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린도전서 14장을 중심으로한 방언 고찰


- 성경신학적 방언 연구를 통한 현대 방언 비판 -


2012 2

석사학위논문

광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학자의 혀


목 차

I. 서 론 ---------------------------------------------- 1


II. 본 론 ---------------------------------------------- 2

1. 고린도와 고린도교회의 상황 ------------------------------ 2

2. 고린도교회의 구성원 ----------------------------------- 3

3. 고린도전서의 목적 ------------------------------------- 4

4. 방언의 정의 ----------------------------------------- 6

5.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방언 은사 ---------------------------- 7

. 마가복음 ------------------------------------------ 7

(1) 1617---------------------------------------- 7

. 사도행전 ------------------------------------------ 8

(1) 24, 6, 8------------------------------------- 8

(2) 1046--------------------------------------- 9

(3) 196---------------------------------------- 10

6. 방언 은사의 본질(本質) --------------------------------- 11

. 방언의 용례(用例) ----------------------------------- 11

. 방언의 오용(誤用) ----------------------------------- 14

7. 방언의 특성 ---------------------------------------- 21

. 이타성 ------------------------------------------- 21

. 수평성 ------------------------------------------ 21

. 명확성 ------------------------------------------ 22

. 공공성 ------------------------------------------- 22

. 통역 종속성 --------------------------------------- 23

. 개방성 ------------------------------------------- 24

. 인원 제한과 질서 유지성 ------------------------------ 25

. 외향성(外向性) ------------------------------------- 26

. 표적성(標的性) ------------------------------------- 27

8. 방언(glw'ssa)의 표기 형태 구분 --------------------------- 28

9. 고린도교회의 방언 오용(誤用)과 남용(濫用) ------------------- 29

10. 고린도전서 14장 주요 구절 해석 ------------------------- 30

. 고린도전서 142, 14절 해석 -------------------------- 30

. 고린도전서 1411절 해석 ----------------------------- 34

. 고린도전서 1413절 해석 ----------------------------- 37

. 고린도전서 1414절 해석 ----------------------------- 38

. 고린도전서 1415절 해석 ----------------------------- 40

. 고린도전서 1416절 해석 ----------------------------- 40

. 고린도전서 1418절 해석 ----------------------------- 41

. 고린도전서 1428절 해석 ----------------------------- 42

11. 방언 은사의 목적 ------------------------------------ 43

12. 방언 중지론의 근거 ----------------------------------- 43

. 성경의 증언 --------------------------------------- 44

. 교부들의 증언 -------------------------------------- 46

. 종교개혁자들과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의 증언 ----------------- 47

(1) 존 칼빈의 제네바 교리문답 ---------------------------- 47

(2)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 48

. 교회사(敎會史)의 증언 -------------------------------- 48

13. 현대 방언의 발생(發生) -------------------------------- 50

14. 현대 기독교 방언의 발생 원인 --------------------------- 51

. 학습된 결과 --------------------------------------- 51

. 사탄이 일으키는 현상 --------------------------------- 51

. 심리적인 현상 -------------------------------------- 52

. 인위(人爲)의 산물(産物) ------------------------------- 53

. 기타 다양한 원인 ------------------------------------ 53

15. 현대 기독교 방언과 유사한 이교(異敎)의 방언 ----------------- 53


III. 결 론 -------------------------------------------- 54


<참고문헌> -------------------------------------------- 57


I. 서 론


현대 방언 기도는 각 교단의 신학적 경향에 따라 상이한 해석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일선(一線) 목회자들과 성도들은 적지 않은 혼란을 겪게 한다. 개혁교회의 목회자와 성도 또한 이에 예외가 아니다. 특히 방언(기도)를 용인(容忍)하는 것과 금지 하는 것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기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며, 분명하고 확고한 해결책(가르침 혹은 성경해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약성경 내에서 방언에 대한 가르침을 살펴 볼 것인데, 바울이 방언에 대해 가르쳤던 고린도전서 14장의 주요 구절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방언기도에 대한 바른 신학적 입장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II. 본 론


1. 고린도와 고린도교회의 상황


고린도전서의 배경이 되는 고린도란 도시는 그리스의 펠로폰네수스 반도 위에 세워진 헬라 도시이다. 위치는 고린도를 중심으로 할 때 서쪽으로는 로마와 그리스 등의 유럽 도시가 있었고, 동쪽으로는 이집트와 소아시아가 있었으므로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 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지리적인 특징상 군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도시였다. 그래서 고린도는 많은 상인들이 왕래하였고, 무역이 활발했다. 무역이 활발한 만큼 통행세를 거둬들임으로 부유한 도시였다. 고린도에는 적어도 12개의 각종 그리스-로마 신을 섬기는 신전이 있었다. 그중에 아프로디테 신전에는 천명 이상의 여사제들이 있었는데, 아프로디테 신전에서의 종교의식은 매춘(賣春)이었다. 각지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여사제들 때문에 고린도에 왔고, 그로 인하여 고린도는 더 많은 부를 획득하게 되었다. 아리스토파네스는 몸가짐을 바르게 하지 않고 아무렇게나 사는 사람을 묘사할 때 고린디아조마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고린도 사람들처럼 성적으로 부도덕한 생활을 하며 살다라는 뜻이다.


고린도는 로마에 의해 B.C. 146년에 멸망되었다가 B.C. 46년에 줄리우스 시저에 의해 재건되었다. 시저에 의해 재건된 고린도는 이방인들과 이방문화가 더욱 급속도로 유입되게 되었다. B.C. 27년에는 로마가 통치하는 아가야 지방의 수도로 정해지면서 로마 및 그리스와 이스라엘, 시리아 및 이집트 사이의 동서 무역, 정치, 교통의 중심지로서 급속하게 성장했다. 고린도가 급속한 발전을 거두게 되자 로마인들과 헬라의 상인들, 유대인, 애굽인, 수리아인 등 지중해 근처 여러 지역에서 많은 민족의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고린도의 인구는 자유인만 20만에 달했고, 노예도 50만에 달하는 거대한 도시였다. 이는 로마 제국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이다. 시저는 고린도에 퇴역한 로마 군인들과 자유인들을 이주시켰다. 그러므로 고린도 시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서 물질적 풍요와 민족적 다양성을 갖춘 신흥 항구 도시였다.


2. 고린도교회의 구성원


고린도교회의 구성원이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문화와 사상이 고린도교회 안으로 그대로 유입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고린도에 위치한 고린도교회가 어떠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졌을지 어렵지 않게 유추가 가능하다. 고린도교회는 유대인들과 이방인, 로마인과 헬라인들이 섞여있었다. 이는 고린도전서(고전 1:14, 16:17)에 등장하는 가이오, 브드나도, 그리스보, 유스와 브리스길라와 같은 라틴 이름과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회당장 그리스보가 같이 언급되어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린도교회의 대부분의 구성원이 헬라인이었다. 그것은 지혜를 구하는 헬라인(고전1:20-24)과 이방인이었던 성도들(고전12:2)에 관하여 바울이 언급한 부분을 통해서 알 수 있다.


3. 고린도전서의 목적


고린도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의 유입에 따라 다신숭배 문화에 의한 혼합종교의 형성, 극도로 타락한 성적문화의 유혹 그리고 물질적 풍요로 인한 퇴폐적 문화가 지배적인 상황이었다. 그러므로 고린도 교회는 이와 같은 문제들의 지속적인 도전 가운데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고린도교회는 고린도의 타락한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고, 수많은 문제들을 양산(量産)하게 되었다.


그 문제들은 매우 심각한 것들이었다. 고린도교회의 문제들은 분파주의(고전3:1-23), 교역자들을 무시하고 우위에 서는 교만(고전4:6-13), 근친상간이라는 극심한 성적 타락(고전5:1-13), 세상 법정에 형제를 고발하는 어리석음(고전6:1-11), 매춘 등의 음행(6:12-20), 우월한 지식을 자랑하는 교만(8:1-3), 우상에 대한 무분별한 지식과 무절제한 태도(8:4-13), 여자들이 창조의 원리를 따르는 교회의 질서를 무시함(11:2-16), 가난한 자들을 차별하고 무시하는 성찬(고전11:20), 교회에서 술에 취함(고전11:21), 은사, 특히 방언 은사를 오용하고 왜곡함(고전14:1-40), 육체의 부활을 부정함(고전15:12-58)과 같은 문제들이 있었다. 바울은 고린도교회 교인들을 향하여 분노했다.(고전4:21) 문제들은 상당히 심각한 것이었고, 불신자들의 세계에서도 흔치 않은 문제들이었다.(고전5:1) 고린도교회의 상황은 우리가 쉽게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고린도교회를 책망하고 회개케 하기 위하여 고린도전서를 작성하여 보낸 것이다.

 

이와 같은 고린도교회의 상황과 바울의 저작의도를 고려 할 때 고린도전서는 교정(矯正)을 목적으로 하는 교정(矯正)서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린도전서를 어떤 방향으로 해석 할 것인지를 잘 생각해야 한다. 고린도교회는 큰 두드러짐 없이 평범한 교회가 아니었다. 신앙생활을 모범적으로 잘 하여 칭찬할만한 교회는 더욱 아니었으며, 책망을 받고 교정 되어야 할 교회였다.(고전11:22) 그러므로 고린도전서를 해석할 때에 바울이 교정(矯正)의 목적으로 서신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한다. 예를 들어 빌립보교회는 칭찬할만한 교회였고, 위로가 필요한 교회였다. 그러므로 빌립보서를 읽으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도출해 내는 것은 합당하다. 하지만 고린도교회는 고린도전서를 통하여 책망을 받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이 고린도교회를 교정하기 원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엄중한 경고와 책망의 성격을 잘 살려서 읽어야 고린도전서를 바르게 읽는 것이다.


고린도교회는 이 시대의 교회가 닮아가야 할 교회의 전형으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닮지 말아야 할(경계해야 할) 교회의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고린도전서는 우리에게 고린도교회의 반대 모습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린도전서 연구를 통한 1차적인 성과는 고린도교회 내에서 교정(矯正)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것은 위에서 나열한 고린도교회의 문제들 12가지이다. 그러므로 이 12가지는 고린도교회 뿐만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도 절대 있어서는 안될 경계해야 할 것들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고린도교회의 12가지 문제 중 가장 많은 분량이 할애된 문제는 육체의 부활을 부정하는 문제’(47개 절)방언 은사를 잘못 사용하는 문제’(41개 절)였다.


육체의 부활을 부정한다는 것은 이단이나 불신과 다름이 없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이는 교회의 존폐(存廢)와 성도로서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 할 수 있는 것이기에 그 심각성을 생각할 때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와 버금가게 방언 은사에 대해 바울이 다루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이것은 고린도교회 안에서 그만큼 방언 은사와 관련한 오류가 크고 심각했다는 것을 반증(反證)하는 것이다. 물론 단순히 절()의 개수를 단순히 셈한 분량이 모든 것을 대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바울 사도가 가장 많은 신경을 기울였다는 것과 고린도교회가 시급히 교정해야할 매우 큰 문제였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되기에는 충분하다. 이와 같이 고린도교회 내에서 심각하고도 어려운 문제였던 방언 은사에 대해 바울 사도가 어떤 가르침을 보냈는지 확인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염두(念頭)에 두어야 할 것이 있다.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방언 관련 구절은 마가복음 16, 사도행전 2, 사도행전 10, 19, 고린도전서 12-14, 요한계시록이다. 이 중에 방언은사를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구절은 요한계시록을 제외한 나머지 구절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요한계시록을 제외한 신약성경 전체에서 방언에 대한 개념을 살펴 볼 것인데, 특별히 고린도전서 14장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 할 것이다.


