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조회 수 10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ec4123e2e86333936c36a008292b8e3.jpg

 

 

레오나르도 보프, 사제직을 버리다

 

레오나르도 보프(Leonardo Boff)는 브라질 출신 로마가톨릭 신학자이다. 프랜시스수도회 소속 신부였다. 중남미 해방신학을 대변해 온 그는 요한바오로 2세 교황 시절인 1992년 6월 28일 사제직을 버리고 평신도가 되었다. 그가 발표한 60권 이상의 책들 중에는 중요하게 평가된  <구원과 해방>, <해방자 예수 그리스도>, <성사란 무엇인가>, <생태신학>, <지구의 탄식, 가난한 이들의 탄식>, <삼위일체와 사회>, <로마의 프란치스코와 아시시의 프란체스코> 등이 있다.

 

보프(Leonardo Boff)는 1986년에 제2차 바티칸공의회 교회헌장』 8조의 안에 존재한다는 진술이 하나인 그리스도의 교회가 비로마가톨릭 교회들과 교회공동체들 안에도 모두 다 존재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참 교회는 로마의 울타리 바깥에 있는 기독교 교회들 안에도 존재한다고 했다. 보프는 인권과 사회문제를 마르크스주의적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하면서로마가톨릭교회의 사회와 경제 질서의 역할과 교계(敎階제도를 비판했다예수 그리스도는 제도적 기구라는 개념의 교회 설립을 염두에 두지 않았으며교계는 로마제국과 봉건주의 시대의 산물이며개신교회를 교회로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최덕성 박사는 로마가톨릭교회의 신학과 에큐메니칼 운동과 관련하여 보프를 종종 언급했다.

 

보프는 올곧은 목소리를 외치는 탓으로 로마가톨릭교회 당국의 미움을 받아왔다. 그는 사제직을 버리면서 전 세계의 교우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아래의 이 편지는 <한겨레> 1992년 8월 9일자에 실린 것이다.


사제직을 버리되 교회를 버리지는 않습니다

사람이 살다보면 자신에게 충실하기 위해 스스로 달라져야 할 순간이 있습니다. 지금 내가 그런 처지입니다. 나는 투쟁을 포기하지 않되 방법을 달리합니다. 사제직을 버리되 교회를 버리지는 않습니다. 나는 교회의 보편성과 일치운동 정신이 배인 한 가톨릭 신학자임에 늘 다름이 없습니다. 이 정신을 나는 가난한 이들의 시각에서, 그들의 가난을 거슬러 또 그들의 해방을 위해 실행합니다.

우선 내가 사제복을 벗는 이유를 말씀드리자면, 그것은 자유를 지키기 위함이요 끝내는 몹시 어렵게 된 나의 일을 계속하기 위함입니다. 이 일은 지난 25년 동안 신명을 바쳐 온 내 삶의 의미입니다.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행동근거에 충실하지 않는 사람은 품위를 잃고 본연의 정체를 구기게 됩니다. 나는 그렇지 않습니다. 하느님이 그렇게 살기를 원하지도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쿠바의 사상가 호세 마르티의 말을 상기합니다.

“하느님이 사람의 머리에 생각을 심으셨거늘 하느님만 못한 주교가 이를 표현하지 말라 함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1970년대부터 여느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나는 복음을 사회불의와 억눌린 이들의 외침을 생명의 하느님과 관련지어 설명하려고 애써 왔습니다. 이렇게 생겨난 것이 ‘해방신학’이라는 처음으로 보편성을 띤 라틴아메리카 신학입니다. 해방신학을 통해서 우리는 그리스도 신앙의 해방력을 되찾고 예수에 대한 ‘위험한 기억’을 오늘에 되살리고자 했습니다. 그럼으로써 그리스도교를 권력자들의 이익에 묶어 두고 있는 쇠사슬을 깨뜨리고 싶었던 것입니다.

