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저널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cea55e17f3dbd26c041ef163467014.jpg
'대체신학'이란 용어, 합당한가? 

'대체신학'이란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하였다는 뜻을 담은 용어이다. 이 용어 사용자들은 '대체신학'을 반대한다. “만일 교회가 마지막 때에 이스라엘 편에 선다면, ‘대체신학’은 근절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체 신학은 근절될 필요가 없다. 대체신학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체 신학이란 용어는 혈통적 이스라엘의 회복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설정한 용어일 뿐이다. 이것은 전천년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자신들이 주장하는 천년설이 없다 하여 무천년설이라고 말한 것과 동일한 패턴이다.

사실 무천년설은 정확한 말이 아니다. 무천년설이라는 신학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무천년설이란 말의 뜻은 천년왕국이 없다는 뜻인데 소위 무천년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적어도 천년왕국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단지 전천년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주장하는 그 천년왕국이 없을 뿐이다. 무천년설은 지금 초림과 재림 사이의 이시대가 천년 왕국 시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무천년설이라는 용어보다는 ‘현천년설’(present millenium)이란 용어가 정확하다.

이러한 패턴이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한다고 하여 대체 신학이라고 주장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사실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하는 측면은 있다. 그러나 인트레이터가 주장하는 방식의 대체가 아니다. 인트레이터가 대체라고 할 때에 그것은 구약과 신약과의 관계에 불연속성만 있을 때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분명히 둘 사이에 그러한 불연속성이 존재한다. 신약의 교회는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 구약의 이스라엘이 경험할 수 없는 탁월한 시대를 경험한다. 이러한 면에서 세례 요한은 자신을 신부의 친구라고 하고 예수님과 신약의 교회 공동체를 신랑과 신부로 비유하면서 “신부를 취하는 자는 신랑이나 서서 신랑의 음성을 듣는 친구가 크게 기뻐하나니 나는 이러한 기쁨으로 충만하였노라”(요 3:29)고 말하면서 마침내는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하니라’(요 3:30)는 멋진 말을 남기고 있다. 이것은 신약의 교회와 구약의 이스라엘 사이에 불연속적인 측면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동시에 교회와 이스라엘 사이에 연속성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이스라엘과 교회와의 관계는 약속과 성취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구약의 여느 약속과 신약의 성취와의 관계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의 중간에 바로 예수님이 계신다. 이스라엘의 회복을 위해 오셨다고 하면서 끝내는 12사도를 세우셔서 교회 공동체를 세우는 작업을 하셨다.

그러므로 예수님 자신이 구약의 이스라엘과 신약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신다. 예수님을 통해 구약의 약속들이 신약에서 재해석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신약 성경 저자들은 문맥에 따라 구약과 신약 사이에 다시 말하면, 이스라엘과 교회 사이에에 연속성이 강조되기도 하지만 또한 불연속성이 강조되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이 둘 사이에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이 모두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대체 신학’이란 적절한 용어, 합당한 용어가 아니다.

이필찬 교수

(의미 변화 없는 범위 안에서 편집자가 자구를 수정했습니다)

출처: 이필찬교수의 성경 연구
생명나무 쉼터/한아름

개혁주의 자료, 2014/02/26 04:08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

  • ?
    dschoiword 2019.12.01 22:53
    세대주의와 대체신학이라는 게 있다. 세대주의란 한 마디로 인류 역사가 딱 짜여 있다는 믿음이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구속사 프로그램이 지정학적 이스라엘로 회귀한다는 종말론으로 끝맺는다. 이를 테면 예수라는 이름을 배격하고 예슈아라는 이름을 선호하는 것도 그 일련의 패턴일 것이다. 대체신학은 지정학적 이스라엘이 신약 교회로 대체되고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은 영적인 의미의 공백이 되었다는 신앙 가치관이다. 이 둘은 상대편에서 부르는 다소 경멸의 명칭인데, 다만 전자가 긴장감을 조성하는 개념이기에 불안한 시대일수록 탄력을 받는다. 여러분이 부분적으로든 전체적으로든 어떤 종말 사상에 경도 되었든 둘 중 하나에는 속하는 것이다. (이영진 목사, 페이스북 글)
  • ?
    dschoiword 2019.12.01 22:53
    세대주의와 대체신학/ 이영진 교수(호서대)

    1. 우선 세대주의를 선호하는 사람은 조직신학자들이 왜 세대주의를 경계하는지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괜한 지적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이 세대주의인지는 어떻게 구별할 것인가?