4. 방언의 정의


국어사전에서는 (1) 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체계, (2) 사투리, (3) 신약 시대에 성령에 힘입어 제자들이 자기도 모르는 외국 말을 하여 이방인을 놀라게 한 말 또는 황홀 상태에서 성령에 의하여 말해진다는 내용을 알 수 없는 말.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방언의 의미 중에 현대 기독교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방언 은사의 의미는 (3)과 같은 의미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미 부여는 지나치게 과장되고 첨가된 것이다. 우리말 성경에서 방언으로 번역된 glw'ssa(글로싸)(몸의 말 하는 기관)’, ‘(다른 나라들의 말과 구별되는 특정한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방언 그 자체로서는 위와 같은 문장이 성립될 수 없는 단순한 명사이다. 그러므로 원어의 뜻을 살펴 보건대 언어라고 번역하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5.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방언 은사


. 마가복음


(1) 1617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그들이 내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새 방언을 말하며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 승천하시기 전 제자들에게 부활과 재림과 예수를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은 구원의 확실성을 보여주시는 표적으로 새 방언들로 말하게 될 것(glwvssai" lalhvsousin kainai'")”이라고 하셨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방언들로 말하는 것은 표적(標的)’으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방언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과 재림을 확증하는 표적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방언들로 말함은 사도들의 메시지의 출처가 성령이심을 증명하는 중요한 표적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 사도행전


(1) 24, 6, 8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이 소리가 나매 큰 무리가 모여 각각 자기의 방언으로 제자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 소동하여 우리가 우리 각 사람이 난 곳 방언으로 듣게 되는 것이 어찌 됨이냐


오순절은 유대인들의 3대 절기 중에 하나인데, 이 시기에 각 지역에 흩어져있던 유대인들 그리고 외국에 거주하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까지 성전에서 제사를 드리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모여든다.(2:5) 제자들과 여러 그리스도인들은 마가의 다락방으로 알려진 곳에 모여서 기도에 힘쓰던 상황이었다.(1:14) 그러던 중 성령의 충만함을 받은 제자들이 예루살렘으로 모여든 큰 무리(2:2)들의 각 출신지역의 언어로 말을 하였다. 그 지역의 언어들을 알아들은 사람들은 바대인, 메대인, 엘람인, 그레데인, 아라비아인들과 메소보다미나, 유대, 갑바도기아, 본도, 아시아, 브루기아, 밤빌리아, 애굽, 구레네, 리비야 여러 지방과 로마에서 온 외국인들이었다. 이스라엘에 거주하던 사람들이 아닌 외국에 거주하며, 외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자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도행전 12장 이하에 베드로의 설교에서 드러나는 대로 요엘서(2:28-32)에 미리 예견된 것의 성취 사건이다. 하나님의 영이 떠나버림으로 육체가 되어버린 이 땅의 인간들에게 새 생명의 영이신 성령이 이 땅의 육체들에 임하시는 구원 역사의 시작과 완성에 대한 표적으로 방언을 하도록 하신 것이다. 이는 멀리로는 창세기 바벨탑에서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인 언어가 혼잡하게 되는 저주에서 풀려나고 이제는 자유하게 되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또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성령의 구원 사역에는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별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나님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로마인이나 다른 어떤 이방인이라도 그 신분에 구별 없이 모든 사람을 구원하신다(딤전2:4)는 하나님의 뜻을 재천명(再闡明)하신 것이다.


하나님의 구원에 있어서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별하지 않으신다는 이 사건은 우리(이방인)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지만 유대인들에게는 매우 특별한 일인 것이다. 유대인들의 사고에서는 이것이 도저히 받아들여질 수 없는 정도의 일이다. 그것은 예수님으로부터 항상 가르침을 받았던 사도인 베드로의 경우를 보면 아주 잘 알 수 있다.(11:8)

 

구약성경을 통하여서도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 묘사된다.(24:10, 32:27, 34:23, 16:9 ) 그러므로 사도행전의 방언 표적은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구원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구속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사도행전 10장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2) 1046


이는 방언을 말하며 하나님 높임을 들음이러라


이제는 사도들뿐만 아니라 이방인(외국인)들까지도 방언(외국어)을 하게 되었다.(10:45,46) 이방인들이 외국어로 하나님을 높이는 일을 목격한 베드로는 놀랐다.(10:45) 왜냐하면 방언(외국어)으로 하나님을 높이는 것은 성령께서 임하심’, ‘성령을 부으심으로 인한 일이었고, 이는 곧 오순절에 있었던 메시지와 같이 유대인뿐만 아니라 이방인(외국인)도 차별 없이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구원 섭리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사건이자 표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어서 사도행전 11장에는 베드로의 환상 계시를 통하여 사도행전 2, 오순절의 방언(외국어)과 사도행전 10장의 방언(외국어)이 이방인(외국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구속 경륜을 밝혀 주는 사건이었음을 말하는 내용이 등장한다.(11:1-18) 이후에 등장하는 사도행전 19장의 방언(외국어) 또한 사도행전 2장과 10장의 메시지와 동일한 것이다.


(3) 196


바울이 그들에게 안수하매 성령이 그들에게 임하시므로 방언도 하고 예언도 하니


바울이 에베소에서 어떤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예수의 이름이 아닌 요한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19:3) 요한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 잘못된 신앙이 그들 가운데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요한이 전파한 것은 자신의 이름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였음을 가르쳐 주고, 예수의 이름을 전하여 믿게 한 후 세례를 주었다. 그리고 그것이 합당함을 표증(表證)하시는 성령께서 역사하여 주셨다. 그때에 성령이 그들이 구원을 받은 표적으로 방언을 말하게 하신 것이다. 이와 같이 사도행전 196절에서의 방언의 기능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만이 구원의 능력자가 되심과 에베소(이방인)사람도 구원하시는 성령의 역사하심을 증명하는 것이다.

 

6. 방언 은사의 본질(本質)


먼저 방언 은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성경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방언 은사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선행되어져야 할 부분은 방언 은사가 어떤 방식으로 행해지는 은사인가 하는 부분이다. 방언은 사도행전에서 사도들이 행했던 것과 같이 외국어들로 말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것인가, 아니면 고린도교회의 교인들과 현대 기독교인들이 행하고 있는 것과 같이 비언어적인 형태의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로 기도하는 방식인가? 아니면 둘 다인가? 다시 말하자면 방언은 언어 구사의 은사인가 아니면 기도 은사인가 혹은 둘 다인가 하는 점이다. 이것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 방언의 용례(用例)


방언이란 단어는 신약성경에 glw'ssa(글로싸)diavlekto"(디알렉토스)로 표현되어 있다. 요한계시록을 제외한 신약성경 전체에 방언이 표현된 부분은 25구절인데, 이 중 2구절(2:6절과 28)에는 diavlekto"(디알렉토스)로 표현되어 있고, 나머지 23개 구절에는 glw'ssa(글로싸)로 표현 되어 있다. 이 두 단어는 언어라는 같은 뜻을 가진 이음동의어(異音同義語)이다. 다른 단어이지만 의미가 같다. 그리고 누가는 사도행전 24, 1046, 196절에서 glw'ssa(글로싸)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것을 볼 때 누가는 의도적인 의미 구분을 위하여 다른 단어를 사용했다기보다는 단순 혼용(混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요한계시록을 제외하고 마가복음과 사도행전 외에 방언을 언급하는 유일한 성경은 고린도전서이다. 고린도전서에는 방언이 glw'ssa(글로싸)라는 한 단어로만 표현이 되어 있다.


반면에 신약성경에 방언으로 기도한다고 하는 내용은 고린도전서 1414절 단 한 곳 외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고린도전서 1414, 단 한 차례 외에는 신약성경에서 방언과 관련하여 표현하는 모든 부분은 방언으로 말하다로 표현하고 있다. 이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방언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요한계시록을 제외한 신약 성경 전체(마가복음, 사도행전, 고린도전서)에서 방언을 말하다기도하다중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순서

성경 구절

원어

개역개정

흠정역(KJV)

1

마가복음 1617

lalhvsousin

말하며

speak

2

사도행전 24

lalei'n

말하기를

speak

3

사도행전 26

lalouvntwn

말하는

speak

4

사도행전 28

·


5

사도행전 1046

lalouvntwn

말하며

speak

6

사도행전 196

ejlavloun

말하고

spake

7

고린도전서 1210

·

말함을

·

8

고린도전서 1228

·

말하는

·

9

고린도전서 1230

lalou'sin

말하는

speak

10

고린도전서 131

lalw'

말을

speak

11

고린도전서 138

·


12

고린도전서 142

lalw'n

말하는

speaketh

13

고린도전서 144

lalw'n

말하는

speaketh

14

고린도전서 145

lalei'n

말하기를

speaketh

15

고린도전서 146

lalw'n

말하고

speaking

16

고린도전서 1413

lalw'n

말하는

speaketh

17

고린도전서 1414

proseuvcwmai

기도하면

pray

18

고린도전서 1418

lalw'

말하므로

speak

19

고린도전서 1419

lovgou"(lalh'sai)

(설교)하는

words

20

고린도전서 1421

lalhvsw

말할지라도

speak

21

고린도전서 1422

·

·

22

고린도전서 1423

lalw'sin

말하면

speak

23

고린도전서 1426

·

24

고린도전서 1427

lalei'

말하거든

speak

25

고린도전서 1439

lalei'n

말하기를

speak

 

 

위의 표와 같이 신약성경(요한계시록 제외) 안에 총 25개의 방언과 관련된 구절 중 명사형으로 기록한 4개의 구절을 제외한 모든 구절에서 방언은 말하는 은사’, lalevw(랄레오)로 기록되어져 있다.


앞에서 언급한대로 고린도전서는 교정서신(矯情書信)”이다. 그리고 고린도전서 1414절은 부정문(否定文)이다. ‘방언기도(proseuvcwmai glwvssh/)’라는 것을 부정하고 있는 구절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성경에서 방언 은사로 제시되는 유일한 형태는 사도행전의 외국어들로 말하는 것(speech)’이며, 기도 형태의 방언 은사는 1414절 이외에 제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성경에 방언 은사는 외국어들로 말하는(speech)’ 한 가지 형태만 존재한다. ‘방언 기도(pray)’를 유일하게 언급한 곳인 고린도전서 1414절에서는 그것을 부정하고 있으므로 기도(pray)형태의 방언 은사 추구(시도)는 잘못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인 방언 은사를 오용(誤用)하는 것이 고린도교회가 가지고 있던 방언 은사 문제였다.


방언이 기도하는 은사’, proseuvcwmai(프로슈코마이)로 기록되어 있는 곳은 고린도전서 1414절 단 한 군데 뿐이다. 그렇다면 방언 은사가 어떤 형식인지를 확인하는 일에 있어서 고린도전서 1414절의 의미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고린도전서 1414절이 어떠한 의미인지에 따라서 방언의 방식(형태) 규정의 결과가 완전히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고린도전서 1414절의 해석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하게 논하고자 한다.


. 방언의 오용(誤用)


방언으로 하는 기도는 바른 방언 은사가 아니다. 현대 기독교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방언 은사는 뜻을 알 수 없는 불규칙한 음절이나 어절의 반복을 통한 기도로 행해지고 있다. 만약 방언 은사가 그러한 소리로 하는 기도라면 그리고 그것이 현대의 방언이라면 고린도전서 14장은 모순에 빠지고 만다.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바울이 방언 기도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고, ‘방언 기도를 인정 혹은 독려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모순이 있게 된다. (이하는 고린도전서 14장의 구절들이다.)


첫째, 통역을 시도하는 것이 모순이 되고 만다.


방언 은사가 방언으로 하는 기도라면 통역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26) 기도를 통역한다는 것은 개념 성립이 불가능한 것이다. 기도는 통역의 대상이 아니다. 기도의 유일한 대상자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기도는 기도의 유일한 수렴자(收斂者)이시자 응답자이신 하나님이 들으시면 충분한 것이다. 기도자의 기도는 사람이 들을 필요가 전혀 없으며, 기도를 통역한다는 개념은 성경에서 시도된 바가 없다.


통역이라는 것은 의사 전달이 불가능한 상태 즉 청자(聽者)가 화자(話者)의 의사 전달을 청취하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할 때에 필요한 것이다. 청자(聽者)가 화자(話者)의 의사 전달을 충분히 들을 수 있거나 이해 할 수 있다면 통역이라는 것은 전혀 필요가 없다. 하나님은 전지(全知)하시고 전능(全能)하신 절대자(絶對者)이시다. 기도는 그런 하나님을 대상으로 올리는 간구이다. 그러므로 기도에는 통역이 필요 없다. 기도라는 행위 자체가 기도의 수렴자(收斂者)가 확실히 듣고, 이해하고 있다는 믿음 또는 인식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도와 통역은 병립(竝立)이 불가능한 개념이다.


고린도전서 1413그러므로 방언을 말하는 자는 통역하기를 기도할지니방언으로 기도하는 것이 아닌 방언으로 말하는 것에 대한 통역을 할 수 있도록 기도하라고 한 것이다. 왜냐하면 듣는 이들이나 말하는 이 모두 야만인이 되게 하지 않고(11), 교회를 세우기 위함이다(12). 하나님께 하는 기도에 통역을 한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방언 은사가 방언 기도라는 정의는 오류이며 잘못된 정의이다.


