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c41cf23affb126aea2396342961e4e6.jpg

진: 이규왕 

 

교회사가와 역동적 사고

 

저명한 교회사가 필립 샤프(Philip Schaff, 1819-1893)는 자기 시대의 프로테스탄트 교회사를 로마가톨릭교회와 일치 과정의 역사라고 말했다스위스 출신 신학자로, 튀빙겐할레베르린 대학에서 공부했다도미하여 독일개혁신학교(펜실베니아 주 머서버그 시)에서 가르쳤다그가 저술한 <프로테스탄티즘의 원리들>(The Principle of Protestantism, 1844)이라는 저작물도 로마가톨릭적 성향을 보였다.

 

샤프의 주장은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반대자들은 '친가톨릭주의자', '이단자'라고 비난했다그는 복음주의 노선에 서서 교회 일치운동을 했다성경 무오성 교리를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샤프는 고대교회의 이단으로 알려진 몬타누스주의(Montanism)를 이단으로 보지 않는다라틴계 최대 신학자 터툴리아누스(Tettulianus, 155-240)가 몬타누스파에 가담한 행보에 부정적인 평가를 하지 않는다.

 

사프가 가르치던 신학교가 전쟁 중 복수심의 대상이 되어 휴교함에 따라, 그는 미국에서 최초로 세워진 신학교 앤도버신학교(보스턴 지역)에서 강의를 했다. 1870년에 뉴욕의 유니온신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거기서 방대한 분량의 <기독교회사>(History of Christian Church)를 저술했다.

 

교회사가들의 사고는 대체로 역동적이다교회사가는 사물을 망원경적으로 통찰한다고착된 범위나 정해진 테두리만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이 편과 저 편앞과 뒤위와 아래를 통합적으로 보고 사실과 가치를 판단한다규범과 맥락을 동시에 이해한다. 그래서 비범한 것을 생각하고예측하고, 획기적인 대안을 세운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한 기독교의 최대의 과제는 무엇인가로마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교회의 재결합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는가? 가톨릭의 규모가 훨씬 크다. 두 교회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종교개혁운동의 기수 마르틴 루터는 로마가톨릭교회의 사제였다. 루터는 자기의 이름을 단 교단이 등장하기를 기대하지 않았다독립 교단교파를 세우려 하지 않았다그가 원한 것은 리포르만다였다. 교회의 줄기찬 개혁이다. 특히 이신칭의 중심의 교리의 개혁을 희망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의 교회를 세웠다그 이상의 교회를 세우지 않았다로마가톨릭교회는 하나를 단일 교직계급 제도로 여긴다프로테스탄트는 '하나'를 사도성에 기초한 신앙고백의 단일성으로 본다예수는 신앙고백공동체를 세우려고 했다(마 16:17-18). 교회는 초기기독교의 신앙과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고 하나님의 법도를 따라 살아가는 신앙고백공동체다.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라는 이름을 가진 전제군주제 형태의 관료기구를 세우려 하지 않았다비성경적인 계급주의적 전제군주형태의 교계(敎階집단을 세우려 하지 않았다교회의 존재는 교황청의 성명교황의 교서공의회의 결정로마가톨릭교회의 권위와 교리에 달려 있지 않다로마는 개신교회를 교회로 인정하지 않는다. 로마가 이를 인정 하느니 하지 않느니 하는 논의는 수레를 말 앞에 두는 오류처럼 잘못된 전제를 가지고 있다.

 

 

프로테스탄트와 로마가톨릭 두 교회가 재결합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고, 제거해야 할 장애물이 많다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그러나 역동적으로 생각하면 마냥 불가능하지 만은 않다로마가톨릭교회가 미신적이고 사도들의 신앙에 부합하지 않는 교리들을 버리는 리포르만다, 대 변혁, 그리고 아조르나멘또에 들어가면 가능할 수 있다프로테스탄트교회와 로마가톨릭교회의 재결합 주장에는 향후 500년 또는 1000년을 바라보는 신학자의 안타까움이 담겨있다.