예수에 대한 ‘위험한 기억’

이런 열성에 이끌려 우리는 ‘가난하게 변두리에 사는 이들’이라는 ‘학교’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복음을 배웠습니다. 더 사람다워지고 더 민감해졌습니다. 그들의 고통을 낳는 원인인 구조적 장치들도 더 분명히 보게 되었습니다. ‘하느님의 노여움’에 의하여 연대적인 실천과 참여적인 성찰에 이른 것입니다. 전통적 그리스도교를 특권 보전의 동맹쯤으로 여기며 대다수에게는 무질서일 따름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핑계를 일삼는 그런 사회 집단들의 비방을 우리는 그들과 더불어 견디어 냈습니다. 우리 믿음의 형제들에게조차 이단자로 또 마르크스주의 연루자로 지탄받는 고초를 겪었습니다.

언제나 나는 여자를 차별하고 평신도를 멸시하며 근대적 자유와 민주주의 정신을 불신하고 지나치게 중앙집권화 된 신성권력을 성직자들의 손에 쥐어 놓는 그런 모든 구조와 행동방식을 교회 자신의 삶에서 극복할 때라야 참으로 교회가 억눌린 이들의 해방과 연대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자주 궁리해 온 명제를 여기서 되풀이하건대, 삼위일체론에서 오류인 것이 교회론에서 진리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위계란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 삼위일체의 가르침입니다. 종속론은 무엇이나 이단입니다. 하느님의 삼위는 위엄도 품성도 능력도 똑같습니다. 삼위일체의 가장 깊은 본성은 고독이 아니라 친교입니다. 생명과 사랑의 관계로 하느님의 삼위가 그처럼 철저히 맺어져 있기에 우리는 세 신이 아니라 하나이신 하느님을, 하느님 공동체를 모시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교회는 위계가 근본요소이며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은 하느님의 안배라고 말합니다.

나는 교계제도 자체를 반대하지 않습니다. 좋은 의미에서 섬김과 책임의 위계도 있으니까요.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교회를 하느님 삼위의 모상이라고 주장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에게는 아버지와 스승이 한 분 뿐이라고 예수님은 또렷이 말씀하셨는데(마태오 23, 8-9 참조), 교회에 아버지와 스승을 자처하는 사람들이 그다지도 많고 보면 형제자매의 공동체라는 예수의 꿈은 어디에 남아 있습니까? 현존하는 교회조직 형태는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오누이 되어 사는 예수님과 사도들의 이상향을 실현하고 촉진하기 보다는 도리어 차등을 조장하며 반영하는 편입니다.

잔인하게 검열당하는 ‘목소리’

이런 생각 때문에 나는 바티칸 교도권의 날카로운 감시를 받게 되었습니다. 직접으로든 중간 권위를 통해서든 감시가 점점 옥죄어 오더니, 끝내 교수로서, 설교자로서, 조언자와 문필가로서의 나의 신학활동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1971년부터는 줄곧 경고와 제약과 징계 조처들이 담긴 서한들을 받고 있습니다.

모든 서한에 나는 회답을 했습니다. 두 번은 내 교수직의 일시 정지에 관하여 다루었습니다. 1984년에는 교회의 최고 법정인 바티칸의 ‘청문회’에 불려갔습니다. 1985년에는 내 의견 가운데 많은 것에 대한 단죄를 받아들였습니다. 그 뒤에는 ‘정중한 함구령’으로 처벌을 받았습니다. 나는 “나의 신학을 가지고 혼자 있기 보다는 교회(가난한 이들과 밑바닥 공동체들의 교회)와 함께 있겠다”며 모든 처벌을 달게 받았습니다. <브라질 교회 평론>지 편집도 내놓게 되었고, ‘목소리’Vozes 출판사의 간행위원도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나에게는 현행법 밖의 한 특별규정이 강제되었는데, 나의 모든 저술은 이중으로 사전 교회검열에 제출되어야 했는데, 하나는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내부 검열이요, 다른 하나는 ‘교회 출판물 인가’의 관할권을 가진 주교의 검열입니다.