이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14절을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14절은 방언 기도를 소개하고 있는 평서문(平敍文)이 아니라 고린도교회의 중대한 방언 오류를 지적하고 있는 부정문(否定文)이다. 14절에서 지적하고 있는대로 마음(지성, 사고, 생각)이 열매를 맺지 못하는 문제가 중대한 오류가 아니라면 부정문으로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통역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고린도전서 14절을 평서문으로 해석했을 때 마음(지성)이 이해하지 못하여 열매가 없을지라도 영은 기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1428절에서 바울이 그것을 금지한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이 된다. 모순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14절을 강한 부정문으로 이해하고 해석해야 한다. 14절을 부정문으로 해석 하지 않고, 평서문으로 해석 할 때는 모순에 빠진다. 평서문으로 해석한다면 방언 기도는 영이 기도하고, 마음에는 열매가 없다라는 의미가 된다. 그렇다면 통역이 굳이 필요 없다. 하지만 바울은 통역이 있을 때에만 교회에서 방언으로 말하라고 했다.(28) 방언 은사에는 반드시 통역이 필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통역이 없어서 알아들을 수 없으면 열매가 없기 때문이다.


방언 은사가 기도라면 고린도전서 142절을 긍정문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러나 긍정문 혹은 평서문으로 해석한다면 모순에 빠지게 된다. 비밀이라는 것은 문자 그대로 알아 낼 수 없는 실체 혹은 감추어져서 다른 이에게 알리지 않을 실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비밀을 통역 할 수 있으며, 통역을 시도해야 하는가? 그럴 수 없다. 하나님께 비밀을 말하는 것인데 회중이 그 내용을 알아야 하는가? 그럴 수도 없다. 비밀로 하는 기도를 통역하여 공개한다면 그 자체로 모순이다.

 

둘째, 바울은 방언 기도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15)

 

방언 은사가 방언으로 기도하는 것이라면 바울은 방언기도에 대한 대안(代案)을 제시하지 않았을 것이다. 대안이라는 것은 기존의 것을 대체하는 방안이다. 반드시 가용(可用)되어야 할 것인데, 여러 가지 이유로 부적합하여 불가용(不可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에 사용 중지 또는 폐기 후 가용(可用)의 조건을 이루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안(代案) 제시는 기존의 것에 대한 중지 또는 폐기를 전제 조건으로 한다. 그러므로 방언 은사가 기도하는 은사라면 대안(代案)을 제시하는 것은 필요 이상의 지나친 주문인 것이다. 단지 통역의 필요성만 언급해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바울이 방언 기도의 대안(바른 기도 형태)을 명령한 이유는 방언 기도가 허위(虛位) 방언 은사였고, 기도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도 전혀 무익(無益)했기 때문이다. 방언 은사는 방언 기도가 아니었던 것이다.


셋째,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표적이 될 수 없다.(22)


체계와 규칙을 갖추지 않은 음절이나 어절의 단순 반복 혹은 불규칙적이고 복잡한 소리로 하는 기도는 무엇의 표적이 될 수 있겠으며, 믿지 않는 자들은 그것을 보고 결코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형태의 방언이 기독교에만 아니라 다른 종교에도 존재한 것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마키(Robert G. Gromacki)에 의하면 다른 종교(이교의 여제사장)에서도 방언이 존재하였는데, 교부 크리스소스톰은 악령에 사로잡힌 피도니스라는 여인이 방언을 했다고 증언하였다. 마르틴(Martin)은 오시리스(Osiris), 미드라(Mithra), 엘레우시스(Eleusis), 디오니소스(Dionysos), 오르페우스(Orpheus)교에 방언(무아경적인 말)이 유행할만한 충분한 이유들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시리아 여신 유노(Juno)의 열렬한 신자들이 했던 방언의 사례를 사모사타의 루키안(Lucian of Samosata, A.D. 120-198)은 보고했다. 그리고 키텔(Kittel)은 델픽 부르기아, 바시데스, 시빌즈에서 방언 현상들이 존재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대해 그로마키(Robert G. Gromacki)는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비기독교인들 가운데서의 방언 사건들이 이방 저작가들뿐만 아니라 또한 기독교 저작가들에 의해 보도되어 왔다. 이러한 사례들이 성경의 방언과 비슷한 점들이 있음은 아주 분명하다. 방언하는 사람은 종교적 예배를 하고 있었다. 그는 신적인 존재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그는 그의 정신적 기능의 지배를 잃어버렸다. 그는 다른 언어로 말했고 거기에는 해석의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이방의 방언이 기독교의 방언으로 발전했다거나, 기독교의 방언은 이방 방언이 세련된 것이라고 추론해서는 안된다. 그 근원들은 정반대이다. 즉 하나는 하나님이고, 다른 하나는 사단이나 자아이다.”


현대에는 이슬람교인들, 그린랜드 에스키모인들, 티베트 승려들의 방언이 존재한다고 전해지며, 2세기 이후부터 현재 기독교 역사에서는 몬타누스, 터툴리안, 힐데가드, 빈센트 페레르, 세베뇰의 선지자들, 잔센파, 퀘이커파, 어빙파, 쉐이커파, 몰몬교 등 신비주의적이고 이단적인 성향을 띄는 집단들에 한해서만 방언을 했다는 기록이 있고, 그 외에 정상적인 정통 기독교 내에서 방언을 했다는 기록은 없다. 정통 기독교 내에서는 1900여년 동안 사라졌던 방언이 1900년대 초 갑자기 나타난 것이다.”


넷째, 바울의 명령은 황당한 것이 되고 만다.(27)


방언 은사가 기도라면 두 사람이나 많아야 세 사람이 차례를 따라서 하라는 명령은 황당한 것이다. ‘기도라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것인데 한 교회가 두 사람이나 세 사람만 정하여 차례대로 하는 것은 기도의 원리에 맞지 않다. 성경의 기도에 대한 가르침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다.


다섯째, 잘못된 기도의 양태(樣態)이다.


방언 은사가 기도라면 통역이 없는 상황에서 기도를 할 수 없는 희한한 상황이 벌어진다.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기도를 중재하는 중보자는 필요 없으며, 인간은 더욱 중보자가 될 수 없다. 그러나 방언 기도에 있어서 통역자는 그러한 중보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통역이 없으면 교회에서는 기도를 할 수 없도록 명령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방언 기도자는 통역이 없이도 교회에서 방언 기도를 한다. 하지만 성경은 통역이 진행되지 않으면 교회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명령했다. 통역자가 부재(不在)하거나 통역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기도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고 할 수 있을까? 방언 기도자는 통역자가 동석(同席)한 상태에서 기도를 하고, 통역자는 방언 기도자가 기도하는 것을 통역해야 한다면 참으로 이상한 상황인 것이다. 그리고 방언 기도자의 기도를 얼마만큼 통역해야 하며, 언제까지 통역해야 하는지도 불분명하다.


여섯째, 예수님의 가르침에 위배(違背)된다.


기도는 하나님께 은밀히 드릴 것을 예수님께서 가르치셨다.(6:6) 그러한 기도를 통역한다면 예수님의 가르침에 위배된다. 그리고 기도의 내용은 하나님께서 열납하시면 그것으로 충분한 것이다. 성경은 다른 이의 기도 내용을 알라고 명령한적이 없다. 오히려 예수님께서는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여 기도하는 바리새인들을 책망하셨고,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는 골방에서 기도 할 것을 명령하셨다.(6:6) 방언 기도는 이와 같은 예수님의 명령에 부합하지 않는다. 기도는 통역할 필요가 없으며,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되는데, 바울은 반드시 통역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바울은 방언 은사가 방언으로 하는 기도임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방언 기도는 참된 방언 은사가 아니다.


방언 은사가 방언 기도라고 생각한 것은 고린도교회의 오류였다.(14) 그리고 현대 기독교의 오류이다. 방언 은사가 기도라면 오늘날의 방언 기도가 참 방언 은사라면 과연 그것이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그 실용성과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고린도전서 14장과 같이 오늘날의 방언 기도가 성경에서 도출한 그 방언의 특성에 합치되는 것인지를 생각할 때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기도는 간구, 아뢰고, 간청함으로 나의 전 존재가 드려짐과 또한 응답을 통하여 열매가 맺혀지는 귀한 은혜의 방편이다. 성경에는 알아 들을 수 없는 말로 기도한 사례가 없다.

 

7. 방언의 특성


. 이타성(고전14:16-19)

 

바울은 방언의 오용으로 인하여 다른 이에게 유익을 끼치지 못한 것을 부적절한 것으로 가르쳤다. 또한 방언 은사는 개인의 유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했다.(고전14:26) 방언을 일만 마디 할 수 있을지라도 타인이 깨닫지 못하면 은사로서 그 존재의 의미가 없다는 것도 강조했다.(고전14:19) 그러므로 방언 은사는 나를 향한 은사가 아니라 철저히 타인을 향한 은사이다. 방언 은사로서는 나의 유익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교회의 유익을 도모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언 은사의 이타성은 방언 은사의 본질적인 특성이다.

 

. 수평성(고전14: 9, 11, 12, 16, 17, 19, 22, 23)


방언 은사는 수평적이다. 수평적이라는 것은 은사의 구현과 목적이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반대적 의미인 수직적인 신앙 양태의 한 예는 기도이다. 방언 은사는 그것을 사용하는 자와 하나님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수직적인 은사가 아니다. 방언 은사는 그리스도인과 사람 특히 믿지 않는 자들과의 소통을 구현하는 수평적인 은사이다. 그러므로 성경에서 방언 말하는 것을 하나님께 했다고 기록된 구절을 찾아 볼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만약에 방언 말하는 것을 하나님께 했다면 그것은 방언에 수직적인 성격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지만 방언에는 그런 수직성은 없다. 다만 사도들이 그러했듯이 은사를 부여 받은 사람이 다른 사람, 특히 믿지 않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구현하는 것이 방언 은사이다. 그러므로 방언은 전적으로 수평적인 은사이다.


. 명확성(고전14:6-11)


바울이 말한 것처럼 음계(音階)’를 연주하여 듣는 이에게 음악(音樂)’을 전달하는 악기가 무슨 악기인지 혹은 무슨 음악인지 알 수 없도록 불분명하게 연주한다면 무용(無用)하고(7), 전쟁을 알리는 나팔이 명확하게 전쟁의 시작을 알리지 않으면 그 역시 존재의 의미가 없다.(8) 이와 같이 의사소통(의사전달)이 목적인 방언을 아무리 말한다해도 그것을 듣는 타인이 알아들을 수 없거나 이해할 수 없다면 허공(虛空)에 말하는 것과 같이 헛된 일이므로 그것은 무가치(無價値)하다.(9) 이와 같이 바울은 진실된 방언은 반드시 그 의미의 전달이 분명하고 명확한 것이어야만 한다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13) 그러므로 진실된 방언은 반드시 의미 전달이 가능하고,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방언이 가지는 명확성이다. 방언은 수평적이고, 이타적인 은사이므로 타인이 알아들을 수 있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상식적인 사실이다.

 

. 공공성(고전14:12, 26)


바울은 방언 은사를 덕을 세우기 위해서 하되,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해서 하라고 명령했다. 바울은 방언 은사를 사용하여 덕을 세워야 하는 대상이 개인이 아닌, 교회(ejkklhsivan) 공동체임을 분명하게 명시하였다. 그러므로 방언 은사는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개인만을 위하여 사유화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방언 은사는 교회 구성원 모두에게 관련되며, 교회 공동체가 그 유익의 수혜자가 되어야 한다. 이것을 방언의 공공성이라고 한다.

덕을 세우기 위하여라고 번역된(개역개정) 헬라어 oijkodomh;(오이코도메)건축’, ‘짓다’, ‘세우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바울이 이미 고린도전서 144절에서 진술하고 있는 것처럼 교회를 더욱 건실(健實)하고 성숙되게 하는 목적하에 방언 은사를 활용하라는 명령이다. 그리고 이것은 앞서 언급한 방언의 이타성, 수평성 등의 특징에 부합하는 것이다.


. 통역 종속성(불완전성)(고전14:28)


방언 은사는 반드시 통역이 병행되어져야 하는 은사이다. 통역이 없으면 방언 은사는 중단되어야만 했다. 이것이 방언의 통역 종속성(불완전성)이다. 이것은 방언 은사 자체가 불완전하다는 것이 아니라 항상 통역이 수반될 때에만 은사로서의 기능 발휘의 시도와 성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면에서 불완전하다는 것이다. 방언은 절대적으로 통역이 수반되어야만 했다.