    2. 유대인과 이방인이라는 이원 구도 속에서, 지금까지 배워온 ‘예수’가 뭔가 부족하다고 느끼게 되었다면 그것은 세대주의에 경도된 것이다. 무엇보다 세대주의의 맹점은 2천 년 전 역사적 예수의 완성을 미완의 마침으로 교훈한다는데 있다. 말은 재림예수를 향한 열린 상황/믿음으로 설명하는데, 결과적으로는 ‘재림예수’와 ‘열린 결말’을 지나치게 강조 하다 보니 ‘초림’을 과정/수속으로 격하시키는 오류다.

    3. 이러한 오류 역시 로마서를 통해 그 균형을 잡을 수 있다.

    4. 로마서 10장에는 저 유명한 명제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이다”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는 마가복음으로 말할 것 같으면,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에 상응하는 선언이며, 요한복음으로 말할 것 같으면,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에 상응하는 강도의 선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수님 정체성의 시작이자 끝인 셈이다.

    5. 그런데 문제는 이 초림의 지정학적 발상지인 이스라엘에서는 대부분 이 믿음이 거절당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있다. 사실, 그러면 되는 대로 대충 하다가 마무리치고 말면 되었을 텐데, 거기서 멈추지를 않고 이걸 이방인에게 갖다 뿌린 것이다. 누가? 굳이 바울 혼자한 것이라고는 말 않겠다. 당시에 이 이방사역의 여러 루트가 있었지만, 이방 사역의 판이 커지는 이 기현상을 일종의 하나님의 은폐된 섭리로 각인시킨 것은 다름 아닌 바울이었다. 그것의 중심 서술이 바로 로마서 11장이다.

    6. 이 로마서 11장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한낱 풍토신이 어떻게하여 세계적인 신으로서의 당위성을 얻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핵심 본문인 것이다.

    7. 쉽게 비유로 들자면, 한국이 종주국인 김치가 일본을 통해 서구에서 그 판이 커진 격. 이때 이같은 역설적 현상을 주석을 달아놓지 않고 내버려두었다면 김치의 종주국은 사라진 채로 세계음식이 되었을 뻔한 것처럼, 기독교는 헬라의 흔한 종교 중 하나로 전락했을 뻔하였다. 하지만 바울은 결코 그 종주국의 뿌리를 끊어 내지 않았던 것이다. 이것은 선교 마케팅의 수법이라기보다는 지난날 야웨 종교에 관한한 그의 참된 신심의 덕택이었다. 그의 입장에서는 그 기현상이 실제로 하나님의 경륜이자 섭리였던 것이다.

    8.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신학적 범주가 한정되고 만다. 바로 감람나무 접붙임의 알레고리가 그것이다.

    9. 사실 나는 개인적으로 성서 전반에 암시 되어 있는 대로 종말에는 지정학적 이스라엘이 모종의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본다. 아니 이미 실제로 국제사회에서의 이스라엘 역량이 지표를 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 한정적 범위란 바로 이것으로, 잘려나간 그들의(이스라엘) 가지가 다시 복원될 때는 나무 ‘본체’로서 역할이 아니라, 그들 역시 ‘접붙임’의 방식대로(이방인이 그랬던 것처럼) 붙게 된다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이다”가 해체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스라엘도 회개는 해야할 꺼 아닌가?)

    10. 여기서 흔히 접붙임의 비유를 혼동한다. 접붙임이란 배나무에 사과가지를 접붙였을 때, 배가 열리는 게 아니라 사과가 열리고 맛은 배 맛이 나는 원리를 말한다. 이런 원리로 야생 올리브 나무 가지(이방인)가 올리브 나무에 접붙여진 것이다. 하지만 이스라엘이 복음을 받아들일 때에는 어떤 원류로서 살아나는 게 아니라, 그들 역시 접붙여진다는 신학적 범주의 한정이다. 이 원리를 전복시키기 때문에 세대주의라는 오명을 쓰는 것이다.