이 모두를 나는 받아들였고, 이 모두에 허리를 굽혔습니다. 1991년과 1992년 사이에는 테두리가 더욱 조여 들었습니다. ‘목소리’ 출판사 자체와 이 출판사에서 간행되는 모든 잡지가 검열을 받게 되었습니다. 나에게는 새삼스레 내가 쓰는 모든 글과 책들이 사전 검열을 받도록 요구되었습니다. 게다가 나는 무기한으로 정식 신학 교수직에서 물러나야 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교도권과 씨름을 하면서 얻은 주관적인 경험이 이렇습니다. 이 권위는 잔인하고 무자비합니다. 아무것도 잊지 않고 아무것도 용서하지 않으며 모든 것을 요구합니다. 나는 담벼락 앞에 다다른 느낌입니다. 더 나아가지 못합니다. 되돌아간다는 것은 본연의 정체를 희생하고 여러 해 신명을 바쳐 온 일을 단념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교회 안에 있다고 무엇이나 다 옳은 것은 아닙니다. 이 세상 안에는 모든 것을 싸잡는 일이란 없다는 것을 증언하기 위하여 예수님은 죽기까지 하셨습니다. 넘어서는 안 될 한계선이 있으니 인간의 권리와 존엄과 자유가 그것입니다. 줄곧 허리를 굽히고만 있는 사람은 필경 병신이 되고 사람 구실을 못하게 됩니다.

내 삶을 고취하는 동기들은 그대로 존속합니다

아주 쓴맛을 보고 알기 전에, 그리스도 신앙과 희망의 인간적 바닥이 내 안에서 무너지고 각 위격의 친교라는 하느님의 복음적 모습이 내 안에서 위험에 빠지는 꼴을 보게 되기 전에 나는 차라리 길을 바꾸되 방향을 돌리지는 않습니다. 내 삶을 고취하는 동기들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곧, 가난한 이들에게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를 위한 투신, 복음에 대한 열정, 이 세상의 고통 받는 이들과 함께 느끼는 연민, 억눌린 이들의 해방을 위한 책임, 비판적인 사고와 극도로 비인간적인 현실 사이의 매개, 그리고 끝으로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이 밝히고 실천한 것처럼 창조계의 어느 존재에 대해서나 자상하게 돌보는 다정한 마음들입니다.

나는 교회의 신비롭고 성스러운 특성을 여전히 사랑하고 있지만, 분명한 태도와 관용의 정신으로 교회의 역사적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을 그치지 않으려 합니다. 오늘날 로마 가톨릭 교회 안는 깊은 위기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두 가지 태도가 매우 거칠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교회 규율의 힘이며, 둘째는 교회 쇄신의 내적인 힘을 믿는 태도입니다. 첫째는 교회에 분명한 질서가 필요하며 따라서 모든 이의 순종과 복속에 온 무게를 실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태도를 교회 안에서 중앙 행정을 맡아 결정을 내리는 지위에 있는 대다수가 취하고 있습니다. 둘째는 교회가 끊임없이 스스로 해방될 필요가 있다는 데서 출발하며, 그래서 역사를 꿰뚫어 활동하는 성령을 믿고 수천 년 늙은 거목인 교회의 몸에 거름처럼 열매를 맺어주는 생명력을 믿습니다. 나는 두 말할 나위도 없이 둘째 범주에 속합니다. 믿음으로 두려움을 이겨내고 있는 ‘무방비 상태의 꽃들’과 눈에 띄지 않게 나무를 지탱하는 뿌리들에 희망을 걸고 있는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입니다.

평신도 예수의 사제직

형제자매 여러분, 희망을 안고 함께 길을 가는 동행자 여러분! 여러분의 투신이 나의 처신으로 말미암아 기죽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이 교회가 더 복음에 어울리고, 더 공감적이며, 더 인간답게 변해서, 교회가 하느님의 아들딸들의 자유와 해방을 위한 의무를 잘 수행하도록 애씁시다.

