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사진의 의미

by dschoiword posted Oct 30, 2015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로회.jpg

 


 

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기념 사진(1948)의 의미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총신대학교는 몇 년도에 설립되었는가? 이 학교들은 2002년에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거창하게 가졌다. 한 해 동안 학술회, 음악회, 예술발표, 홈커밍데이 등 다양한 행사들을 했다. 개교 100년을 기념하는 '장로회신학대학교 100년사'와 '총신대학교 100년사'를 각각 발간했다. 1902년에 설립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자랑스런 학교임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과연 이 학교들이 1902년에 설립되었는가?

 

위 사진에는 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기념(1948)이라고 적혀 있다. 장신대와 총신대가 주장하는 설립 연도와 불일치한다. 어찌된 영문인가?

 

장로회신학교는 1948년 봄학기 말에 신설되었다. 일제가 버리고 간 서울 남산의 조선신사 건물에서 출범했다. 신설 학교의 신학생들은 대부분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학생들로, 박형룡 박사를 따라 학교를 옮긴 자들이다. 고려신학교에서 졸업을 했어야 하는 자들은 기독교 친일파 인사들과 손을 잡은 박형룡의 정치적 행보와  현실 타협적 처신을 따라 신설 학교로 옮겼다.


장로회신학교는 조선신학교와 함께 장로교 총회의 권고를 받으며 우여곡절 끝에 합동, 통합의 분열과 더불어1959년에 현재의 장신대와 총신대로 갈라섰다.

 

 

위 사진 중앙에는 "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기념 1948년 7월 00일"이라고 적혀 있다. 사진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탓으로 며칠인지는 알아보기 어렵다. 사진의 중앙 좌편에 박형룡 교수가 있다. 김준곤(CCC), 박창환(장신대), 신복윤(합신대), 손두환(총신대), 정규오(광신대), 박영창(일본), 최석홍(총신대), 차남진(총신대)이 보인다. 그리고 박치순, 김억수, 송치호, 박중락, 하종관, 정희찬, 장세용, 박용한, 전상성, 조진곤, 엄무성, 이상덕, 이노수, 김두용, 정윤진 등 모두 24명이 졸업을 했다. 정확한 이름은 장신대와 총신대의 졸업생 명단에 등재되어 있을 것이다.

 

고려신학교 교장 박형룡 박사는 취임 한 해를 넘기지 않은 시점에 고려신학교 학생 약 절반을 데리고 나와 장로회신학교를 신설했다. 학생들이 박형룡을 옹립하여 새로운 신학교를 세운 것으로 봄이 옳을 것 같다. 이 학생들 가운데는 조선신학교(현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자유주의 신학 사상에 불만을 가지고 고려신학교로 편입한 자들이 상당수 있다.

 

위 학생들을 1948년 6월 한 달 동안 공부를 하고서 신학교 졸업장을 받았다. 오늘날의 목회학 석사(M.Div.)에 해당하는 과정 졸업장을 받은 것이다. 한 달 동안 공부를 하고 졸업장을 받는 영광(?)을 얻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가?

 

신학교는 교회의 연장이다. 예장 고신은 담임목사나 부목사가 교인들을 데리고 나가 교회를 따로 설립하면 목사직을 면직시킨다. 박형룡은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데리고 갔다. 박형룡은 고려신학교 관계자들에게 여러 면에서 충격과 슬픔을 안겨주었다. 박형룡의 행보는 어느 모로 보나 바람직하지 않다.

 

장신대와 총신대는 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이라는 역사를 뭉개버리고 1902년에 설립되고 1938년에 문을 닫은 평양 소재 장로회신학교를 게승한 학교로 자신의 역사를 개조, 날조했다. 언제, 누가, 왜, 어떤 과정을 거쳐 역사를 날조했는지 궁금하다. 각 학교의 100년사는 이에 대한 설명이 없다.