    참조: “그러나 믿지 않았던 탓으로 잘려나갔던 가지들이 믿게 되면, 그 가지들도 접붙임을 받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다시 접붙이실 수 있습니다.”(롬 11:23, 새번역)

    11.이와 같은 기본 골조 아래, 흔히 ‘예슈아’에 관한 (세대주의적) 교훈을 되돌아보기 바란다. ‘예슈아’라는 신명이 잘못된 게 아니라 그 집적 원리가 잘못된 것이다.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말 자체는 좋은 뜻인 것처럼. [*참고 https://goo.gl/2FRh6C ]

    12.참고로 바울의 다음 고백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나도 이스라엘인이요 아브라함의 씨에서 난 자요 베냐민 지파라”(롬 11:1b)

    이 고백을 흔히 자랑처럼 이해하지만 이는 빌립보서 3장 5절의 (자랑의) 운율과는 다른 일종의 결함으로서의 고백이다. 신약 전반에 걸쳐 바울이 자신을 ‘베냐민 지파’라고 반복적으로 밝히는 것은 대단히 독특한 자의식을 반영하는데, ‘베냐민’이라는 말 자체는 신약성서에서 4번이 나오는데 3회가 바울의 입을 통해서 나오는 말이기 때문이다.

    13. 자신을 ‘베냐민 지파’로 밝히는 이 특이점은 그의 이름과 긴밀한 관련을 이룬다. 그는 과연 사울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왕의 이름으로서) 의식적으로 사용했을까? 교회에서는 회심의 개명으로 이해하는 그 이름을 많은 학자들은 근거가 희박하다고 평가절하 하지만, 공교롭게도 그 이름의 변화는 사도행전 13장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바로 ‘서기오 바울’이라는 이방인에 대한 전도, 즉 자신이 최초로 선교지에 나가 전도에 성공한 인물에서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을 깨달은 것이다. 즉 회개의 개명이라기보다는 직분으로서 자의식이 반영된 개명인 셈이다. ‘서기오’라는 말은 ‘종’이라는 말인데, 이를 기점으로 그는 자랑스러운 선민으로서 ‘사울’(베냐민 지파)이 아닌 ‘종’으로서, 곧 접붙인 존재로서 자기 인식의 전환을 이루기 때문이다.

    14. ‘사울이라고 하는 바울’ 즉, 사울이라는 왕의 이름을 쓰고 돌아다닐 때는 의기가 양양(심지어 살기가 등등) 했지만, 이제는 종이 된 것이다. [*하지만 CJB (Complete Jewish Bible)같은 성서는 13장에서 이런 분기점을 깡그리 무시하고 ‘솨울’(사울의 히브리 음가)이라 역해놓고 있다.]

    15. 여기에 이른바 고토신학의 진정한 본질이 있다. 이스라엘의 회복을 고대하는 브렌치들은 다름 아닌, 바로 ‘사울이라고 하는 바울’ 을 그 회귀의 모델로 삼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16. 그럼에도 어찌된 일인지 이스라엘의 회복을 주창하는 많은 사람은 바울이 아니라, 당대에 바울의 대적자로서 활약했던 바로 그 유대인의 가르침으로 회귀하려는 관성을 안고 있다. 이것이 여간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17. 한편, 대체신학이라는 말은 세대주의라는 명칭으로 저격 당하는 진영에서 붙인 경멸의 표현일 것이다. 사실, 성서는 유대인의 회복을 가로막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체신학 역시 온전한 가르침은 아니다(이 역시 용어가 잘못 되었거나)

    18. 아래 댓글의 그림을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감람나무 접붙임 비유를 옮긴 것으로 비교적 이상적인 그림이다. 단, 나무 본체 뿌리를 ‘히브리 루트’라고 표기한 것만 빼고. 대신 ‘하나님 뿌리’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스라엘이 회복된다면 그 아래에 떨어져 있는 가지가 접붙임 된다. 롬 11장 참조.) 그리고 만약 대체신학이 성립되려면 좌측에 있는 나무가 중심으로 옮겨져 중심 나무가 되어야 한다는 소리인데, 로마서 11장은 그런 알레고리를 지지하지는 않는다.
    .
    * 2017.8.20 | 후회하심이 없느니라 | 롬 11:1~32. (cf. 창 45:1~15; 시 133; 롬 11:1~2a, 29~32; 마 15:(10~20), 21~28.)
  • ?
    빛의아들 2019.12.08 19:03
    대체신학을 세대주의로 생각하는 신학자들의 오류는 그들이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되시는 언약의 하나님을 까먹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선택과 그들이 민족을 이루는 과정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그와 맹세로 하는 언약 곧 쪼갠고기로 지나가며 자기의 약속을 맹세오 했다는 사실이다

    이스라엘의 회복을 주장하는 분들도 하나님이 맹세로 한 언약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 맹세로 한 언약의 핵심은 아브라함의 후손들로 하여금 땅을 영원히 얻게 한다는 것이다 그 땅의 이름은 가나안이다