바울은 28(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으면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하나님께 말할 것이요)에서 만일이라는 가정법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방언 은사 사용 시에 통역의 부재(不在)가 빈번하거나 일상적인 일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방언 은사가 정상적으로 사용이 되는 것에는 반드시 통역이 병행되어지는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만약에 통역의 부재 중에도 방언 은사를 사용하는 것이 일상적이고, 당연한 일이었다면 만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통역이 없이 방언을 말하는 현상은 일상적인 것이 아닌 상당히 예외적인 것이며 또한 고린도교회에만 특정한 상황이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울은 통역하는 자가 없으면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하나님께만 말하라고 명령했다. 이것은 바울의 수사학적인 표현으로써 반어적인 표현이다. , 통역하는 자가 없다면 교회 내에서 방언을 말하는 일은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방언으로서 그 특성인 이타성, 수평성, 명확성, 공공성, 통역 종속성에 위배되기에 잠잠해야 한다. 그러나 바울은 자기와 하나님께 말하는 것은 허락하였다. 이것은 고린도교회와 물리적으로 상당히 이격된 곳에서 바울이 고린도교회의 방언 은사의 진정성을 직접 확인 할 수 없기에 신중을 더한 가르침으로 본다. 방언 은사를 교회 내에서 사용하는 것을 유보(留保)시키되 통역이 가능할 때까지 유보(留保) 시킨 것이다. , 방언 은사를 오용하고 남용하던 고린도교회 안에 허위 방언을 구별하는 기준이 통역(通譯)’이었다는 것이다.


통역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참 방언 은사일 것이고, 통역이 불가능한 것이라면 허위 방언이므로 통역이 고린도교회 내의 오용된 방언 분별의 아주 유용하고도 실질적이며, 필수적인 기준이었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방언 오용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이와 같이 지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28절은 온유와 배려를 담은 바울의 지도법이기도 하고, 오용된 방언의 교회 내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기 원했던 바울의 지혜로운 감찰(監察)이기도 한 것이다.

 

. 개방성(고전14:6)


기도의 특성은 폐쇄성(閉鎖性)이다. 물론 예배 중의 대표기도나 집회 시간에 하는 공중기도는 개방적이지만 기본적으로 기도는 개인을 중심으로 한다. 기도는 예수님께서 가르치신대로 은밀하게 하나님께 간구를 올리는 방편이다.(6:6) 또한 새벽기도회나 부흥회와 같이 예배당에 모여서 기도를 할지라도 나의 기도를 다른 사람들이 듣는다거나 반대로 내가 다른 사람의 기도를 듣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기도는 기도의 대상이신 하나님과의 지극히 개별적인 교제(交際)이다. 하지만 참 방언은 개방성이 특징이다. 이는 방언의 이타성, 수평성, 공공성과도 부합하는 것이다. 사도행전에서의 방언이 그러했던 것처럼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방언은 개방적인 그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인원 제한과 질서 유지성(고전14:26,27)


바울은 교회 내에서 방언 은사를 사용하는 인원수에 제한을 두고 있는데, 이 제한은 고린도교회 전체에 명령한 것이었다. 고린도교회 안에 방언 은사를 사용하도록 허용된 사람의 수가 2(적정 수)이었고, 최대 3인이었다. 또한 방언을 말 하는 것은 반드시 순차적으로, 즉 한 사람이 방언 말하기가 종료되면 그 후에 다음 사람이 말해야 했는데, 이는 통역이 한 사람 밖에 없기에 더욱 그러했다. 이와 같은 인원 제한과 순차적 질서유지 명령을 고려할 때 오늘날 방언의 양상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에는 집회시간에 동시에 다수의 인원이 방언 기도를 한다. 그리고 통역도 없다. 이는 인원 제한을 두었던 명령과도 다르고, 순차적으로 할 것을 명령과도 다르고, 통역이 있어야 한다는 성경의 명령과도 다른 것이다.

 

방언이 현대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방식의 개인 기도라면 차례를 따라서 하라는 명령이 불가능하다. 방언을 말하는 세 사람은 반드시 차례를 따라야 했다. 이것은 방언 은사라는 것이 동시에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해주는 부분이다. 그런데 통역을 한 사람에게만 맡겼다. 방언을 말하는 사람은 세 사람인데, 통역은 한 사람만 하도록 명령한 것은 방언 말하는 것이 세 사람일지라도 순서를 정하여 차례대로 하기만 하면 한 사람이 통역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방언 말함이 개인적이며 은밀한 것이 아니라 공개적이며 개방적인 것, 즉 교회에서 회집 시에 사용되던 은사였다는 것을 말해주는 증거이다.


바울이 이와 같은 기준으로 명령한 것은 방언 오용(誤用)과 남용(濫用)을 막기 위한 장치이다. 방언 말하기를 순차적으로 한다는 것은 이런 것이다. 방언 말하는 은사가 있는 A, B, C 세 사람이 있는데 통역을 X라는 사람 혼자서 한다. 그렇다면 A, B, C 세 사람이 동시에 방언을 말하면 X라는 한 사람은 통역이 불가능하다. X라는 한 사람이 통역이 가능하려면 A, B, C는 동시에 방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한 사람이 다 하고난 후 다음 사람이 해야만 하는 것이다. 바울은 최대 세 사람이라는 인원수의 한계를 두고도 통역을 한 사람만으로 한정했다. 이는 참으로 섬세하고도 철저한 질서유지 장치이다. 차례를 따라서 많아야 세 사람만 그리고 통역을 동반해야 하는 그것을 개인 기도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어색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을 상식이 말해준다.


. 외향성(外向性)(고전14:22,23)


방언은 믿지 않는 자들(비신자)을 위한 것이다. 만약에 방언이 믿는 자들을 위한 것이라면, 다시 말해서 믿는 자들만의 은혜의 방편인 기도라면 방언은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것이 될 수 없다. 하지만 방언은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것이다. ‘기도는 믿지 않는 자들은 결코 할 수 없는 것이므로 방언이 기도라고 이해하는 것은 맞지 않다.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것이라면 그것은 그들의 상황에 합당한 것이라야만 한다. 사도행전 2장의 이방인들이 그들의 언어로 복음을 들었던 것은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방언 은사가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방언은사는 믿는 자들을 위한 용도로 사용 할 수 없는 은사이다. 이 말은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말이 아니라 믿는 자들에게는 더 이상 방언들의 기능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방언 은사는 표적(標的)’이기 때문이다. 당시 믿지 않는 자들은 크게 유대주의자들과 이방인들이다. 이 두 부류에게 있어서 방언은 표적으로서 매우 효과적이며, 유용한 것이었다. 자신들 외에 외국인들은 구원을 받을 수 없다고 생각했던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방언들(외국어들)로 복음 전함을 듣게 되는 일은 하나님의 역사하심의 확실한 메시지가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이방인들에게는 외국말을 배워본 적이 없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자기 나라의 말로 복음을 선포하는 모습 자체가 표적이 되기 때문이다.


방언은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표적이므로 믿지 않는 자들과 관련이 있는 것이고, 믿지 않는 자들에게 매우 유익한 방편이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유익함이란 믿지 않는 자들에게 가장 심대하고도 해결을 시급히 요하는 문제에 있어서의 유익함일 것이다. 가장 시급한 해결을 요하는 문제이자 은사의 수여자(授與者)이신 하나님의 가장 큰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러므로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것은 반드시 복음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방언은 사도행전에서 나타났던대로 외국어로 복음(예수 그리스도)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 표적성(標的性)(고전14:22,23)


표적(標的)이란 그 자체로서는 본질이 아니다. 표적은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시하고 있는 실체(實體)를 드러내는 것이 존재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방언이 표적이라고 하는 것은 방언이 본질이 아니며, 방언이 가리키는 바가 있다는 것이다. 방언은 그 자체로서 존재의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실체를 드러내기 위해서 존재하는 은사인 것이다. 또한 표적의 수명은 수동적이다. 표적은 실체가 나타나면 그 존재의 목적이 사라지기 때문에 수명이 수동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표적은 그 표적(標的)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표적이 가리키고 있는 실체(失體)가 중요한 것이다.


8. 방언(glw'ssa)의 표기 형태 구분


고린도전서와 관련한 방언에 대한 견해 중에 존 맥아더(John MacArthur)의 견해는 상당히 주목할만하다. 존 맥아더에 따르면 바울이 고린도전서 14장에서 glw'ssa(글로싸)를 기록 할 때, 단수형과 복수형을 구분하였는데 이것은 우연이 아니라 의미를 구분하기 위하여 의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즉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외국어들(foreign languages)을 언급 할 때는 복수형(glwssw'n, glwvssai", eJteroglwvssoi", glw'ssai)으로 표현을 했고, 반대로 외국어들이 아닌, 이해 불가한 특정 음절이나 어절이 반복 되는 소리의 허위(虛位)방언은 단수 형태(glwvssh/, glw'ssan)로 표현을 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리에서 유일한 예외가 고린도전서 1427절 한 곳이 있는데, 그곳은 한 사람이 한 외국어를 말하는 상황을 묘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른 방언 은사(외국어)이지만 단수형으로 기록했다는 것이다.


존 맥아더(John MacArthur)는 이를 지지해 줄 추가적인 근거로 흠정역(King James Version)이 그것을 구분하여 번역하고 있는 사례를 주장했다. 존 맥아더가 설명한대로 흠정역 성경도 원어 성경의 표기 형태의 차이를 고려하여 번역하였는데, 복수형으로 기록된 glw'ssa(글로싸)"tongues(복수형)"으로 번역하였고, 단수형으로 기록된 glw'ssa(글로싸)“an [unknown] tongue(단수형)”으로 번역하였다. 흠정역 성경 번역자들이 glw'ssa(글로싸)의 단수형태에 대해서 꺽쇠를 사용하여 “unknown(알 수 없는, 미지의)”라는 번역을 추가한 것은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것은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로 하는 기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언 표기 형태의 구분에 따라 고린도전서 14장을 해석 할 때 존 맥아더의 견해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 고린도교회의 방언 오용(誤用)과 남용(濫用)


고린도 교회에 방언이 두 번째로 많은 분량을 할당해야 할 정도로 큰 문제가 되고 있었다는 것은 앞서 밝힌 바 있다. 그렇다면 그 문제가 무엇인지가 중요할 것이다. 오늘날 고린도교회에서의 방언 문제는 남용(濫用)”이라고 보는 견해와 허위 방언 오용(誤用)”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물론 남용(濫用)도 없다고 볼 수 없으나 단순히 남용(濫用)이 문제가 되어서 바울이 그토록 많은 분량을 할애했을 이유는 설득력이 적다.


하지만 오용(誤用)의 문제는 남용(濫用)의 문제보다 훨씬 심각한 것이다. 만약에 오용(誤用)되던 그 방언 은사가 위장된 허위(虛位)적 성격을 가진 것이라거나 혹은 이교적인 요소가 혼재된 혼합(混合)적 성격을 가진 것이라면 그 문제는 상당히 심각한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이 첫 번째로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책망하였던 육체의 부활을 부정하는 문제와 버금가도록 두 번째로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했던 고린도교회의 방언 문제는 방언 남용(濫用)”이 아닌 방언 오용(誤用)”이라고 할 수 있는 허위 방언 남용이다. 이와 같이 고린도교회 안에는 허위(虛位)방언이 존재하였고, 방언은사 문제는 방언 오용(誤用)문제였다.


고린도교회의 방언 오용의 문제가 그토록 심각한 문제였던 것은 고린도교회 교인들이 사용하던 문제의 방언이 허위적이고 혼합적인 방언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고린도교회의 방언 문제 역시 고린도교회의 전체적인 문제와 맞물린 것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고린도 시()의 상황이 이교와 우상숭배가 가득했던 곳이고, 고린도교회 안에 그러한 이교적인 요소가 침투하여 많은 문제들을 야기했으므로 고린도교회가 오용하던 그 방언에도 이교적인 요소들에 잠식된 혼합적인 방언이었고, 신약성경이 가리키고 있는 성경적인 진짜 방언이 아닌 허위(虛位)방언이었다. 이와 같은 주장의 확실성은 고린도전서 14장을 통할 때 더욱 분명해진다.


