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2019.11.30 19:35

오스트레일리아 지도

조회 수 30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5ce07f316f28dc9a5b83112b2085ebb.jpg

오스트레일리아 지도

 

세계지도를 보라서양 사람들의 것과 동양 사람들의 것이 서로 다르다서양 사람들의 지도에는 대서양이 한 가운데 있다왼쪽에 미국중앙에 대서양그 오른쪽에 유럽맨 오른쪽에 아시아가 있다그래서 서양 사람들은 한국이 위치한 동북아를 극동(Far East)이라고 불렀다반면에 동양 사람들의 세계지도는 태평양이 가운데 있다왼쪽에 유럽중앙에 아시아그리고 태평양 건너 오른쪽에 미국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세계지도는 전혀 다르다그 지도는 아주 특이하여 세계지도를 거꾸로 걸어 놓은 것과 같다그들은 자기 나라가 세계지도 맨 밑바닥에 내려가 있으니 별로 기분이 안 좋다그래서 세계지도를 거꾸로 놓고 보았더니 오스트레일리아가 제일 위로 올라간다그리고 러시아북유럽캐나다가 맨 아래로 내려간다그들이 이런 지도를 선호하는 이유는 우리는 더 이상 밑바닥에 있지 않다(We Are No Longer Down Under)’는 그들 나름의 자존심 때문이다.

 

사실 하나님께서 만드신 지구는 어느 나라가 위에 있고 어느 나라가 밑에 있지 않다지구는 둥글며 무한한 우주 공간에서 보면 나라의 상하 개념이 있을 수 없다둥근 지구에 사는 사람들이 그저 평면적인 세계지도를 그려놓고 보니 극동이란 말이 나오고 상하개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양사람동양사람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이 제각기 선호하는 세계지도는 다 자기중심적이고 정확하지도 않다인간의 삶에서도 마찬가지다꼭 같은 사실도 어떤 각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제각기 생각이 달라지고 평가가 달라진다거기에서 상대방에 대한 오해와 다툼이 일어나게 된다.

 

지구는 하나님의 눈으로 보아야 정확한 모습을 볼 수 있다하나님은 우주의 창조자요 절대자이시다절대적인 기준이 없는 세상은 혼란과 갈등이 멈추지 않는다사람들은 절대자 하나님을 부인하고 상대주의를 선호하고 내세워 보지만 역시 자기의 상대주의를 절대적으로 고집하는 모순에 빠지고 만다태양계의 중심은 태양이다태양을 중심으로 행성들이 질서 있게 운행하기 때문에 행성 간에 충돌이 없다인간세계는 유일하신 절대자 하나님을 바라보고 살아야 질서와 평화가 있다.

 

성경은 눈을 들어 하나님을 바라보라고 권면한다. “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꼬 나의 도움이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께서로다”(시 121:1-2), “위엣 것을 생각하고 땅엣 것을 생각하지 말라”(골 3:2),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잠 1:7). 삶의 질서와 평화를 주시려 세상에 오신 예수님께서는 절대적 선언을 하셨다.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요 14:6).

 

죄성을 가진 우리 인생들은 모두 자기중심적 존재가 되기 쉽다자기 눈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생각하고 판단한다자신의 잘못된 시각 때문에 터무니없이 교만해져서 분쟁을 일으키기도 하고아니면 자존감을 잃은 채 열등감속에 허덕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눈을 들어 절대자 하나님을 바라보고 그 분의 말씀을 통해 각자의 시각교정을 해 나가야 한다그럴 때 우리는 하나님 말씀 속에서 인생과 사물을 올바르게 보고 자신과 이웃을 굴절 없이 볼 수 있다.

 

어떤 부인이 이웃집 빨래 줄에 널린 빨래들을 보며 그것들은 깨끗하지 않고 늘 때가 묻어 있다고 비방했다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그 집 빨래들이 깨끗하게 보였다곁에 있는 남편에게 저 집 아줌마가 이제 정신차렸나봐빨래가 깨끗해 졌어라고 했다그때 남편이 말했다. “오늘 아침 내가 우리 집 유리창문을 깨끗이 닦았지.”

 

내 눈과 내 창문에 때가 묻어있지 않은가우리는 하나님 말씀 속에서 자문해 보아야 한다바벨론 포로로 잡혀가서 절망자포자기불평가운데 있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해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말씀하셨다 네 눈을 들어 사방을 보라”(사 49:18). 눈을 들어 위에 계신 하나님을 바라보고 살아야 한다그때 사방(현실)도 '감사와 긍정과 희망'의 눈으로 볼 수가 있다.

 

황현조(커네티컷비전한인교회 담임목사/ Peniel Academy of Theology 교수)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1. 김교신 유감

    2019년 2월에 출간된 성서조선 영인본. (출처: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 김교신 유감 희년사회 (페이스북, 2019.3.21.) 나는 김교신을 존경한다. 그러나 김교신에 대해 꼭 할 말이 있다. 1938년말에, 조선총독부가 『성서조선』에 일왕(日王) 히로히또에 대한 ...
    Date2019.12.03 Bydschoiword Reply0 Views748 file
    Read More
  2. 천재형 학자와 글쓰기

    천재형 학자와 글쓰기 최덕성 교수의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을 읽고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는 대한민국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의 필요를 채우려고 새천년을 맞이하는 시점인 2000년 2월 발간됐다. 대학과 대학원 학생들이 꼭 통과해야 할 &lsqu...
    Date2019.12.03 Bydschoiword Reply0 Views1129 file
    Read More
  3. 서편제 증후군과 전통문화