    성경에 등장하는 땅의 의미를 잘 생각해야 한다 땅은 그냥 땅이 아니라 천국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창세기와 출애굽기의 핵심이 바로 땅을 얻게되는 과정을 그리기 때문인것이다

    이 땅의 언약이 바로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과 한 언약이고 야곱에 이르러 그는 12아들을 얻게되고 애굽에서 민족을 이루게 되고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얻게되고 애굽땅 종되었던 곳에서 하나님의 능력으로 벗어나 광야를 거쳐 가나안 본향 본향이라는 의미는 그 땅이 아브라함이 민족을 떠나 하나님이 주신 땅으로 가라 한 그 땅이기 때문이다

    그 땅으로 들어가게 되며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시내산 율법의 언약을 맺게 되는 것이다 이 율법의 언약의 핵심은 아브라함과의 영원한 언약을 성취하고 그 언약이 완성되어야 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언약인 것이다 곧 율법을 지켜 가안땅을 온전히 점령해야만 그 언약이 완성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스라엘이 시내산 언약을 받고도 그들은 율법을 범하게 되고 하나님의 약속을 지키지 못함으로 가나안땅에 바로 들어기지 못하고 40년을 광야생활하며 애굽에서 나온 사람들이 다 죽고 나서야 비로서 가나안땅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가나안을 약속한 하나님의 언약을 지켜 행했다면 아마그때 언약이 이루어 졌을수도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율법을 지키지 못했고 언역을 지킹수 없게 된것이다

    하나님은 율법을 범하여 죄인된 이스라엘 곧 언약을 이루지 못한 그들을 위해서 예수그리스도께서 오신 것이다 예수그리스도의 오심은 이방인으로 하여금 언약을 바꿔 교회가 언약의 후계자가.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로 하여금 율법의 저주에서 벗어나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언약한 약속을 얻게 하려는 것이었다

    예수님은 잃어버린 이스라엘의 어린양을 구하러 오신 것이고 이방인을 구원하신 이유는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언약의 풍성함이 어떤것인지를 알게 하려는 것이다

    율법을 범하여 죄인된 이스라엘을 구하려는 하나님의 뜻인데 여기에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있는데.바로 이땅에 사는 모든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사역인 것이다

    이스라엘을 택한 이유가 무엇인가 온땅에 복을 주기 위함인것이다

    이방인을 구원하누이유가 무엇인가 하나님 어떤 분인지를 이스라엘로 알게 하려는 뜻이다 인간들이 오해하여 성경의 해석이 개판이 되고 있다

  1.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헬라어로 가르친 적이 있는가?   예수는 갈릴리 출신이다. 모국어는 아람어였다. 예수와 요셉과 마리아는 아람어를 사용했다. 제자들도 아람어를 사용했다.오늘날 예루살렘 성 안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람어로 예배를 드린다. 고대 아람어 방언으...
    Date2020.05.14 Byreformanda Reply0 Views1910 file
    Read More
  2.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플랫폼

    유비쿼터스 방언, 코로나 채널 1. 개종한 이방인, 입교한 유대인 위경 <유디스>(Judith, BC 100경 추정)는 암몬인이 유대인으로 신분을 바꾼 이야기를 소개한다. 암몬 족속 장수 아키오르가 할례를 받고 유대인이 되었다(유디스 14:10). 미모의 유대인 여인 ...
    Date2020.05.03 Byreformanda Reply0 Views701 file
    Read More
  3.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최덕성 교수와 한국교회의 칭의론 논쟁 고경태 박사 (총신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교회당 정문에 게시한 95개 반박문(1517)은 교회와 세계 역사를 바꾸었다. 루터는 이신칭의 교리를 교회의 서고 넘어짐의 조항(articulus sta...
    Date2020.04.12 Byreformanda Reply0 Views1162 file
    Read More
  4. 화이부동(和而不同)은 가능한가?

     화이부동(和而不同)은 가능한가? 한국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이 모호해지고 있는 증상은 여러 면에서 나타난다. 강단에서 외치는 설교에 응집력과 일관성 있는 교리가 없다. 확실성을 가진 진리체계를 제시하지 않는다. 축복, 은혜, 위로, 평안, 윤리, 은사 ...
    Date2020.04.11 Byreformanda Reply0 Views591 file
    Read More
  5. 복음회복, 사도적 직무