10. 고린도전서 14장 주요 구절 해석


고린도전서 14장 중에서 방언 은사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주요 구절을 아래와 같이 해석 한다.


. 고린도전서 142, 14절 해석 - 영으로 말하는 것, 영으로 기도하는 것


고린도전서 142절과 14절은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로 하는 기도는 비록 스스로 알아 듣지 못할지라도, 영은 기도하는 것이니 유익하다.”라는 식으로 오해(誤解)하는 구절이다. 그러나 이 구절들은 그와 같은 내용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2절과 14절은 모두 부정문이다. 그리고 방언의 표기 형태가 단수형이다. 바울은 영으로() 기도하는 것을 긍정하고 있지 않으며, 지지하고 있지도 않으며, 권하고 있지도 않다. 긍정문이 아닌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울은 영으로() 기도하는 것을 부정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15) 만약에 영으로 기도하는 것이 바른 것이고, 옳은 것이며, 긍정적인 것이라면 바울은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을 것이다. 대안을 제시한다고 하는 것은 기존의 것이 대안을 필요로 할만큼의 오류가 있어서 대체해야 하기 때문이다. 영으로만 기도하는 것에 대한 바울이 제시하는 대안은 영과 마음으로 기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마음이라고 번역된 헬라어 'nou'"(누스)'는 지성(지각하고 이해하는 기능), 이성, 마음, 생각, 등의 사고와 판단을 하는 지성적 기능의 의미이다. 그래서 KJV(King James Version)성경은 이 단어를 “understanding”으로 번역했다. 그러므로 nou'"(누스)는 인간의 지성(知性)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영과 마음으로 기도하겠다.(고전14:15)는 것은 자신의 일부가 아닌 온전한 존재(몸과 영혼)로서 온전한 인격(지성, 감정, 의지)으로 기도하겠다는 표현이다. 기도는 전 존재가 인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도는 감정만을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며, 의지만을 가지고 하는 것도 아니며, 지성만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기도는 인격(신격)이신 하나님께 그 형상을 회복한 인간이 온전한 존재와 인격으로 간구(懇求)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존 칼빈(John Calvin)은 제네바 교리문답 240, 243문에서 기도를 할 때 반드시 영과 마음이 같이 요구되며, 영과 마음은 언제나 함께 기도해야 함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칼빈은 하나님은 영이시기 때문에 언제나 마음을 요구하시며, 마음의 동반 없이 하는 기도는 위선적인 것이기에 하나님을 불쾌하게 하는 것이고, 하나님은 그러한 자들을 저주하신다고 가르치고 있다. 이와 같은 칼빈의 가르침은 형식적인 기도를 책망하는 것과 함께 마음이 열매를 맺지 못하는(동반되지 못하는) 방언으로 하는 기도가 잘못된 것임을 가르치는 부분인 것이다.


고린도전서 1414절을 부정문(否定文)으로 해석하느냐 혹은 평서문(平敍文)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있다. 만약 평서문으로 해석한다면 영으로 기도하지만 마음은 열매가 없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한 해석을 할 수 없다.


하지만 부정문(否定文)으로 해석하면 의미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영으로 기도하지만 마음이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것은 전 인격적인 기도를 하지 못한 부작용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성(nou'")이 빠진 영으로만 기도하는 것은 전 인격이 동원되지 못한 불완전한(잘못된) 기도이고, 결과적으로 당연히 지성(nou'"), 지성을 포함하는 인격(자신)이 열매가 없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고린도전서 1414절은 가정(假定)을 사용한 부정문(否定文)이다.

 

우리는 기도 할 때 영과 지성과 의지가 동원된 전 인격이 기도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는 기도는 우리가 스스로 이해 할 수 있다. 예수님께서도 이와 같은 기도를 하셨고, 자신과 같은 기도를 하도록 명령하셨다. 이것은 성경이 명령하고 제시한 기도의 형태이다. 하지만 스스로 자신의 소리를 알 수 없는 기도는 성경 어디에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성경에 등장하는 기도는 자신들이 스스로 알아듣고 이해 할 수 있는 정상적인 언어로 간구하는 것이었고, 그러한 기도를 응답하여 주시거나 격려해 주셨던 은혜의 방편이었다.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등을 통해 종교개혁자들이 한결같이 주장한대로 기도는 은혜의 3대 방편(말씀, 성례)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인은 기도를 통하여 무한한 은혜를 공급 받을 수 있고 또 받아야만 한다. 기도를 통하여 은혜를 받지 못하면 기독교인은 정상적인 기독교인으로서의 승리하는 삶을 살아갈 수가 없다. 하지만 14절에서 바울이 언급하는 기도의 형태는 은혜의 방편이라는 기도의 기본 원리에 위배가 된다. 왜냐하면 열매가 없는 기도이기 때문이다. 스스로 알아 듣지 못하고, 열매가 없다는 것은 은혜의 방편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상 기도라고 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성경은 열매 없는 것을 저주의 결과로 가르친다. 태초에 천지를 창조하실 때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들에 열매를 맺는 생명을 주셨지만 인간의 범죄와 타락으로 말미암아 열매를 맺지 못하는 죽음과 사망의 상태에 처해졌다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는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셨고(21:19), 좋은 나무는 좋은 열매를 나쁜 나무는 나쁜 열매를 맺기에 열매로 그 나무를 알아 볼 수 있다고 하셨다.(7:18-20) 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명령하셨고(3;8),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이 우리로 하여금 반드시 열매를 맺게 하신다고 하셨다.(벧후1:3,8) 그리고 열매를 맺지 못하는 나무는 찍혀서 불에 던져질 것이라고 말씀하셨다(7:19). 또한 성령이 임하시고 내주하시면 반드시 성령의 열매를 맺게 되어 있다(5:22,23). 이것은 성령께서 유기적인 활동을 그 안에서 하시기 때문이며, 성령님은 생명이시며, 생명의 공급자이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열매가 없는 것은 생명이 없다는 것과 동의어(同義語)이며, 생명이신 하나님이 없다는 것이고, 그 안에 성령이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령이 내주하시는 곳에는 그리고 농부이신 하나님이 가꾸시는 나무에는 반드시 열매가 맺혀져 있기 때문이다.


열매가 없다는 것은 공급이 단절되어 있다는 것이고, 생명이 없는 상태이고, 농부가 가꾸지 않는 상태이다. 이처럼 성경은 열매를 하나님, , 생명, 구원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열매 없는 것을 사단, , 죽음, 사망, 저주, 영벌과 동일한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성경에서는 열매 없는 것이 결코 선한 것이거나 좋은 것이 되지 못하며, 매우 심각한 것이다. 그러므로 14절은 아주 강한 부정문인 것이다. 바울은 열매 없는 그것, 열매 없는 방언 기도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15절에서 열매 없는 방언으로 하는 기도를 대체 할 대안을 제시한다. 물론 바울이 제시하는 대안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고, 기독교 신앙 안에 언제나 유일했던 하나님 앞에 나의 영과 지성, 즉 전 인격이 드리는 기도였다.

 

성경에는 방언(알 수 없는 소리)로 기도한 사례가 없고, 그런 형태를 제시한 적도 없다. 예수님께서도 그렇게 기도하신 적 없다. 성경에 방언 기도라는 단어 자체가 등장한 곳이 고린도전서 1414절 한 곳 뿐인 것을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방언은 기도를 하는 도구가 아니며, 방언 기도의 형태는 바울이 부정한 것이다.

 

. 고린도전서 1411절 해석 - 잘못된 방언의 폐해

 

그러므로 내가 그 소리의 뜻을 알지 못하면 내가 말하는 자에게 외국인이 되고 말하는 자도 내게 외국인이 되리니”(11) 개역개정판에서는 이 구절의 bavrbaro"(바르바로스)외국인이라고 번역을 했다. 그리고 각주로 야만인을 표시해 놓았다. 그러나 본 구절의 bavrbaro"(바르바로스)는 야만인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맞다.


바울은 외국인(이방인)’이라는 단어 e[qno"(에쓰노스)를 그의 서신(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에서 총 35회 사용했다. 그런데 고린도전서 1411절에서는 e[qno"(에쓰노스)를 사용하지 않고, bavrbaro"(바르바로스)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바울이 bavrbaro"(바르바로스)라는 단어를 사용한 곳은 로마서 114, 고린도전서 1411, 골로새서 311절 이렇게 총 세 군데이다. 개역개정은 로마서와 골로새서를 야만인이라고 번역하였으나 고린도전서 1411절은 외국인이라고 번역을 했다. 동일한 단어인데 서로 다르게 번역을 한 것이다. 하지만 바른 성경(한국성경공회)’외 흠정역(King James Version)야만인이라고 번역을 했다.


바울은 로마서 114절과 골로새서 311절에서 사용한 야만인, 바르바로스(bavrbaro")라는 단어는 헬라인과 다른 민족들 혹은 헬라어를 말하는 사람과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단순 대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명화된 헬라인들이 상대적으로 비문명화된 사람들을 가리키던 경멸적인 의미의 단어였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그리스 사람들의 대적자들이었던 메대인과 페르시아인들을 경멸적으로 가리킬 때 사용하던 단어였다. 그래서 로마인들은 바르바로이(bavrbaroi)로 분류되는 것을 꺼렸다. 그리고 헬라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민족을 야만인으로 치부했다.


, 상대적으로 미개(未開)하여 문화적인 수준이 낮거나 혹은 정상적인 의사소통과 교류가 어려운 그런 대상을 말하는 것이다. bavrbaro"(바르바로스)는 외국인, 비헬라인이라는 뜻도 있지만 외국인을 표현할 때 바울은 항상 e[qno"(에쓰노스)를 사용했다. 하지만 bavrbaro"(바르바로스)는 외국인이라는 의미보다 야만인이라는 의미가 훨씬 강한 단어이다. 그리고 외국어를 표현하려면 그가 즐겨 사용하던 e[qno"(에쓰노스)를 사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바울이 고린도전서 1411절에서는 야만인(bavrbaro")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단순한 외국인을 가리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야만인(bavrbaro")의 의미를 살려서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외국인이라고 표현하기 위해서 그가 즐겨 사용하지 않는 어휘를 꼭 이 구절에만 사용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고, 그가 35회에 걸쳐서 사용한 단어를 두고 bavrbaro"(바르바로스)를 사용한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보기에 충분하다.


야만인은 긍정적인 어휘이거나, 중립적인 어휘가 아니고, 부정적인 의미를 함축한 언어이다. 문화나 문명이 미개한 상태(상황)이거나 정상적인 언어 구사 혹은 의사 교환이 불가능한 상태를 가리킬 때 바울은 야만인(bavrbaro")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1:14, 3:11) 그와 동일한 단어를 사용한 고린도전서 1411절의 의미도 동일하다. 그러므로 고린도전서 1411절은 소리의 뜻을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구절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곧 뜻을 알지 못하는 소리를 부정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야만인은 지향(志向)의 대상이 아니라 지양(止揚)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고린도전서 1411절은 뜻을 알 수 없는 비언어적 형태의 소리로 사용되어지는 허위 방언을 부정하는 내용인 것이다. 알지 못하는 소리를 사용함으로써 야만인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자면 소리의 뜻을 알지 못하는 것은 사용자나 청취자 모두를 야만인으로 만드는 것이기에 무익하고 불필요하므로 잠잠할 것을 암시적으로 전달하는 구절이다.


고린도교회 교인들은 알지 못하는 소리로 기도를 했다. 그래서 바울은 14절에서 대안을 제시 했던 것이다. 당시의 방언기도는 뜻을 알지 못하는 소리(11), 음의 분별을 나타내지 못하는 악기와 같은 소리(7), 분명하지 못한 소리를 내는 나팔(8), 알아 듣기 어려워서 허공에다 말하는 것과 같은 소리(9)이었고, 이것은 곧 14절에서 말하고 있는 방언으로 하는 기도이다. 그러므로 결국에 바울의 지적대로 열매가 없는(무익한) 폐해를 낳게 되는 것이 바로 방언기도인 것이다.


현대 방언 기도의 형태를 볼 때 체계와 규칙을 갖추지 않은 음절이나 어절의 단순 반복으로 불규칙적이고 복잡하여 알아들을 수 없다. 그러므로 그러한 방언기도는 그것을 사용하는 자나 듣는 자나 야만인(bavrbaro")이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야만인(bavrbaro")이 될 수밖에 없는 방언기도는 금지하는 것이 마땅한 것이다.


