인이 어찌 그 젖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사 49:15).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되 “암탉이 그 새끼를 날개 아래 모음같이”(마 23:37) 사랑하신다. 성경에서 성부 하나님의 사랑을 주로 “아버지의 사랑”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때로는 이와같이 깊고 깊은 “어머니의 사랑”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물론 이 세상에는 자녀에게 상처를 주고 심지어 버리기까지 하는 어머니도 더러 있다. 인간이 죄로 오염됐기 때문에, 또는 각박한 세상환경이 그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종종 불신세상 문화에서는 여성의 지위를 형편없이 비하시키고 남성의 지배와 소유물로 종속시키기도 한다. 심지어 힌두교에서는 여성으로 태어난 것은 전생에 지은 죄 때문이고, 남자로 다시 태어나야만 환생 구원의 길이 있다고 가르치기도 한다.  

그러나 원래 하나님의 창조계획 속에는 어머니와 여성의 역할이 대단히 영예롭고 존귀한 위치에 있다. 그 역할은 곧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함을 통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아름다운 자녀들로 잘 양육하는 사명이다. 그 사명을 잘 감당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올려 드리는 것이 되고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오늘날 세속 정치인들과  언론, 불신 국민들, 심지어 일부 리버럴 교회들과 교인들마저 옹호하는 동성결혼은 천부당 만부당한 것이다. 동성결혼은 하나님의 창조계획 속에 아예 존재하지 않았으며 성경적으로도 도저히 설 자리가 없는 개념이다. 동성결혼을 통해 어떻게 하나님께서 주신 거룩한 “생육과 번성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단 말인가? 고로 동성결혼 반대를 막으려는 소위 허울좋은 “차별금지법”이란 악법은 한국에서나 미국에서나 반드시 폐기되어야 한다.

십여년 전 필자가 이태리 로마의 베드로 성당을 방문했을 때, 르네상스시대 미켈란젤로의 작품 “피에타(Pieta)”라는 조각상 앞에 수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진지한 표정으로 묵묵히 바라보는 모습들이 인상적이었다. 십자가에서 죽으신 후 내려진 예수님의 몸을 육신의 어머니 마리아가 슬픔가운데 무릎에 올려 안고 있는 그 조각상이 사람들의 심금을 너무도 애잔하게 울렸었기 때문이리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자녀를 품에 안은 모습, 그것은 영원토록 만인의 가슴에 새겨질 최고의 명화가 아니겠는가?

World Global Time, 2022 05 22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1.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후보     호남이 변하면 나라가 바뀐다   주동식의 전라도 논평   아래는 주동식 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의 세이브코리아 광주 집회의 연설 전문이다. 광주 출신인 그는 “친북·종중에서 벗어나 대한민국과 함께 가야 호남도 살아...
    Date2025.04.20 Byreformanda Reply0 Views343 file
    Read More
  2.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날이다   오늘은 난리와 폭동이 예상되는 날이다. 대규모 집단 불복과 반발이 시작될 모양이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간판을 뗄 것이라고 하는 자들도 있다. 성숙을 향한 민주주의의 여정의 ...
    Date2025.04.03 Byreformanda Reply1 Views1278 file
    Read More
  3.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헌법재판소의 10가지 탄핵 위법 재판   허영 교수(대한민국의 법조인, 헌법학자, 1936-)는 위법한 헌재 탄핵심판 결정이 오히려 국민 저항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가지가 넘는 이런 불공정하고 졸속으로 진행된 탄핵심판을 우리 국민이 용납하겠...
    Date2025.03.07 Byreformanda Reply0 Views667 file
    Read More
  4. 대통령의 귀환을 고대하는 사람들

      대통령의 귀환를 고대하는 사람들   아래의 글은 <기독일보>에 게재된 김민호 목사(회복의 교회, 예장 대신)의 글을 옮겨 실은 것이다. 한국의 현 사태에 대한 한 기독인의 관점을 담은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다수 목사들의 지지 이유로 보인다...
    Date2025.01.18 Byreformanda Reply0 Views453 file
    Read More
  5.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2025.01.14.)   (현대한국사 자료)     국민께 드리는 글     국민 여러분, 새해 좋은 꿈 많이 꾸셨습니까? 을사년 새해에는 정말 기쁜 일 많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작년 12월 14일 탄핵소추되고 나서 혼자 생각...
    Date2025.01.15 Byreformanda Reply0 Views276 file
    Read More
  6. 성소수자 혐오집회, 개탄스럽다/ 경향신문