    복음회복, 사도적 직무 최덕성,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2 6.3 복음 회복   6.3.1 고신교회 구성원 일부가 김세윤의 이신행칭의론 또는 유보적 칭의론과 최갑종 박사(백석대학교, 신약신학)의 ‘아르벵주의’에 흥미를 가지는 것은 “의의 ...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515 file
    Read More
  6.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의(義)의 복음, 의인 자긍심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1 6.2 의의 복음, 의인 자긍심   6.2.1 개혁신학의 두드러진 장점은 이신칭의 중심의 구원론에 대한 확고부동한 신념이다. 이신칭의는 기독교 정통 신앙의 요체(要體, hinge)이다. ...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622 file
    Read More
  7. 복음 파도타기

      복음 파도타기 "왜 고신교회인가?: 고신교회의 계승과 도전" 10 6. 도전 과제   6.1 복음 파도타기   6.1.1 전통은 전수들과 계승자들에 의해 유지된다. 거미줄처진 탄광 같이 썰렁한 교회에는 유산을 물려받을 주체-사람들이 없다. 하나님의 나라 확장, 신...
    Date2020.04.08 Byreformanda Reply0 Views533 file
    Read More
  8. 김영한 박사의 이단-사이비에 관한 신학적 기준

    김영한 박사의 이단-사이비에 관한 신학적 기준 전문성 결여된 이단감별사들      머리말   최근 한국교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단 논쟁과 시비는 주도자들의 주관적, 자의적 판단으로 인하여 교회 안팎에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몇몇 직업적 이단감...
    Date2020.03.28 Byreformanda Reply0 Views1117 file
    Read More
  9.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 무엇 때문인가?

    박정곤 목사, 최덕성 목사, 이세령 목사 (완편에서 오른편으로)                  한국장로교회의 첫 분열, 무엇 때문인가?    이대웅 기자 <크리스천투데이> 2020.02.18. 제2회 고신포럼 ‘전환기의 한국교회와 고신의 역할’        제2회 고신포럼(대표회장 ...
    Date2020.03.10 Byreformanda Reply0 Views671 file
    Read More
  10. 새 튤립(TULIP)이 주는 기쁨

    새 튤립(TULIP)이 주는 기쁨 David Mathis, The Doctrines of Graciousness: Five More Points for Young Calvinists 최근 개혁신학이 다시 각광을 받으며 칼빈주의를 표방하는 젊은 기독교인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스스로가 주장하는 신학에 어울리는 영적 ...
    Date2020.02.14 Byreformanda Reply0 Views722 file
    Read More
  11. 일본그리스도교회의 사죄 해프닝

    일본그리스도교회의 사죄 해프닝   1. 일본교회의 사죄문(謝罪文)   일본그리스도교회(日本基督敎會)는 1951년에 일본기독교단에서 환원하여 재조직된 교파이다. 이 교회의 1990년 총회는 “한국·조선의 기독교회에 행한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죄의 고백과 사...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526 file
    Read More
  12. 중세교회는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나?

    중세교회는 전염병에 어떻게 대처했나?   중세 유럽인들은 불안감과 두려움의 도가니 속에 살았다. 반문화, 반노동 정신은 조악(粗惡)한 기술, 봉건제도의 구조적 모순, 그리고 빈곤을 선사했다. 호구(糊口)가 불가능했으며, 생존조차 어려운 사람들이 많았다...
    Date2020.02.11 Bydschoiword Reply0 Views1029 file
    Read More
  13. 왜 신은 인간이 되었는가?

    베들레헴 예수탄생교회당 왜 신은 인간이 되었는가? 안셀무스(Anselmus of Bec, c. 1033-1109)는 중세교회가 낳은 탁월한 기독교사상가이다. 이탈리아 북부에서 태어나 프랑스 노르망디에 있는 벡(Bec)수도원학교에서 수학했다. 강직한 성격과 탁월한 지력을 ...
    Date2020.01.10 Bydschoiword Reply0 Views1441 file
    Read More
  14. 도올 김용옥과 사이비 기독교, 학술회

    도올 김용옥과 사이비 기독교, 학술회 기독교사상연구원 리포르만다(대표 최덕성 박사)에서 제12차 학술회를 2019년 10월 8일 오후 1시 30분부터 부산 전포동 국제금융센터 부근 브레드티비 스튜디오(BREADTV STUDIO)에서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 주제는 &lsqu...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843 file
    Read More
  15. 기독인들의 대통령 하야운동, 정당한가?

      기독인들의 대통령 하야운동, 정당한가?        1. 최근 교회 지도자들이 국가 권력자를 향해 거친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상당수 기독인들이 문재인 대통령의 하야(下野) 운동에 적극 가담하고 있다. 현 대통령을 나치 정권의 히틀러에 비교하고, 히틀러...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565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