. 고린도전서 1413절 해석 - 허위(虛位)방언의 분별 기준


13절에 방언을 말하는 자는 통역하기를 기도할지니 하는 구절은 방언기도가 통역이 가능한 것으로 오해한다. 하지만 분명히 13절은 방언 기도(proseuvcwmai glwvssh)”가 아니라 방언으로 말하는 것(lalw'n glwvssh)”이다.


바울이 통역을 간구토록 명령 한 것은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로 말할 때는 반드시 통역이 병행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 역시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로 하는 방언이 반드시 모두 통역이 가능한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왜냐하면 13절은 모든 방언이 통역 가능함을 말하는 의미가 아니라, 통역 가능을 기준으로 해야만이 참 방언과 허위 방언을 분별 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바울이 지금 참 방언과 허위방언의 분별 기준을 통역 가능이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사도행전 2장에서의 그것과 같이 외국어여서 알아 들을 수 있기에 통역이 가능한 방언이라면 그것은 참 방언이고, 고린도전서 146-14절과 같이 통역이 불가능한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라면 교회에서는 잠잠해야 할 허위 방언이라는 것이다. 반대로 통역이 가능한 방언 말함이라면 바울이 정해준대로 두 세 사람이 차례를 따라 한 사람의 통역 가운데에 방언을 말 할 수 있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작성하던 당시 고린도가 아닌 에베소에 있었다. 그러므로 고린도교회를 직접 방문하여 고린도교회 내에서 유행하던 방언기도를 직접 분별 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바울은 자신이 방문하기 전에 미리 서신을 통하여 방언 분별 기준을 가르쳐 준 것이다. 그리고 그 기준은 13절에서 명한 대로 통역 가능인 것이다.


. 고린도전서 1414절 해석 - 방언 기도에 대한 부정(否定)


방언이 최초로 소개된 것은 사도행전 2장이다. 누가는 사도행전 2장을 통하여 오순절에 성령께서 외국어로 말 할 수 있는(복음을 전할 수 있는) 은사를 주셨음을 분명하게 기록했다. 그런데 사도행전 이외에 다른 신약성경에서는 외국어가 아닌 다른 형태의 방언이 제시된 부분이 없다.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오직 고린도전서 1414절 단 한 곳에만 방언 기도가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14절은 바울이 기록한 서신서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서 방언 기도(proseuvcomai)’라고 기록한 유일한 구절이다. 이미 언급했다 시피 고린도전서 1414절 단 한 절을 제외하고 모든 구절에서는 방언으로 말하다(lalevw)’로 기록하였다. 바울이 14절에서만 방언 기도라는 표현을 기록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기도하다말하다라는 단어는 서로 의미의 유사성이 있어서 혼용하여 사용할만한 것이 아니다. 이 두 단어를 사용한 것은 분명히 그 의미가 다르기 때문인 것이다.


고린도전서 1414절에서 바울은 방언으로 기도함에 만일(eja;n)이라는 가정법을 사용하고 있다. 가정법을 사용한다는 것은 방언 기도가 일상적이거나 보편적인 것이 아닌 이례적이고 특수한 것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방언 기도라는 형식의 방언 사용이나 기도 형태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일(eja;n)’이라는 가정법을 사용한 것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대로 바울이 기록한 서신서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 전체에서 방언 기도라는 표현은 고린도전서 1414절 단 한 곳에만 등장하는 것을 볼 때에도 방언 기도는 일상적이거나 보편적이지 않은 이례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고린도전서 1414절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언의 형태를 제시하는 구절인가? 아니면 방언의 오용을 지적하고 교정하는 구절인가? 이것은 후자가 확실하다. 이것은 두 가지의미에서 그렇다.


첫째는 고린도전서가 교정서신(矯情書信)”이라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고린도교회에는 분파주의, 교역자들을 무시하고 우위에 서는 교만, 근친상간이라는 극심한 성적 타락, 세상 법정에 형제를 고발하는 어리석음, 매춘 등의 음행, 우월한 지식을 자랑하는 교만, 우상에 대한 무분별한 지식과 무절제한 태도, 여자들이 창조의 원리를 따르는 교회의 질서를 무시함, 가난한 자들을 차별하고 무시하는 성찬, 교회에서 술에 취함, 은사, 특히 방언 은사를 오용하고 왜곡함, 육체의 부활을 부정함과 같은 매우 심각한 문제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것들은 믿지 않는 자들 중에서도 보기 힘든 것들이었다. 고린도 교회의 타락 상황은 상상 이상으로 매우 심각한 상태였다. 그러므로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책망하고 회개시키기 위하여 고린도전서를 보내게 된 것이고, 이것이 고린도전서를 교정서신(矯情書信)으로 보는 근거이다.


둘째는 바울은 방언 기도를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이 방언기도를 부정하고 있다는 것은 14절 이후 이어지는 15, 16절의 문맥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14절에서 바울은 만일 (허위)방언으로 기도하면 영이 기도할 뿐 지각(마음)이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는 (허위)방언으로 기도하면 그 기도를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은혜의 방편인 기도로서 무가치한 것이 되고 만다는 것이다. 이 구절은 결코 긍정문이 아니다. 이 구절을 부정적인 구절로 보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상당한 의미와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고린도전서의 목적과 14절의 분위기와 내용을 고려할 때 바울은 허위 방언으로 방언 기도를 하는 방언 오용(誤用)을 지적하고, 방언 기도를 부정하는 것이다.


. 고린도전서 1415절 해석 - 방언 기도의 대안(代案)


이어서 15절에서 14절에 대한 대안, 즉 스스로도 지각하지 못하는(무슨 기도를 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영으로만 하는 방언 기도에 대한 합당한 대안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영으로 뿐만 아니라 지각으로도 기도 할 것이라고 선포한다. 이것은 무슨 말인가? 영으로만 하여 지각 하지 못하여 유익이 없는 방언 기도는 하지 않을 것이며, 정상적인(스스로 이해 할 수 있는 언어로 하는) 기도를 할 것이라는 말이다. 바울은 방언으로 하는 기도에 대한 대안으로 지극히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기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것은 방언 기도를 열매 없는 것, 유익이 없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동시에 정상적인 기도를 할 것을 명령하는 것이다.


. 고린도전서 1416절 해석 - 방언의 오용(誤用)

 

영으로만 축복하면이라는 내용으로 볼 때 당시 고린도교회는 공개적인 집회 시에 정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도할 때 사용 하던 (허위)방언으로 회중을 축복했던 것으로 보인다.(16) 그것은 축복의 내용 혹은 순서를 포함한 설교 혹은 성경 혹은 어떤 가르침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바울은 그와 같은 영으로만 하는 축복, (허위)방언을 사용 할 때의 그 뜻 모를 소리로 축복하고 감사하면 다른 사람(회중)은 세움을 입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는 방언의 이타성, 교회 유익성, 수평성, 명확성에 위배 되는 것이다.


. 고린도전서 1418절 해석 - 바울의 방언 사용


방언 기도가 당시에 이례적인 것이며, 일반적이지 않고 보편적이지 않은 지적해야만 할 오류라는 것은 바울이 다른 이들보다 더 많은 방언들을 말했다는 것이다.(18) 바울의 고백과 같이 바울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방언들을 말했다. 방언에 능통하며 자주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14절에 내가 만일 방언으로 기도하면이라고 말했던 바울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방언들을 말했을지라도 방언 기도는 한 번도 한 적이 없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이러한 의미가 아니라면 14절과 18절은 서로 모순되는 구절이 되고 말 것이다. 만약에 14절의 방언 기도가 일상적이고, 보편적이며, 현대 기독교인들이 주장하는 방언 기도라면 18절의 바울은 고백은 거짓이 되고 말 것이며, 반대로 18절의 고백이 진실이라면 방언 기도는 더 많은 방언들을 말할 수 있었던 바울이 경험하지 않은 것이며 동시에 지적해야 할 (허위)방언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14절에서 말하고 있는 방언 기도18절에서 바울이 많이 말한다고 고백했던 방언들로 말함과는 그 의미가 분명히 다른 것이다. 고린도전서 1414절은 오용된 방언, 즉 방언으로 기도하는 잘못을 지적하고 교정하는 내용이다.


만약에 방언 기도가 허위 방언이 아니라 정상적인 방언은사라고 한다면 그것은 사람과 하나님을 직접적인 관계로 하는 수직적 은사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방언의 특성인 수평성에 위배가 된다. 반대로 방언이 말하는 은사(사도행전에서 사도들이 복음을 선포했던 것처럼)라면 그것은 사람과 사람을 직접적인 관계로 하는 수평적 은사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도 방언기도는 참 방언이 아닌 허위(虛位) 은사라는 결론을 피할 수 없다.


. 고린도전서 1428절 해석 - 자기와 하나님께 말할 것이요.


이 부분은 방언은사를 개인기도화시키는 근거로 오해되는 구절이다. 하지만 그런 구절이 아니다. 바울이 집에서 하라고 명령한 이 내용은 금지 명령을 순화하여 전달한 수사학적인 표현이다. 27, 28절을 보면 바울이 말하고 있는 방언이 무슨 형태인가를 알 수 있다. 그것은 첫째,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 하는 것. 둘째, 통역이 가능한 것. 셋째, 교회에서 회중을 향해 공개적으로 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결코 개인기도혹은 방언기도로 해석될 수 없다.


이 구절이 개인기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는 첫째, 개인 기도를 교회에서 회중에게 공개적으로 하는 경우나 그럴 이유가 없고, 둘째, 개인 기도는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 하지 않으며, 셋째, 통역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것도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28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으면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하나님께 말할 것이요라는 말은 통역이 없으면 하지 말라라는 뜻이다. 이 구절은 통역이 없으면 하지 말라는 것이 메시지의 핵심인 것이지, “집에서 하라가 핵심이 아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 구절을 방언으로 하는 개인적인 기도를 지지하는 내용으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다.


또한 집에서 개인기도의 형식으로 방언 기도를 한다면 이것은 방언의 특성(이타성, 수평성, 공공성, 개방성, 인원 제한과 질서 유지,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표적)에 위배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구절은 방언 추천의 내용이 아니라 방언 금지의 부정문인 것이다.


11. 방언 은사의 목적


하나님께서 방언 은사를 사도시대에 주셨던 목적은 첫째, 요엘서의 성취이며, 둘째로는 이방인 구원역사 시작의 공표(公表), 셋째로는 성령 시대의 도래(到來)와 회복의 선포(바벨탑 사건)이며, 넷째로는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며, 다섯째, 교회를 세우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목적에서 벗어난 방언 은사는 허위(虛位) 방언이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다. 바울도 고린도전서를 통하여 그것을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방언의 목적은 아직도 미완료된 것인가? 아니다. 방언의 목적은 모두 이루어졌다. 바울이 말한 것처럼 사도행전 2장의 방언 은사는 요엘서 228-32절의 성취 사건이다. 또한 요엘서의 예언 성취를 통해 하나님께서 전하시는 메시지는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분 없이 누구든지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들을 구원하신다는 하나님의 구원 섭리를 나타내시는 표적이다. 또한 바벨탑 사건으로 인해 흩어진 인간들의 언어, 곧 영벌을 용서하시고 다시 회복시키신다는 표적이다. 1세기 당시 아직 정경화 과정이 완료 되지 않은 신약성경을 보조하여 복음을 전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당시로서는 태동한지 얼마 되지 않은 미약(微弱)하던 초대교회를 든든하게 세우는 역할과 사명을 다하였다. 이와 같이 방언 은사의 목적 혹은 사명은 충분히 다하였고, 모두 다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제는 방언이 표적으로 가리키던 선교 사역을 성령께서 주도해 가고 계신다.


12. 방언 중지론의 근거


그렇다면 허위(虛位)방언이 아닌 참 방언은사가 현재 존재하는지 혹은 사라졌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 하지 않을 수 없다.


. 성경의 증언


고린도전서 138사랑은 언제까지나 떨어지지 아니하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

 

바울은 폐하리라(katargevw)’미래 수동태 직설법 단수형으로 썼다. 예언과 지식이 타력(他力)에 의하여 폐함을 당하게 된다는 것이다. 반면에 그치고(pauvsontai)’는 자동사인데, ‘미래 중간태 직설법 복수형으로 썼다. 헬라어 중간태 동사는 자동사적이며 재귀적인 의미의 동사이다. , 스스로에게 무엇을 하는 것 혹은 자신의 행동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서술하는 용법이다. 방언들은 자동사적으로 스스로 정지한다는 것이다. “예언과 지식은 완전히 폐함을 당하게 될 것이고, 방언들이 스스로 정지할 것이다.”라는 뜻이다.