        ‘성소수자 혐오·차별’ 대규모 도심 광장 집회, 개탄스럽다   경향신문 사설 2024.10.27   기독교 단체들의 대규모 차별금지법 반대 집회가 27일 서울 도심에서 열렸다. 개신교 임의단체인 ‘한국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 조직위원회’는 이날 오후...
    Date2024.10.28 Byreformanda Reply0 Views609 file
    Read More
  7. 현대판 보쌈문화, 키르기즈스탄 납치혼

      현대판 보쌈문화, 키르기즈스탄 납치혼   선시대의 ‘보쌈’은 여성을 강제로 납치해 아내로 삼는 악습 문화이다. 이와 비슷한 ‘납치혼’ 폐습이 미미하나마 아직도 남아 있는 나라들이 있다.  이 인권 유린의 문화를 연구한 논문들도 있다. 키르기즈스탄과 카...
    Date2024.09.07 Byreformanda Reply0 Views689 file
    Read More
  8. 한국인은 어느 나라 국민이었는가?

        한국인은 어느 나라 국민이었는가?     김문수의 근대 한국사관은 옳은가? 2024년 8월 26일,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에 대한 국회 청문화가 파행하다가 산회했다. 김문수는 “일제통치 시기의 한국인의 국가는 일본이었다...
    Date2024.08.27 Byreformanda Reply0 Views911 file
    Read More
  9. 태국 태권도 선수 파니팍 옹파타나키트

    태국선수 웅파타나키트가 태권도 여자 49kg급 결승전에서 금메달을 확정지은 뒤 최영석 감독을 향해 무릎 꿇고 인사하는 모습이다.   태국 태권도 선수 파니팍 옹파타나키트    파리 올림픽 보도 사진  가운데는 사람의 마음을 숙연하게 하는 정경(情景)을 담...
    Date2024.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838 file
    Read More
  10. 검찰총장과 대법원장, 국회의원 출마 금지법

        대법원장과 검찰총장, 국회의원 출마 금지법     현직 검찰총장과 대법원장은 정치권력자의 힘이고 보호자이기도 하다. 자신들을 임명한 권력자 편에 유리한 이념적이고 편향적인 사법 행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자리을 맡고 있다. 그리고 몇 해 동안의 직...
    Date2024.07.23 Byreformanda Reply0 Views2493 file
    Read More
  11. 솔로몬의 재판은 정말 지혜로웠는가?

    솔로몬의 반지   솔로몬의 재판은 정말 지혜로웠는가?     솔로몬은 이스라엘 왕국의 제3대 왕( 971-831, BC)이었습니다. 어머니 밧세바와 나단 예언자의 도움으로 왕위에 오른 솔로몬은 부왕 다윗이 준비해둔 땅과 재물을 이용하여 하나님의 성전을 건축합니...
    Date2024.07.02 Byreformanda Reply0 Views1514 file
    Read More
  12. 유럽의회에는 수상한 정당들이 많다

        유럽의회에는 수상한 정당들이 많다     올해 6월 9일에 거행될 유럽 의회 선출 날짜가 다가왔다. 이번에는 우파(우파포퓰리스트, 극우들)의 대거 의회에 입성할 것이 예상된다. 그래서 좌파들이 장악한 독일 언론은 계속 이를 경고했다. 독일에서 정부와...
    Date2024.05.31 Byreformanda Reply0 Views542 file
    Read More
  13. 이승만은 조지 워싱턴보다 훨씬 더 위대했다

        이승만은 조지 워싱턴보다 훨씬 더 위대했다     원제: 왜 한국인은 어리석은가? (뉴스타운의 글)     한국은 20세기 기적의 나라이다. 1990년대 세계학계는 북-중-러의 위협과 자원빈곤이란 최악의 상황에서 건국, 호국, 산업화를 이룩한 한국의 위대한 ...
    Date2024.04.22 Byreformanda Reply0 Views823 file
    Read More
  14. 김활란(金活蘭)

      김활란(金活蘭) 일제강점기의 교육자, 친일파 (1899–1970)   아래는 위키백과의 김활란에 대한 소개의 글이다.   생애   김활란(1899년 2월 27일~1970년 2월 10일)은 일제강점기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재단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협회 회장 등을 역임...
    Date2024.04.05 Byreformanda Reply0 Views671 file
    Read More
  15. 히잡 거부한 용감한 이란 여성

        히잡 거부한 용감한 이란 여성     히잡 착용을 거부한 용감한 이란의 젊은 여성이 74차례 태형 처벌을 받았다.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히잡 착용을 거부한 33세의 젊은 여성이 74대의 태형(笞刑)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024년...
    Date2024.01.09 Byreformanda Reply0 Views71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