 

장신대, 총신대 졸업생들, 재학생들은 자신의 모교가 역사를 날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선지학교의 역사날조는 양심, 정직성, 윤리적 결함과 직결되어 있다. 날조된 역사에 침묵하면서도 양심운운 할 수 있겠는가. 더욱이 날조된 역사를 정사로 인식하고서 자신이 모교나 재학 중인 학교가 110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가졌다고 자부한다면, 이는 부끄러운 일이다.

 

장신대는 순교자 주기철 목사를 이 학교의 자랑스런 졸업생, 동문으로 여기고 역사를 그렇게 기술한다. 장신대 교수회는 주기철의 이름을 장신대 졸업대장에 기록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예장 합동 2015년 가을 총회는 주기철을 총신대 졸업생 명부에 등재하라는 결의했다고 한다. 주기철이 졸업한 학교는 1938년에 우상숭배를 거부하다가 자진 폐교했다. 장신대, 총신대를 이 학교의 후신이라고 기술하거나 계승 학교라고 할 수 있는 근거가 전혀 없다.  '객관적'인 또는 설득력 있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 주기철은 장신대와 총신대 졸업생이 아니다.

 

'역사날조라'는 표현이 거북스러운가? 필자는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서울: 지식산업사, 2000)이 이 주제를 상론하고, 5가지 핵심 이유들을 들어 역사날조를 규명한다. 책이 발간된지 15년이 지났고, 이 책을 인용하는 것을 보면 관계자들이 읽은 것이 분명하다. 필자의 주장이 옳지 않다면 장신대, 총신대의 한국교회사 담당 교수나, 교단 관계 사가들이 근거를 밝혀 주기 바란다. 학문은 비평적 논의를 거쳐 발전한다. 무반응 반응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한신대학교도 역사날조를 한다. 설립목적(충량유위한 황국의 교역자 양성)과 이사장(초대 함태영) 차수를 날조한다. '영광스런 친일역사'를 감추려고 의도적으로 날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 학교 40년사 기록 내용과 장로회 총회록에 수록된 조선신학교 보고 내용을 비교하면 역사날조가 확연히 드러난다. 이 주제도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이 "한신대학의 역사날조"라는 제목 아래에서 상론한다.

 

신학교는 신학, 신앙, 영성, 양심의 요람이다. 사회를 이끌 양심의 교사들, 목회자들을 배출하는 선지동산이다. 날조한 역사를 솔직히 시인하고 지금이라도 바르게 고쳐써야 하지 않겠는가.

대한민국은 국사교과서 국정화 사안 때문에 역사전쟁을 치르고 있다. 자신의 역사날조는 감추면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일본의 역사왜곡, 중국의 동북아역사공정을 비난함은 모순이다.

 

최근 장신대는 한국사국정화와 관련하여 교회사 교수 다수가 성명서를 발표했다. 교회사 교수 7명은 2015년 10월 23일에 공동의 이름으로(임희국, 서원모, 박경수, 안교성, 이치만, 김석주, 손은실)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자신들을 신앙과 양심의 자유를 정체성의 근간으로 삼는 ...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역사신학교수로 소개했다.  "신앙인으로서," "학자로서," "국민으로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고 했다.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는 요한복음 8장 23절 말씀으로 성명서를 마무리했다. 학생들도 저항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 주장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산상수훈을 생각나게 한다.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제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마 7:3). 장로회신학교 제1회 졸업사진의 의미에 대하여, 장신대, 총신대 구성원들의 의견을 듣고 싶다.


 

최덕성

쓴이 최덕성신학자이다. 현재 브니엘신학교 총장(2013-)이며 교희학 석좌교수이다. 고려신학대학원-고신대학교 교수(1989-2009)였다.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1997-1998)였다. <한국교회 친일파 전통>, <빛나는 논지 신나는 논문쓰기>, <에큐메니칼 운동과 다원주의>, <정통신학과 경건>, <신학충돌>, <교황신드롬>, <KOREAN CHRISTIANITY> 등 약 20권을 저술했다. 미국 예일대학교(STM), 에모리대학교(Ph.D.)를 졸업했다. 한국복음주의신학회로부터 '신학자대상'(2001)을 수상했다. .


▶ 아래의 SNS 아이콘을 누르시면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