예언과 지식은 타력에 의하여 폐하여짐을 당하고, 방언은 자력에 의하여 멈추게 된다는 것은 각기 소유한 의미가 다르다는 것과 폐하여짐(예언, 지식)과 중지됨(방언)의 시점(時點)이 다름을 말하는 것이다. ‘폐함을 당하는 것은 온전한 것이 올 때이다(10) 그러나 스스로 정지함은 폐함을 당하는 것과는 다른 시점일 수밖에 없다. 동일한 시점이 아니다. 물론 바울이 고린도전서를 작성할 당시로서는 미래에 있게 될 일이지만 예언과 지식이 폐함을 당하고, 방언들이 스스로 정지하게 되는 둘의 시점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폐함을 당하는 것은 온전한 것이 올 그 때이다(10) 온전한 것이 올 때는 주님을 온전히 보고 완전히 알게 되는 종말의 때이다.(12) 종말의 때는 새 하늘과 새 땅이 창조되므로 이전의 모든 불완전한 것들은 완전히 폐함을 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폐함을 당하는 시점과 정지하는 시점은 다르며, 중지되는 시점은 폐하여지는 시점보다 이전이다. 종말의 때임에도 중지된다는 것은 있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중지했다는 것은 종말의 때 이전에 일어나는 일인 것이다.


시간적 순서로 보자면 스스로 정지 하는 것이 먼저이고, 폐하여짐을 당하는 것이 나중이다. 이 둘 시점의 시간차이는 얼마인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폐하여짐을 당하는 종말의 때가 오기 이전 어느 시기에 방언이 중지되는 시점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스스로 중지되었던 방언도 분명히 종말의 때에는 다 폐하여지게 될 것이다. 새 창조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방언이 스스로 정지하는 그 시점은 언제인가? 현재를 기점(基点)으로 할 때 이미 정지했는가? 아니면 미래에 정지될 것인가? 본 논문은 방언이 이미 스스로 정지했다는 견해를 지지한다. 이에 대해서는 세 가지 근거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신약성경에서는 비교적 초기서신인 고린도전서와 사도행전 이후에 더 이상 방언에 대한 가르침이나 언급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 둘째는 초대교회 교부들의 증언과 셋째는 2천년 교회 역사 중에 방언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복음서를 제외한 신약성경을 저작 시기를 기준으로 나열해보자면 데살로니가 전·후서(A.D. 50-52년경) 고린도전서(A.D. 55년경) 로마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A.D. 56년경) 사도행전,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A.D. 61-62년경) 빌레몬서, 야고보서(A.D. 62년경) 디모데전·후서(A.D. 63년경) 베드로전서(A.D. 65년경) 디도서, 베드로후서(A.D. 66년경) 히브리서(A.D. 65-69년경) 유다서(A.D. 70-80년경) 요한1·2·3(A.D. 90년경) 요한계시록(A.D. 81-96년경)의 순서이다.” 신약성경에는 A.D. 61-62년경에 작성된 사도행전을 끝으로 방언에 대한 언급이나 가르침이 없다. 그것은 방언은사가 어느 시점에선가 중지되었다는 것을 의미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 교부들의 증언

 

교부 크리스소스톰(Chrysostom)과 어거스틴(Augustine)은 방언이 중지되었음을 말하였다. 크리스소스톰은 방언 시도나 추종을 애매모호한 관행이라고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그것에 대해 말했다.


그러한 애매모호함이 생겨나는 까닭은 성경에 언급된 사실에 대한 우리의 무지와 방언의 중단 때문이다. 즉 방언은 과거에는 발생했지만 지금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어거스틴은 방언은사가 초대교회 시대에 맞춰진 표적이며, 사라진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최초의 교회 시대에는 성령이 믿는 자들에게 임했고, 그들은 방언으로 말했다.“ 그것은 그들이 배운 적이 없는 말이었다. ”성령이 그들에게 할 말을 주셨기 때문이다.“ 이 은사는 그 시대에 맞춰진 표적이었다. 하나님의 복음이 장차 모든 언어를 통해 온 땅에 퍼질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서 모든 언어로 성령의 전조가 나타나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현상은 하나의 전조로 성취된 이후 사라졌다. 오늘날 우리는 사람들이 성령을 받도록 그들에게 안수할 때 그들이 방언으로 말하기를 기대하는가? 오늘날 성령의 임재에 대한 증거가 이런 기적들을 통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그 증거는 무엇을 통해 주어지며 사람은 무엇을 통해 자신이 성령을 받았음을 알게 되는가? 그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을 잘 살펴보게 하라. 만일 그가 형제를 사랑하면 성령이 그의 안에 거하시는 것이다.


. 종교개혁자들과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의 증언


제네바 교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그 탁월함과 권위가 익히 알려져 있으며, 장로교단에서는 헌법에서 표준 신조로 채택을 할 정도로 공신력(公信力)이 있는 것이다.


(1) 존 칼빈의 제네바 교리문답


제네바 교리문답 247문에서 칼빈은 알아 듣지 못하는 말, 즉 방언으로 하는 기도는 유희(遊戱)와 같은 것에 불과하며,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는 위선(僞善)적 행위임을 다음과 같이 가르치고 있다.

: 그렇다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다른 말로 기도하는 것이 무슨 유익이 있습니까?

: 방언은 하나님과의 놀이에 불과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방언으로 위선(僞善)을 행해서는 안됩니다.“


(2)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21(종교적 예배와 안식일에 관하여)에서는 기도를 할 때는 잘 알려진(알아 들을 수 있는 언어)로 하며, 방언으로 기도하는 일을 다음과 같이 금지하고 있다.

감사와 함께 드리는 기도는 종교적 예배의 한 특별 부분이므로 하나님이 모든 사람들에게 요구하신다. 하나님이 받으실만한 기도는 성자의 이름으로 그의 성령의 도우심에 의해 그의 뜻에 따라서 이해와 존경과 겸손과 열심과 사랑과 견인으로 할 것이며, 소리 내어 할 때는 잘 알려진 언어로 해야 한다.”


. 교회사(敎會史)의 증언


기독교 역사에서 방언은 지극히 간헐적으로 존재했을 뿐이며, 방언을 한다고 주장하던 무리들은 이단과 극단적 신비주의자들 뿐이었다. 존 맥아더에 의하면 초대교회 이후 첫 5백년 동안 방언을 한다고 주장한 그룹은 이단이었던 몬타누스의 추종자들이었다.


이후 방언에 대한 종적이 없다가 기독교 내에서 방언 운동의 발생은 약 1천년이 지난 17세기에 있었다. ‘세베놀의 예언자로 불려진 이들이었는데 환상을 체험하고 방언을 말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졌다. 그들은 영적인 부분이 아닌 정치적, 군사적 활동으로 더 잘 알려졌다. 또한 그들이 했던 예언은 성취되지 않았고, 로마 카톨릭에 맞서서 사용하는 무력을 옹호했다.


그 이후 18세기에 얀센주의자들(Jansenists)이 방언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들은 로마 카톨릭을 지지하며, 이신칭의 교리를 반대하는 이단이었다. 또 다른 무리는 18세기 중엽 미국에서 번성한 퀘이커교(Quaker)의 분파인 쉐이커교도들(Shakers)이었다. 이 쉐이커교파의 창시자인 마더 앤 리(Mother Ann Lee)는 자신을 여자 예수 그리스도라고 했다. 그녀는 72가지 언어로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쉐이커교의 교리는 결혼한 사이일지라도 성관계는 죄악이라고 가르쳤으며, 무아지경의 상태에서 춤추고 노래하면서 방언을 했다.


이후 19세기 초에 스코틀랜드 장로교 목사 에드워드 어빙(Edward Irving)과 그를 따르는 자들이 방언과 예언을 했다. 어빙파(Irvingite)들은 서로 상반되는 예언을 자주 했고 예언이 성취되지도 않았다. 그들의 집회는 극단적인 난폭행위가 특징이었다. 어빙파의 예언자들 가운데 일부가 가짜 예언을 했던 사실을 시인하고, 다른 일부는 악한 영에게서 은사를 받았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결국 어빙파는 가톨릭 사도 교회(Catholic Apostolic Church)가 되어서 로마가톨릭 교리들을 수용하고, 열두 사도 직분을 만들어 내며 많은 거짓된 교리를 가르쳤다.”


로머트 G. 그로마키에 의하면 “17세기에 영국에서 조직 폭스(George Fox)에 의하여 시작된 퀘이커파(Quakers)가 방언을 했다고 한다. 그들은 성경보다 내면의 빛이라고 불리우는 사적 계시(직통 계시)를 더 귄위있는 것으로 믿었다. 그리고 19세기에 조셉 스미스(Joseph Smith)에 의해 창설된 몰몬교도들(Mormons)도 방언을 했다. 하지만 그들은 삼위일체와 성경의 권위, 지옥의 실재를 부인하는 이단이다.


그리고 19세기 스웨덴에서 성경 읽는 자들이라는 집단, 아일랜드의 부흥운동 기간, 초기 감리교인들 가운데 방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그들의 신앙의 건전성과 방언의 진정성 또한 확인하기가 어렵다. 단순히 일부에서의 주장이 교회 역사 중에 사라졌던 방언이 다시 부활했다고 주장 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방언은 정통 교회 역사에 없었다. 지극히 간헐적으로 이단과 극단적 신비주의자들, 광신자들 중에만 있었을 뿐이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우리가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최소한 교회 역사 2000년 동안 방언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13. 현대 방언의 발생(發生)

 

오늘날 현대 기독교의 방언은 오순절 운동이 그 기원이다. “현대 오순절 운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찰스 팔함(Charles F. Parham, 1873-1929)이 설립한 벧엘 신유의 집(Bethel Healing Home, 1898)과 벧엘 성경대학(Bethel Bible College, 1900)의 학생 중에 애그니스 오즈맨(Agnes Ozman)이라는 사람이 190111일 방언을 하였다. 그리고 찰스 팔함이 1905년에 휴스턴에 설립한 성경학교(Houston Bible School)에 재학하던 학생 중 세이무어(W.J. Seymour)라는 성결교 설교자가 있었다. 그런데 그는 극단적인 성결을 강조하는 설교로 인하여 쫓겨나게 되었다. 그러자 그는 가정 집회를 열었는데, 190649일 그 집회에 참석 중이던 일곱 명이 성령의 세례를 받고 방언을 하였다. 그 집회는 3년 동안 밤낮 쉬지 않고 계속되어 아주사 스트리스 선교회(Azusa Street Mission)로 발전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오순절 운동은 세계 각처로 퍼져나가 영향을 끼치며 오늘날의 현대 기독교 방언 의식을 형성하게 하였다.” 그러나 오순절 운동에서 시작된 방언이 성경에서 가르치는 참 방언인지에 대한 근거가 전혀 없다. 또 그들의 방언이 성경의 기준에 합당한지도 검증된 적이 없다. 다만 1900년 교회 역사 중에 정통 교회에서는 방언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순절 운동가들은 기독교 역사에 존재하지 않던 방언이 왜 그들에 의하여 부활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합당한 근거로 증명을 해야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오순절 운동으로부터 비롯된 현대 기독교 방언이 성경이 가르치는 그 방언은사라는 성경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4. 현대 기독교 방언의 발생 원인


. 학습된 결과


김우현의 책 하늘의 언어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갓피플 닷컴의 조한상 사장은 내가 하는 방언을 그냥 따라하는 순간, 방언을 받았다. 그때는 어찌해야 할지 몰라 그냥 그렇게 한 것이다. …… 예수원 출신의 한 형제는 아버지라는 말을 간절히 반복하며 구했는데 방언이 터졌다고 한다.” 이는 극히 일부분의 예일 뿐이다. 이와 같은 경우 방언 현상을 학습한 결과 이루어진 것이다. 현대 기독교 방언 현상은 제 3위이신 성령님의 주권을 배제한 인위적 작용의 산물이다. 대부분의 방언 현상은 이와 같은 학습된 현상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사탄이 일으키는 현상


그로마키는 현대 방언 현상의 원천에 대한 유효한 선택 가능의 평가로서 사단의 권세가 간주될 수 있다고 하였다.