 

세계교회협의회(WCC)는 프로테스탄트교회를 로마가톨릭교회 안으로 귀정(歸正)시키려다 실패했다우리가 추구하는 재결합은 교황제도로 복귀하는 것이 아니다교회라는 조직체의 단일화는 교회 일치의 최종 목표가 아니다진정한 일치는 진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앙고백적인 하나 됨이다로마가톨릭교회가 비성경적이고 초대교회와 사도들의 신앙에 부합하지 않은 교리들과 교회제도를 개혁하면교회의 일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일부 기독인들에게는 로마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재결합'이라는 발상이 매우 엉뚱한 것일 수 있다반어법(irony)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심한 난독증(難讀症) 장애를 가진 이들은 배교자변절자라는 용어를 앞세워 공격하리라.이단이 회개해도 받아주지 않을 태세다. 야고보는 너희가 알 것은 죄인을 미혹된 길에서 돌아서게 하는 자가 그의 영혼을 사망에서 구원할 것이며 허다한 죄를 덮을 것임이라”(약 5:20)라고 말한다.

 

리포르만다(기독교사상연구원)는 종교개혁 500주년의 최대의 과제가 로마가톨릭교회와의 관계 정립이라고 생각하면서 종교개혁과 현대 로마가톨릭교회라는 주제로 2017.12.11. 브레드유니버시티 부산 스튜디오에서에서 제10차 학술회를 개최한다세계복음화의 길을 모색하고 학문의 깊이를 더하는 마당이다교회의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회 방향에 대한 예측성을 가진 학자들의 통찰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다.

 

학술회 논의 주제는 교회와 선교에 매우 실제적이다. 리포르만다는 유유미션(University Ubiquitous Mission) 산하 학술회(기독교사상연구원)이다유유미션은 신학강의 공급선교와 영혼 선점(先占)에 주력한다중국어영어스페인어 권을 일차 대상으로 삼는다. 주 선교 대상지역 가운데 하나가 로마가톨릭교회가 장악하는 라틴아메리카 지역이다. 로마가톨릭 바탕 지역에서 선교를 하려면 종교적 선지식이 필요하다로마가톨릭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임해야 하는가 아니면 우호적으로 형식적이고 이름뿐인 로마가톨릭 신도들에게 구원의 복음이신칭의의 진리성경적 가르침을 전하고 개종하게 할 것인가?

 

교회는 신학과 더불어건전한 신학은 선교-교회와 더불어 행진한다현대 로마가톨릭교회를 정확히 이해하려 함은 기독인이 자신의 신학적, 신앙고백적, 교회적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일이다라틴계 세계복음화에 이바지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다음 500년을 향해 출발하는 즈음에 열리는 리포르만다 학술회의 교의학교회사선교학 논의는 지구촌 세계복음화에 유익한 학문적, 역동적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라은성 교수 (총신대), “종교개혁에 대한 현대 로마가톨릭교회의 이해”, 윤춘식 교수 (아신대), “로마가톨릭교회 세계관 5가지선교현장의 목소리”, 차영훈 교수 (브니엘), “천주교와 개신교의 교리 차이”, 최덕성 총장 (브니엘), “프로테스탄트교회와 로마가톨릭교회의 재결합을 향한 교회론 대화”, 최더함 박사 (아리엘), “남북통일과 교회의 일치" 등의 논문을 발표한다.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리포르만다 대표)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1. 칭의 선언: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칼리포니아 교수회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칼리포니아 캠퍼스 칭의 선언: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칼리포니아 교수회 최근 수십 년 동안 칭의에 대한 종교개혁의 교리가 심각한 비평을 받아왔다. 그 도전들은 세 가지 다른 원천에서 나왔다. 첫 번째, 교회 일치에 대한 몇몇 논의들이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497 file
    Read More
  2. 프레임,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Professor John Frame, DD 프레임,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존 프레임 박사 (리폼드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전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교수)1 내가 1961년 학생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 처음 왔을 때 대다수 학생들은 대체로 개혁신앙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2988 file
    Read More
  3.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세속성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세속성 중국어권 선교사로 존경 받는 한국인 류 모 목사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왕성한 선교활동을 하고 있다. 중국어 보통어(만다린)로 진행하는 고신대학교 목회학 신학석사 학위(M.Div.) 과정에서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젊은 중국인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062 file
    Read More
  4. 기독인의 국가법정 송사

    기독인의 국가법정 송사 송상석 목사(1896-1980)는 해방 후 마산의 문창교회 목사로 시무했고,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 이사장을 역임했다.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한국교회에 이바지한 바 크다. 첫째, 기독교절제운동의 선구자이다. 나라를 잃은 백성...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734 file
    Read More
  5. 법관 탄핵이 부당한 신학적 이유