    서편제 증후군과 전통문화 아래의 글은 <리포르만다> 사이트 현대화 개편 때 사라진 글을 복원한것이다. 기독인의 전통문화 이해라는주제만이 아니라 이끌림, 운치, 기풍 있는 글쓰기에 관심을 가진 분들에게 유익하다. *** 영화 「서편제」의 인기가 하늘을 ...
    Date2019.12.03 Bydschoiword Reply0 Views1043 file
    Read More
  4. 생산의 영웅

    마르크스(왼편)와 엥겔스 동상 생산의 영웅 벽초 홍명희 원작 <임꺽정>과 소설 <장길산>이 열풍을 일으킨 적이 있다. 북한에서는 영화로 만들어졌고, 남한에서는 드라마로 만들어져 안방에까지 전달되었다. 우리의 문학계는 오랫동안 장길산, 임꺽정 류의 영...
    Date2019.12.03 Bydschoiword Reply0 Views721 file
    Read More
  5. 베들레헴 작은 골 너 잠들었느냐

    베들레헴 작은 골 너 잠들었느냐 도올 김용옥 선생이 고려대학교 박물관 초청 강의(2011.4.28.)를 하면서 예수께서 베들레헴 말 구유에 태어났다고 말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말 구유에서 탄생하지 않았다. 손님을 모시는 여관(객실)이 없었던 탓으로 베들레헴...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210 file
    Read More
  6. 인기도 낮은 여인의 지혜

    인기도 낮은 여인의 지혜 인기 없는 레아는 이렇게 살았다 최광희 목사 현대 사회에서 인기는 돈이고 권력이다. 노래를 불러도, 제품을 만들어도, 요리를 해도 인기를 끌어야 한다. 정치인이 인기가 있으면 그 사람의 국정 능력과 상관없이 표를 받고 권력을 ...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748 file
    Read More
  7. 3천년 대에 교회의 미래가 있는가?

    3천년 대에 교회의 미래가 있는가? 아래는 한스 큉 <가톨릭 교회>(서울: 을유문화사, 2006) 의 서평이다. <가톨릭의 역사>(2012)로 재 출간되었다. 한스 큉 <가톨릭 교회> 가톨릭(catholic)이라는 말은, '전체와 연관된' 혹은 '보편'을 의미...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815 file
    Read More
  8. 북한, WCC 부산총회의 최대 수혜자

    북한, WCC 부산총회의 최대 수혜자 부산에서 열린 WCC 제10차 총회(2013)가 한국교회와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한국교회는 이 총회 후 5년 동안 교수인 수 감소, 좌파 진보계 기독교의 득세, 이른바 가나안교인의 증가, 동성애자...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934 file
    Read More
  9. 애국가 이야기

    애국가 이야기 애국가 중 “하느님이 보우하사”의 진본 가사는 “하나님이 보호하사”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나님이 보호하사 우리 대한 만세.” <찬미가>(1905) 제14장이다. 가사를 윤치호가 작사했다고 ...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1 Views1497 file
    Read More
  10. 현숙한 여인의 표상

    현숙한 여인의 표상 추석이면 많은 여성이 잠언에 등장하는 ‘현숙한 여인’이 될 것을 요구 받는 모양이다. 잠언 마지막 장에 나오는 이 여인이 되려면 (1) 돈을 잘 벌어 와야 한다, (2) 집안의 일들도 잘해야 한다, (3) 남편 주변 사람 관리도 잘...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0 Views1481 file
    Read More
  11. 노예들의 군무, 감격하는 대통령

    1970년대의 베를린 장벽 노예들의 군무, 감격하는 대통령 동족보다 더 나은 동맹국은 없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 민족은 이데올로기보다 더 중요하다. 평화로운 남북 통일이 이뤄지면 얼마나 좋겠는가. 아무 탈 없이 자유민주의 제도가 보장되고 신앙의 자유...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1 Views994 file
    Read More
  12. 법정은 진실을 가리는 곳이 아니다

    법정은 진실을 가리는 곳이 아니다 대한민국은 증거 없이도 형사 처벌하도록 법으로 보장한다. 법관이 자기 마음 대로 판단, 판결, 처벌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한다. 형사소송법 제308조가 명시하는 '법관의 자유심증주의 원칙'이 그것이다. 자유심증...
    Date2019.12.02 Bydschoiword Reply1 Views1083 file
    Read More
  13. 무슬림 제주 난민 일기

    니캅을 쓴 무슬림 여인 무슬림 난민 일기, 제주에서 제주도에 무사증 제도를 이용하여 예멘인 561명이 입국하면서 무슬림 난민 문제가 화두로 대두됐다.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청와대 국민청원 서명자가 닷새 만에 24만여 명을 넘더니 몇 일 사이에 60만 명을...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2 Views1385 file
    Read More
  14. 노예무역선

    노예무역선 국가연합(UN)은 매년 3월 25일을 국제 노예제도와 대서양 노예무역 희생자를 추모하는 날로 정하여 행사를 하고 있다. 위 그림은 노예 무역선의 비인간적인 환경을 묘사한다. 사람을 짐짝처럼 차곡차곡 쌓아놓았다. 비인간적인 모습을 담은 그림이...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3468 file
    Read More
  15. 판문점선언에 즈음한 목회서신

    판문점선언에 즈음한 목회서신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민족분단 73년의 아침입니다. 정의와 평화가 입맞추는 선지자적 열망이 넘쳐납니다. 한라에서 백두까지 이 부수어진 반도가 하나가 되는 제사장적 기도를 올리면서 왕이신 그리스도의 계절이 오는 꿈을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90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