레이몬드 프레임(Raymond Frame)이라는 중국 선교사는 현대 방언의 유입이 사단에 의하여 이루어졌던 경험들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악한 영들은 신자의 정서생활에 영향을 줄 기회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신자가 모든 지성적 활동을 중지하고 그의 의지를 어떤 불가시적인 지성적인 존재(물론 그 그리스도인은 그를 성령 자신이라고 생각하도록 꾀임받고 있다.)에게 내어 맡기도록 설득되었을 때 그러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모든 은사들 중 가장 작은 것인 방언에 몰두한 하나님의 자녀는 마귀의 억압이나 강박 관념이나 실제적인 사로잡힘의 관계에서 매우 상처 받기 쉬운 위치에 있다.”


. 심리적인 현상


크리스천 정신병 학자인 베르그스마(Bergsma)는 현대 방언의 현상을 기억의 저장과 회상을 다루는 인공두뇌학(Cybernetics)과 관련시켜 심리적인 현상의 원인으로 방언 발생을 설명하였다.


. 인위(人爲)의 산물(産物)


본 연구자의 지인(知人)에 의하면 201111월 김우현(하늘의 언어저자)씨가 인도하는 집회에 참여 하였는데, 그 집회 말미에는 방언 하기를 원하는 지원자들을 앞으로 불러내어 자신의 방언을 일부러 따라하도록 시켰다고 했다. 김우현 씨는 지인에게 방언은 잘 할 수 있다.”는 격려를 하면서 자신의 방언을 따라하도록 시켰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위적인 시도들이 있다.


. 기타 다양한 원인

 

마스터스 신학교(The Master's Seminary)의 전 학장이었던 찰스 스미스(Charles Smith)는 그의 저서에서 현대 방언 현상이 운동 근육 자동증’, ‘무아지경’, ‘최면’, ‘정신적인 카타르시스’, ‘집단적 심리 구조’, ‘기억 자극등을 통하여 생겨 날 수 있다고 그의 저서에서 밝히고 있다

 

15. 현대 기독교 방언과 유사한 이교(異敎)의 방언


오순절 운동에서 시작된 현대 기독교 방언은 고대뿐만 아니라 현대의 이방 종교에서도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하다. 회교도들, 에스키모인들, 티벳트와 중국의 이교도들 가운데서 발생하고 있다.” 이방 종교에서도 방언이 시행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렇다면 현대 기독교의 방언은 그것이 이방 종교의 그것과의 차이를 무엇으로 입증 할 수 있을까? 이방 종교에도 현대 기독교의 방언과 유사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것이 성령의 역사가 아니고서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이방 종교에도 현대 기독교의 것과 유사한 방언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방종교의 우상문화와 세상의 가치관이 그대로 유입(流入)되어 방언 오용 문제로 홍역(紅疫)을 치르던 고린도교회의 모습과 오늘날 현대 기독교의 방언 오용의 문제가 동일한 것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다.

 

III. 결론


고린도전서가 교정서신이라는 점, 바울이 고린도교회의 방언 문제를 지적하는 장이라는 점 그리고 고린도전서에서 도출된 방언 은사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고린도전서 14장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바울은 고린도교회 안의 참 방언과 허위 방언의 구별을 방언 표기 형태(단수와 복수)를 통해서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고린도전서뿐만 아니라 신약성경 전체에서 방언은 기도하는 은사가 아닌 말하는 은사임을 확인하였다. 그것과 함께 방언 은사 목적이 모두 성취 되어 완료되었다는 논증과 교부들과 교회사의 증거는 고린도전서 138절의 방언 은사가 그치는 시점이 미래가 아닌 과거의 어느 시점이었음을 충분히 확인 할 수 있다.


반면에 오늘날 현대 기독교인들에 의해 주장되며 사용되는 방언 은사, 방언 기도(체계와 규칙을 갖춘 언어가 아닌 음절이나 어절의 단순 반복 혹은 불규칙적이고 복잡한 소리)는 성경적 근거가 없다. 이해 할 수 없고, 통역을 할 수도 없고, 알아들을 수 없는 그 소리들이 성경에 등장하는 그 방언과 동일(同一)한 동종(同種) 은사라는 증명이나 논증도 이루어진 일도 없다.


반면에 본 논문의 소고(小考)를 통하여 볼 때 오늘날 기독교 일각(一角)에서 행해지는 방언 기도는 그 사용이 중지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뿐만 아니라 현대 기독교 방언이 사도행전 2장의 방언과 동일(同一)한 동종(同種) 은사임을 확실히 증명한 후에 그것을 사용함이 오직 성경을 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기독교인의 신앙에 합당할 것이다.


혹자는 보편타당성을 주장하며 현대 기독교에 이미 널리 퍼진 방언 기도를 참 방언으로 주장하지만 고린도교회 안에는 말로 할 수 없는 문제들이 보편적으로 퍼져있었다. 그러므로 보편성이 진리의 절대 기준이 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도 자명하다. 현대에는 이토록 보편적인 방언 기도는 불과 수십년 전의 장로교회(혹은 보수적인 교회)에는 없었으며, 110여년 전에는 기독교 안에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극히 지엽적인 극단적 신비주의자들과 이단들에게만 나타났던 현상이었다. 기독교 안에는 없던, 그리고 장로교 안에는 없던 방언이 이제는 매우 널리 퍼져있으며 인정되는 과정에서 어떤 근거를 통하여 방언이 확산되었는지 되돌아 보아야 한다. 방언 이라는 단어가 성경에 등장한다는 것과 방언 기도가 단지 교회 안에서 통용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을 받아들인 것은 아닌가? 그러므로 우리는 무비판적으로 방언 기도를 수용해 왔던 것은 아닌가 냉정하게 스스로를 살펴보아야만 한다.


방언 은사는 고린도전서 138절에서의 가르침대로 그쳤다. 그러므로 오늘날 현대 기독교 방언은 고린도전서 14장에서의 고린도교회의 허위(虛位)방언 문제와 동일한 문제라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그러므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방언 은사를 받았다고 생각하는 모든 이들은 고린도전서 14장의 가르침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참고 문헌

 

<단행본>

 

김영진. 그랜드 종합 주석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3

김우현. 하늘의 언어서울: 규장, 2007

김의환 편저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울 :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2003

박일민. 개혁교회의 신조서울: 성광 문화사, 1998

엄승용. 성경요점서울: 예찬사, 1983

이병철. 성서원어대전신약편:·한 완벽사전(I)서울: 브니엘 출판사, 1988

. 성서원어대전신약편:·한 완벽사전(IV)서울: 브니엘 출판사, 1989

한성천, 김시열. 옥스포드 원어성경대전122: 빌립보서, 골로새서서울: 제자원, 2005

 

D. G. Dunn James. WBC 성경주석38: 로마서()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2003

Gromacki G. Robert. 현대 방언 운동 연구김효성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MacArthur John. 무질서한 은사주의이용중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8

Mare W. Harold. 엑스포지터스 성경연구주석프랭크 E. 개벨라인 편 서울: 기독지혜사, 1983


<기타 자료>


Nestle-Aland, Novum Testamentum Graece(NTG) 27th edition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헌법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부, 1993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

  1. No Image

    마귀가 인간을 사로잡는 5단계

    마귀가 인간을 사로잡는 5단계 안희환 1단계는 집착, 혹은 강박관념(Obsession)이다. 이것은 나쁜 생각, 죄 된 생각을 자꾸 거머리같이 달라붙게 한다. 안 하려고 하는데도 자꾸 좋지 못한 생각이 드는 것이다. 2단계는 억압(oppression)이다. 이것은 마음과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41
    Read More
  2. No Image

    청년들을 향한 호소/ 이병태

    청년들을 향한 호소/ 이병태 KAIST 교수 "스타벅스,·배낭여행,·컴퓨터 게임, 지금 여러분이 누리고 있는 모든 것 중 청년 세대가 이룬 것 뭐 있나, 천국 있다는 거짓말 믿지 마라, 응석부리고 빈정거릴 시간에 공부하고 너른 세상 보라, 헬조선...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686
    Read More
  3. No Image

    이혼과 목회

    이혼과 목회 (페이스북에 실린 글입니다. 누구의 글인지 확인할 수 없습니다. 리포르만다의 견해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참고삼아 저장해 둡니다.) 5. 이혼한 사람이 목회자가 될 수 있는가? 원칙적으로 목회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목회자가 되려고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09
    Read More
  4. No Image

    고신영성

    고신영성의 특징과 개혁주의 신학적 조명과 평가 감순성 교수 (2016.11.7, 코람데오닷컴 게재문) I. 들어가는 글 금년은 고려신학대학원 개교 7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8.15 해방직후 1946년 개교된 고려신학교 설립은 한국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19
    Read More
  5. No Image

    사탄과 마귀

    사탄과 마귀 성경에서 사탄이라는 말하고 마귀라는 말은 동의어로 나타납니다. 요한계시록에 옛 뱀이오. 사탄이오. 마귀라 이렇게 얘기하는 것이지요. 이 존재는 타락한 천사들 가운데 가장 우두머리인 존재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천사들이 언...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16
    Read More
  6. No Image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국회 연설문

    미합중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한국국회 연설문 2017.10.08. Assembly Speaker Chung, distinguished members of this Assembly, ladies and gentlemen: Thank you for the extraordinary privilege to speak in this great chamber and to address your pe...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31
    Read More
  7. No Image

    방언

    방언 중지/폐지론자 가운데 "자신이 방언을 했었다"는 사람이 꽤 된다. 목사도 있다. 엄청난 건 줄 알았는데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사람은 안 하면 된다. 그 사람에게는 울리는 꽹과리(ἢ κύμβαλον ἀλ&...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12
    Read More
  8. No Image

    우리는 무엇을 팔고있는가? 권수경 목사

    우리는 무엇을 팔고있는가? 권수경 목사 500년 전의 면죄부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대학 채플 정문에 써 붙인 게 종교개혁의 시발점이라고 많이들 알고 있으나 루터가 반박문을 써 붙인 적이 없다는 사실이 오래 전에 밝...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718
    Read More
  9. No Image

    동성애, 성경 그리고 기독교

    동성애, 성경 그리고 기독교 신원하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I. 들어가면서 1960년대 서구 사회에서 일어난 성 혁명의 물결은 서구 사회에 동성애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나아가는 문을 열어 주었다. 사회학자 기든스(Anthony Giddens) 교수는 이 시대의 ...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826
    Read More
  10. No Image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2017.10.30.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에서 칭의의 복음을 재발견하고, 이 복음의 진리로 중세 교회와 사회를 개혁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655
    Read More
  11. No Image

    인터콥에 대한 연구보고서

    인터콥에 대한 연구보고서 (저자미상, 신뢰도 확인되지 않은 글) 2012년 12월 현재 인터콥(최바울)은 예장통합에서 교류금지(2011.9), 예장고신에서 지도기간 중에 참여자제(2011.9), 세이연(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에서 이단성/교류금지/예의주시(201...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1 Views1063
    Read More
  12. No Image

    근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회개한다

    근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회개한다 서충원 목사 (총신대 신대원, 숭실대 대학원) 아래의 글은 대부분 참고할만하지만 진보신학의 영향을 받은 위험한 발상으로 보인다(편집자 주) 신앙을 이성과 대립되는 것으로 보고 이성을 억압하고 이성적인 비판을 부정한다...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591
    Read More
  13. No Image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일본의 기독교인이 1퍼센트인 까닭 "현재 일본의 기독교인 수는 약 105만 명이다. 이는 일본의 총인구 약 1억2천만 명 가운데 대략 1%에 해당하는 숫자다. 약 150년 동안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전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지금도 결정적으로 소수파...
    Date2019.12.01 Bydschoiword Reply0 Views1308
    Read More
  14.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이신칭의, 자살, 신학교수, 신학검증, 총대, 그리고 교회 (신재형, 페이스북 글, 2017.10.11.) 최근 고신 교단 총회에 김세윤 교수가 포함된 이신칭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와 신학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질의가 상정되었다. 신학위원회는 이에 대해 논의를 했...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705 file
    Read More
  15. 문 닫는 교회 스타일 15가지

    문 닫는 교회 스티일 15가지 <기독일보> 20170506 1. 전도 하지 않는 '불임(不姙)교회' 흔히 전도지만 돌리는 형식적으로 전도로는 생명을 잉태시킬 수 없습니다. 입으로 발로 뛰면서 세상 사람들의 삶속에 뛰어들어야 합니다. 한 생명을 천하보다 더...
    Date2019.11.30 Bydschoiword Reply0 Views71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51 Next
/ 51