    산헤드린공의회 그림 법관 탄핵이 부당한 신학적 이유 이영진 교수 (호서대), 미문교회 홈페이지 글 고대 유대인에게는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와 같은 최고 법정 제도가 있었다. ‘산헤드린’이라 불리는 결정 기구이다. 산헤드린의 기원을 어느 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522 file
    Read More
  6. 클라스 스킬더와 공공신학

    공공신학이란 무엇인가? 공공신학은 근년에 등장한 용어이다. 기독교세계관, 칼빈주의 문화관, 칼빈주의적 세계관, 기독교인의 사회참여, 해방신학 등의 이름으로 논의되어 오던 것들을 묶어 공공신학이라고 한다. 공공신학은 하나님을 회중들과 신자의 마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724 file
    Read More
  7. 이신칭의 복음전파, 교회부흥의 핵심

    이신칭의 복음전파, 교회부흥의 핵심 예장 고신교단 제68회 총회(2018)는 신학위원회가 올린 보고서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을 받아들였다. 이 보고서는 이신칭의 복음전파가 교회부흥의 핵심이라는 말로 결론짓는다. 신학자의 사명...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305 file
    Read More
  8. 화란개혁교회도 고신교회도 변한다

    화란개혁교회도 고신교회도 변한다 예장 고신 제68회 총회(2018)는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가 작성한 “화란개혁교회와 고신총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받아들였다. "이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화란개혁교회도 변하고 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86
    Read More
  9. 공궤를 일삼음이 마땅치 않다

      공궤를 일삼음이 마땅치 않다   성경 본문: 행 6:1-4, 7   1. 예수님 당시의 예루살렘 도성의 거주민이 몇명 정도일까? 성읍의 크기, 주택의 구조, 가구당 5인 등 고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근거로 추정해 보면 약 10만 명으로 보인다. 오순절에 찾아오는 디...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944 file
    Read More
  10. 교단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지침

    교단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지침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 대신)은 2015년 9월에 예장 백석과 옛 예장 대신이 하나로 합쳐진 교단이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이 교단이 2018년 가을 총회를 기점으로 3년 만에 분열했다. 옛 교단 잔류 그룹에 복귀하는 그룹, 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463 file
    Read More
  11. 장신대, 동성애를 지지하는가?

    장신대, 동성애를 지지하는가? 예장 통합은 교세 면에서 한국교회의 중심적 교단이다. 이 교단의 목회자 양성기관인 장로회신학대학교(이하 장신대)는 동성애에 대한 신학적 정체성 때문에 갈등을 겪고 있다. 최근 총장 임성빈 박사는 동성애 인권화 논리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3 Views4087 file
    Read More
  12. 직통계시, 에언, 꿈, 환상

      훼이트빌장로교회당 겨울 전경 (담임 목사 최덕성 건축)                       직통계시, 에언, 꿈, 환상   예장 고신교단 제63회 총회(2013)에서 예언, 환상, 쓰러짐, 금가루 현상, 입신 등의 행위를 극단적으로 진행하는 집회에 대해 ‘극단적 신비주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561 file
    Read More
  13. 신사참배 결정에 버금가는 판결인가?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와 김하나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사진 신사참배 결정에 버금가는 판결인가? 최근, 명성교회에 대한 예장 통합 총회 재판국의 판결을 비난하는 '격문'이 나돌고 있다. 장신대 교수 58명이 서명한 글이다. 담임목사직 부자 계승/세...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2212 file
    Read More
  14.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고신신학의 좌표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과 고신신학의 좌표 박종칠 목사 (전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구약신학) 고신교단 총회 신학부 실행위원으로 목사후보생 강도사 사정 임무를 가지고 고려신학대학원(천안, 2003.1.)에 갔을 때 최덕성 교수가 “하기오그래피와 역사관...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047 file
    Read More
  15. 정당한 전쟁론, 양심적 병역의무

    뉴욕 유엔본부 정당한 전쟁론, 양심적 병역의무 대한민국은 ‘여호와증인’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단 그룹의 젊은이들의 이른바 “양심적 병역 거부”를 용인하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다. 프로테스탄트 교회들과 로마가톨릭교회는 병역 의...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23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