나는 지적 활동을 통하여 하나의 인디오-아프로-아메리카 그리스도교를 건설하는 일에 진력하고 싶습니다. 하느님의 복음에 대한 응답으로서, 우리네 민중들의 몸과 피부, 춤과 고통과 기쁨, 언어에 뿌리내린 그런 그리스도교 말입니다. 나는 평신도들의 보편 사제직에 계속 머물러 있습니다. 히브리서의 저자가 상기시키는 대로(7장 14절, 8장 4절) 이 사제직은 또한 평신도 예수의 사제직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벗어나면서 나는 슬프지 않고 차분한 마음으로 우리가 사랑하는 시인 페르난도 페소아의 시편을 내 것으로 삼습니다. “무엇이 보람 없으랴! 혼이 기죽지 않을진대." 내 혼은 하느님의 은총으로 기죽지 않았다고 나는 느끼고 있습니다.

 

레오나르도 보프

1992년 6월 28일


http://m.catholicworker.kr/news/articleView.html?idxno=1306

최덕성 박사 (브니엘신학교 총장,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 1989-2009)

 

<저작권자 ⓒ 리포르만다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인용 시 출처 표기>

?

  1.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교회론 신학자 한스 큉 별세   로마가톨릭교회 신학자 한스 큉 박사(Hans Kung, 1928-2021)가 4월 6일 독일 튀빙겐 자택에서 향년 93세로 별세했다. 스위스인 큉은 활발한 저술활동을  해 온 로마가톨릭교회의 비판적 신학자이다.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
    Date2021.04.09 Byreformanda Reply0 Views517 file
    Read More
  2.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 시민/ 사진 An SueYe     성공한 구테타는 처벌할 수 없다    미얀마의 군부가 쿠테타로 정권을 잡았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에게 군경은 실탄을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이 지금은 쿠테타 세력으로 불리지만 법개정을 통...
    Date2021.03.03 Byreformanda Reply0 Views359 file
    Read More
  3.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지독한 사랑, 팬데믹 시대에 생각해 본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일 년째 전 세계가 멈춰버린 느낌이다. 정부가 교회의 대면 예배를 규제하고 있다. 예배에 참석을 하려면 눈치를 봐야하는 상태이다. 아스라엘과 터기 여행은커녕 기독인들이 자기 ...
    Date2021.01.29 Byreformanda Reply0 Views402 file
    Read More
  4. 서양 8음계의 기원

    Harpsicod, BREAD CHAPEL   서양 8음계의 기원   우리의 조상들은 5음계를 사용하여 궁 상 각 치 우로 표기하였다. 오늘날 세계인이 사용하는 서양 8음계는 기독교의 유산이다. 10세기 말, 이탈리아의 기독교 성직자이며 음악가인 귀도 다레쵸(Guido d’Arezzo...
    Date2021.01.28 Byreformanda Reply0 Views1081 file
    Read More
  5.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큐알코드와 기독인의 시대분별   핀란드의 헬싱키 공항에 '코로나 19 탐지견'이 등장했다고 한다. 이 탐지견은 코로나 19 양성 환자의 확진 여부를 10초 안에 찾아내는 게 가능하고 특히 무증상 환자까지 찾아내는 능력을 가져 현재 시범 근무 중이라고 한...
    Date2021.01.14 Byreformanda Reply0 Views447 file
    Read More
  6. 박창환 목사의 고별사

        박창환 목시의 고별사   박창환 목사(1924-2020)는 장로회신학교(1948)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1989년까지 41년 동안 헬라어와 신약신학 교수로 봉직했다. 1924년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다. 박경구 목사의 장남이며, 한국장로교회 최초 중국 파견 선교...
    Date2020.12.01 Byreformanda Reply0 Views1254 file
    Read More
  7.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의 개막   캠퍼스 없는 대학교 시대가 개막했다. 코로나 19 이전에 이미 시작되었다.   <리포르만다>와 BREADTV가 함께 설계 운영하는 BREAD UNIVERSITY는 신학강의 공급선교 플랫폼이다. 동영상 신학강의를 가난한 나라들의 복...
    Date2020.08.09 Byreformanda Reply0 Views388 file
    Read More
  8.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수산나 이야기, 미투 사건의 원형   미모의 여인 수산나 이야기는 인류의 오래된 '미투 연루 사건’의 주인공이다. 로마가톨릭교회의 구약성경 외경 다니엘서 13장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권력 사회가 모함받은 피해자를 억울하게 하는 패턴의 원형이다.  ...
    Date2020.07.11 Byreformanda Reply0 Views776 file
    Read More
  9.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연리근(連理根)과 단다(單多) 일식이 있던 시간에 등산을 하다가 우연히 위 그림의 나무들을 보았다. 두 나무의 뿌리가 붙어 있다. 연리근(連理根)이라고 한단다. 해발 약 300미터의 높이의 부산지역 장지산 등산로 기슭에 있다. 이 두 나무는 둘이면서 하나...
    Date2020.06.22 Byreformanda Reply0 Views579 file
    Read More
  10.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Photo: "George Floyd protests" in Wikip미국 dia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 미국 폭동, 조지 플로이드 신드롬(George Floyd Syndrome)은 2020년 5월 말에 시작하여 6월 초 현재까지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파괴적인 저항운동이다. 위조 지폐 사용자...
    Date2020.06.06 Byreformanda Reply0 Views1053 file
    Read More
  11. 어린이는 완전한 사람이다

    어린이는 완전한 사람이다 가정의 달 앙코르 글 1. 덜 자란 어른 텔레비전 프로그램 “경찰청 사람들”은 “덜 자란 어른”이라는 제목으로 실제 사건 하나를 극화하여 방영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6년간 대학과 대학원을 다닌 사람이 귀국하여 편의...
    Date2020.05.25 Byreformanda Reply0 Views512 file
    Read More
  12. 올랍 라첼: 용감하게 싸우는 독일 목사

    올랍 라첼: 용감하게 싸우는 독일교회 목사   소년 시절에 내가 본 드라큘라 영화 가운데 주인공의 의사 할아버지가 칼을 들고 드라큘라와 용감하게 싸우는 장면이 있었다. 매우 감동적이었다. 나도 그런 사람이 되리라 결심했다. 50년 이상이 지났음에도 지...
    Date2020.05.13 Byreformanda Reply0 Views1117 file
    Read More
  13. 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됨을 가로막는가?

    왜 동성애는 하나님의 형상됨을 가로막는가?   하나님 형상’이란 말을 ‘있는 모습 그대로’ 혹은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식으로 덕담처럼 쓰는데 잘 알고 써야 한다. 호모, ‘호모’란 말은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게이, 레즈비언 등 모든 유형의 동성애자를 비하...
    Date2020.05.05 Byreformanda Reply0 Views803 file
    Read More
  14. 희망이라는 축복

    희망이라는 축복 희망은 우리의 영혼 속에 살짝 걸터 앉아 있는 한 마리 새와 같습니다 행복하고 기쁠때는 잊고 살지만 마음이 아플때 절망할 때 어느덧 곁에 와 손을 잡습니다 희망은 우리가 열심히 일하거나 간절히 원해서 생기는게 아닙니다 상처에 새살이...
    Date2020.05.05 By123123 Reply0 Views424 file
    Read More
  15. 마키아벨리와 현대 개혁주의

     웨스트민스터대교회당, 런던 마키아벨리와 현대 개혁주의   1. '역사적 개혁주의'는 실패했는가?   시대의 문필가요 탁원한 정치적 감각의 소유자인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 1469-1527), 지금은 비록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성당에 한줌의 흙...
    Date2020.05.05 Byreformanda Reply0 Views43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